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


템렙 560 T16  4셋 풀버프 기준 [블러드/해깃/폭풍채찍 OFF]

                         Agi   AP   Exp   Hit InvHit    Crit     Haste Mastery
Scale Factors 10.89  0.00   5.74        6.73 2.49    4.38     3.37 2.53
Normalized 1.00  0.00   0.53        0.62 0.23    0.40     0.31 0.23
Scale Deltas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Error           1.38  0.00   1.50        1.38 1.34    1.37     1.36 1.37

Agi > Hit ~= Exp ~= Crit ~= Haste ~= Mastery ~= InvHit


자가버프 기준[주문피해증가/방어도감소/공격속도10%증가/출혈]


                         Agi AP  Exp      Hit InvHit    Crit Haste Mastery
Scale Factors 7.11 0.00  4.44     4.32 2.56    3.62 3.53           2.33
Normalized 1.00 0.00  0.62     0.61 0.36    0.51 0.50           0.33
Scale Deltas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Error                 0.95 0.00  1.00     0.92 0.91    0.93 0.93          0.93

Agi > Exp ~= Hit ~= Crit ~= Haste > InvHit ~= Mastery

보석

빨강 : 민첩 160
노랑 : 민첩 80 + 치명타 160
파랑 : 민첩 80 + 적중 160 


딜싸이클

1. 오프닝
(혈관 과다출혈이 있다는 가정 하에)

1. 속임수 거래+사전계획+물약 후 은신  (연계포인트 2+) (누적 2)
2. 매복 (연계포인트 2+) (누적 4)
3. 과다출혈 (연계포인트 1+) (누적 5~6)
4. 난도질 (누적 1~2)
5. 어둠의 춤+어둠의 칼날
6. 사전계획+2매복 (연계포인트 +8) (누적 9~10)
7. 파열 (누적 4~5)

"잠행특성은 다른특성에 비해 적은 기력소모로 잦은 스킬딜을 하며 [도둑의 명예]로 들어오는 추가 연계 포인트를 이용하는 것이 핵심이 됩니다. 위에 서술한 오프닝에서의 누적은 도둑의 명예가 제대로 터질 경우 최대한 쟁여져있을 연계포인트를 적어두었습니다."

2. 중요기술

1. 난도질
 잠행 데미지딜링 1순위는 평타입니다.
 특화력으로 인한 난도질은 잠행의 공격속도를 기본 100%이상으로 올려주기때문에 잠깐이라도 끊기면 DPS측면에서
 매우 큰 손해를 봅니다. "공격 횟수 = 독 발동 증가" 로 이어지기 때문에 독으로 인한 피해량도 간접적으로 늘려줍니다.

2. 파열
 잠행의 기술중에서 한번 사용시 가장 기댓값이 큰 기술입니다. 그만큼 위력도 강하고 기력소모도 적어 항시 유지해야 합  니다. 또한, 잠행은 [붉은 핏줄] 특성으로 출혈상태의 적에게 35%의 추가 피해를 주기 때문에 반드시 유지해야 합니다.

3. 매복 [조건 : 은신, 적의 배후] (+2)
 잠행의 버블생성기술중에 가장 강력한 기술이지만 조건이 한정되어있습니다.  [약점 포착] 특성을 발동시킵니다.
 [약점 포착]은 적의 방어도를 무시하는 매우 강력한 특성입니다. [어둠의 춤]과 [소멸]이 돌아올때마다 꾸준히 써줍니다.

4. 소멸
 대부분의 도적들은 15레벨 특성 [어둠의 집중]을 이용해 소멸의 쿨타임이 돌아올때마다 매복을 이용하게 됩니다.
 그중 잠행은 [잠행의 대가]와 [약점 포착]을 발동시키기 때문에 데미지 딜링에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5. 기습 [조건 : 적의 배후, 단검 사용] (+1)
 잠행 도적의 주력 기술입니다. 기력 소모량이 적음에도 매우 강력한 기술입니다. 이 기술 덕분에 잠행은 시즈딜링시 매우  화끈한 딜을 뽑을 수 있습니다. 평상시엔 이 기술이 필러가 됩니다.

6. 과다출혈
 이 기술은 비록 한방은 기습에 비해 떨어지지만 모든 도트 틱(24초 8틱)을 볼 경우엔 기습과 비슷한 피해량이 나오고 기  력 소모량이 기습에 비해서 낮기 때문에 유지해 주면 좋습니다. 과다출혈의 도트 데미지는 직접 입힌 피해량의 50%로 
 들어가기 때문에 [약점 포착]특성이 발동되어 있을 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7. 절개
 잠행의 연계포인트 소모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기술입니다. 화끈하게 상대의 배때지를 찢어버리는 데미지를 볼 수 있습  니다. 조건이 맞다면 7자리 숫자를 볼 수 있습니다. 매복, 난도질이 유지되고 있을땐 절개로 연계 점수를 소모합시다.

8. 혈폭풍
 광역 딜을 할때 사용되는 마무리 일격입니다. 데미지보단 범위 내의 모든 적에게 출혈을 걸어 모든 적이 받는 피해를  33%증가시켜 칼날 부채와 독의 지속피해를 더럽게 강력하게 만들어버리기때문에 광역딜을 하실땐 1버블 혈폭풍이라도  넣고 시작하는것이 좋습니다.
3. 유지

1. 난도질
 [평타+독]

2. 파열
 [가장 큰 피해+출혈시 33%피해증가]

3. 과다출혈
 [낮은 기력 소모, 출혈시 33%피해증가 (문양)]

4. 사용하기 좋은 네임드

1. 잿빛너울
 네임드 특성상 처음 블러드+쿨기가 빠지고 페이즈가 넘어간 후 다시 돌아오면 잠행은 보장된 결과가 있다면 어춤의 쿨타임이 짧아서 다시 돌아옵니다. 몰아치기 좋은 네임드라서 잠행이 딜이 잘나오는 편입니다. 단지 잿빛너울이 소용돌이를 어디다가 쏘는지가 문제가 되는...

2. 강철의 거대괴수
 그림자 밟기와 그림자 망토로 진동 충격파로 인한 넉백을 씹고 시즈딜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정말 제대로 뽕뽑기 좋은 네임드입니다.

3.교만의 샤
 네임드 특성상 항시 뒤를잡기때문에 감옥에 잠시 갈때 빼곤 계속 시즈딜을 할 수 있어서 괜찮은 네임드입니다.
 단지 투영체 처리엔 그닥 도움이 안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잠행이 안 쓰이는 이유

'미칠듯이'범용성이 안좋습니다.
시즈딜의 경우엔 정말 최강이라고 해도 할말이 없을정도로 굉장한 디피에스를 뽑아낼수있는 클래스지만
무빙이 정말 심해서 뒤를잡는시간이 적어져 기력로스가 생기고 과다출혈을 필요이상으로 꼽게되면 그만큼 딜로스가 납니다.
제생각엔 최대 5~6만정도까지 차이가 나는듯 합니다.
못 할 정도는 아닌데.
오공은 잠행이 쉽게 돌만한 장소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잠행이 하는 대부분을 전투도적이 더 좋은 효율로 해낼수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