안녕하세요~ 
6탐에 걸친 트라이끝에 킬제덴을 잡게되서 조드분들께 제 경험을 공유하고자 글 써봅니다.
막직 떠돌이로 이파티 저파티 다니다가 결국 잡게되서 너무 기쁘네요 ㅠㅠ
딜사이클과 순서를 까먹기 전에 적어야 겠다고 생각해서 두서없이 쓰는점 양해부탁 드립니다.
그리고 해당 내용은 모두 저의 주관에 달린 내용이므로 절대적인게 아닙니다. 심크와 같이 자세한 근거가 있는것도 아니고 단순 후기입니다. 자신만의 스타일이 확립된 분들은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1. 전설
오네스+흠지정 사용했습니다. 
주기적인 쫄소환, 잦은 무빙, 긴 전투시간 모두 오네스 흠지정과 어울리는 전투환경입니다.

2. 세팅
특화>>가속>치타   순으로 세팅했습니다.
가속이 자신이 느끼기엔 답답하다고 느끼지 않을 정도면 충분합니다. 저는 단일딜에서 25퍼 미만이면 좀 답답하더라구요
장신구는 910메트로눔에 880비수였습니다. 어속은 괜히 사이페에 터지면 기분 나쁠거 같아서 걍 뺏습니다. 895어속이기도 했고요.

3. 특성


야생의 돌진 : 야탈보다 짧은 쿨이므로 다양한 패턴이 연속으로 오는 킬제덴에서는 훨씬 편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부엉이 점프는 야탈과 다르게 뒤로 이동하므로 화면이동이 익숙해지셔야 낙사의 위험에서 안전합니다.

야성친화 : 공대에 힐이 너무 밀린다면 수호친화, 
            그렇지 않다면 이속증가는 여러패턴을 미리 준비할수 있는 여유가 생깁니다.

고대의 축복 : 주기적인 쫄이 나오기는 하지만 유성을 투자할정도로 자주 나오지는 않습니다.

항성이동 : 오네스가 있는 조드에 한해서 좋은 선택. 

4. 쿨기타이밍
1페 : 시작하고 7초정도 후에 화신을 사용합니다. 그래야 쫄이 소환된 경우에도 화신이 남아있습니다.
      보통의 경우 1페는 1아마겟돈을 보고 넘기기 때문에 화신은 한번 사용합니다.
      좀더 자세히 설명드리면 카운트1초 태격->달섬,태섬->초승달,반달->화신->보름달 순으로 시전했습니다.

사이페 : 무빙중간중간에 자원을 모아둡니다. 
         흠지정 기준으로 2페 시작과 동시에 화신을 킬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자원을 모아둡니다.

2페~ : 사이페 마지막에 폭발하는 공포의 불길이 오므로 대상자라면 대처후 자리잡고 바로 화신
      그 뒤는 흠지정 기준으로 계속 쿨마다 사용하면 자연스럽게 쫄타이밍에도 화신이 남아있습니다.
      만약 화신과 쫄이 타이밍이 안맞다면 몇초정도 텀을 주고 사용해주세요.

위에가 화신 유지시간이고 아래가 쫄딜이 들어간 타이밍입니다. 지금보니 쫄타이밍때 화신이 온전히 안들어갔네요.
참고하시고 쿨기타이밍을 결정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2페초블이라면 그 타이밍에 화신이 와야하겠죠.

5. 보스스킬에 따른 대처
1. 특이점 파열 : 보라색 구체와 함께 아래에는 즉사데미지 주변에는 넉백을 시킵니다. 넉백때문에 항상 구체의 주변에 있어야 합니다. 여기서 야성의돌진 쿨을 좀 남겨둔다면 낙사할 거리에서도 살 수 있습니다. 특히나 2페에서 오는 다양한 패턴중에 낙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언제든지 야성의 돌진으로 다시 되돌아올 생각을 해야합니다.

2. 아마겟돈 : 빨간색 바닥에 올라서서 맞아줘야하는 바닥인데, 역시나 이동기좋은 드루이기에 디법이 없다면 맞아줍시다.

3. 어둠의분출 : 대상자가 커지고 몇초후에 쫄을 소환합니다. 걸리는 타이밍에 되면 미리미리 보스근처로 무빙을 해서 딜로스를 줄입니다. 어둠의 분출이 몇초뒤에 온다면 보름달을 미리 아껴둬서 딜을 극대화 할수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태섬만 유지했고 나오자마자 별똥별 사용, 달격난사+별쇄로 대응했습니다. 자원이 남아돈다면 중첩별똥별을 해도 상관은 없으나 공대원 모두가 딜을 잘 몬다면 잘 녹기때문에 피가 50퍼 아래인데 별똥별을 쓰는건 아까울수도 있습니다. 한가지 팁이라면 강화 달격을 3스택 모아둘수 있다면 딜할때 더 편합니다. 직전에 뜬 오네스 꽁별돌별은 아껴둬서 이 타이밍에 사용하도록 합시다.
껍질+자극은 이타임에 힐러에게

4. 집중된 공포의 불길 : 대상자와 보스의 일직선으로 나눠맞아야하는 광선+영웅기준으로 5미터 이내 공대원이 있으면 추가피해 입니다. 5미터산개를 하지 않고 맞으면 오히려 힐로스입니다. 대상자가 죽지않으면 되기 때문에 무리해서 맞아주기 보다는 "5미터 산개" 이 점에 신경을 쓰시는게 맞습니다. 반드시 한줄로 설 필요는 없고 2줄로 선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range 5 필수.
참고로 대상자와 넴드 사이가 아닌 일직선상이기 때문에 대상자보다 뒤에서 맞아줘도 나눠맞습니다. 사이페처럼 할거 없을때는 이동기가 좋은 드루가 항상 넴드와 최대사거리를 유지한다면 대상자 뒤에 서있을 수 있겠죠. 
대상자는 무리해서 뒤로 이동하기 보다는 방향을 잘 맞춰주는게 중요합니다. 2페 중간에 파열과 같이 올때가 위험한데 
만약 본진과 반대방향에서 파열이 터지는데 일직선으로 맞아주다가는 낙사하기 딱 좋습니다. 
이타이밍에는 넴드근처에서 대기하다가 대상자가 방향을 잘 조절해서 공대원이 구슬에 낙사하지 않도록 유도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5. 일리단 페이즈 : 표범변신에서 사용하는 "인간형추적" 사용하면 손쉽게 찾을수 있습니다. 미니맵을 확대해서 원부분만 나오게 한다면 표범변신 한뒤에 녹색원이 일리단입니다. 꼭 확대해서 보세요. 트라이전에 표범변신 후 인간형추적이 제대로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다리에 서있는 일리단과 벨렌이 제대로 나온다면 정상)
보기가 힘들다면 애드온 게시판에 "Chinchilla" 를 이용하면 미니맵을 자신이 보기 편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추가로 아군원을 강조시킬수가 있기에 눈에 더 잘 보입니다.
일리단을 찾고 버프를 받고 멀리 나가면 힐사거리가 안나오니 조심합시다. 이 때 생존기가 있다면 땡큐

6. 불타는 보주 : 가장 가까이 있는 대상을 쫒아가는 구슬이며 이속이 빠르고 노루변신이 가능한 드루는 드리블에 최적화입니다. 오래 유도할수록 피해는 줄지만 그에따른 딜로스도 있습니다. 

발퀄죄송. 저정도 유도면 충분합니다. 첫 화살표엔 걸어서 유도하시고 두번째 화살표에서 야탈or야돌 이동기 사용. 참고로 저 원은 균열찢기 바닥입니다. 

7. 악마의 방청탑 : 점 대상 기준 십자가 모양으로 광선발사. 넉백+뎀지 이므로 항상 떨어진 방청탑의 위치를 보면서 딜을 하세요. 맞아도 죽지는 않습니다. 겹쳐 맞으면 즉사

6. 마지막
제가 잡은 공대는 15인 공대였으며, 
  탱커 : 야탱, 죽탱
  힐러 : 신기, 복술, 운무
  딜러 : 분전2, 도적1, 징기1
         조드1, 냥꾼1, 흑마2, 법사1, 암사1

큰 바닥은 사이페는 탱커가 나머지는 2무적+2보축(큰바닥은 물리피해)+2얼방+냥꾼 을 이용해서 대처했습니다.
일리단페이즈때 죽탱의 죽손이 잘 먹히면 땡큐, 빠르게 핑을 찍어 공대원을 유도.
2페가 익숙해지니 막페에 블러드 올렸습니다. 모두가 익숙하다면 2페에 다양한 패턴도 점점 쉽게 대응이 되더군요.
순간 광딜이 나쁜 조드에게 그리 좋은 넴드는 아니지만 오네스와 무빙시전 덕분에 할만은 하다가 제 감상입니다.
조정암 중에는 탑인거 같네요.(법흑냥 과는 또 다른이야기)

* 해체되는 이성의 고서 사용후기


치명타 2914(대략 6~7프로) 가 전투시간 20퍼정도 지속인데...이게 좋은건지 나쁜건지 잘 모르겠네요.
일단 조드에게 사실 치명타는 그리좋은 옵션이 아니고.. 1분이라 화신이랑 겹쳐쓰기도 애매합니다.
구린장신구 인거 같은데 템렙이 높아서 지능으로 건진다는 생각으로 써보고 있습니다. 디피상승은 잘 모르겟네요
데미지는 1.5프로정도 나옵니다.


심크상 비교입니다. 참고만 하세요. 저도 뭐가뭔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혹시 심크에서 딜사이클은 어떻게 보는지 아시는분 게시면 리플에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쿨마다 돌린건지 화신이랑 맞춘거지 모르겠네요 ㅠㅠ

별쇄버프 이후로 확실히 중상위권은 하는 조드이니 모두 화이팅에서 살게마무리 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