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 주관적인 관점입니다.

 

 

 

1. 기본 딜사이클에 포함되는 공격들에 /startattack 묶어두기

 

심판, 성격, 선고, 퇴마, 천망, 천폭 등에 공격시작 매크로로 묶어두면 좋습니다.

 

기본적으로 연타(.......) 를 하게 되서

 

타겟을 변경하게 되는 경우 위에 해당하는 스킬들이 쿨이더라도 평타를 유지하게 되면서

 

어느정도는 딜로스를 상당히 줄일 수 있습니다. 더불어 전쟁의 기술 버프를 놓치게 되는 경우도

 

줄어들게 되겠죠.

 

물론 수동으로 기본 공격시작 키인 T를 눌러서 유지할 수도 있긴 하지만

 

아무래도 매크로로 묶는게 상당히 도움이 되긴 하죠.

 

 

 

2. 어느덧 기본컨트롤이 되어버린 멀티도트

 

용영에선 이전 레이드에서처럼 쓸만한 구간이 많이 줄어들긴 했지만,

 

그래서 해봐야 요르앞 쫄이나 존오즈앞 쫄 정도가 전부지만 ㅠㅠ

 

판다리아가 나와도 꾸준히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예전에 trendkill 님 동영상 보니까 네임플레이트에 도트시간 표시되는 애드온도 있던데

 

그것도 써주면 좋을 듯 하구요.

 

 

 

3. 울트앞에서 마용보 스왑은 울트앞쫄 전투시작 바로 직전에..

 

이번에 좀 관심있게 지켜본 타이밍이었는데

 

스랄에게 말 걸고 쫄 전투 시작하고, 용 공격 직전에 마용보를 스왑해두는 게 좋을 듯 합니다.

 

아무래도 막공에선 마용보스왑쿨을 기다려달라고 하기 뭐하다보니

 

말 걸고 새끼용들 팝업되면, 첫 새끼용의 위치를 잘 봐두고 전투 시작되기 직전에 마용보를 스왑하세요.

 

그럼 새끼용 처리시간 동안엔 마용보가 터지지 않고, 마용보 쿨 거의 다가올 쯤에 전투가 종료됩니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고자왕 트릭을 준비하시고 (장비스왑) 울트 팝업시키면

 

기공의 경우 무난하게 고자왕 트릭+기공장갑트릭까지 병행할 수 있습니다.

 

 

 

4. 모르초크에선 "한 걸음" 이 은근히 큽니다.

 

모르초크 or 크초르모 딜 할 때 시전바에서 발구르기 캐스팅 올라갈 때

 

밖으로 한걸음만 빠져줘도 큰 도움이 됩니다.

 

물론 수정조라거나 할 경우는 빠지는 방향도 잘 봐둬야 하구요.

 

사실 요즘엔 1넴에선 딜 밀리지 않으니 가급적이면 힐부담 줄이는 쪽으로 가닥을 잡으셔도 될 듯..

 

 

 

5. 장신구 선쿨 확인을 위해선 /timer play 매크로도 좋습니다.

 

순서가 조금 바뀌긴 했는데, 매크로로 장신구 선쿨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quip 장신구

/timer play

 

로 매크로를 짜 두면, 장신구 두개의 슬롯 중 위 슬롯에 장신구가 착용되고 타이머가 작동합니다.

 

마용보 쿨이 1분 55초 가량으로 알고 있고.. 다른 장신구 쿨들은 확인해보시면 될 듯....

 

판다리아에서도 유용한 트릭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6. 유틸기 활용이 미진하다 싶을 땐 딜사이클을 다시 확인하세요.

 

많이 질문이 올라오는 내용이긴 한데.. 기본적으로 13 2셋 이상일 때 통용되는 이야기입니다.

 

순간순간 매 상황마다 달라지긴 하겠지만, 13 2셋이 된다면 딜사이클이 상당히 고정됩니다.

 

성격-심판-성격-버블사용 반복이 되는거죠. 기본 베이스는 성격-필러-필러-성격-필러-필러-성격- ... 반복이고

 

필러에 어떤걸 사용할 것인가에 따라서 딜사이클이 달라지는 게 징기의 기본입니다.

 

이게 13 2 셋이 되면, 성격-심판-필러-성격-선고-필러 가 되는거죠. 딜사이클이 엄청 쉬워집니다 ㅇㅇ...

 

신목으로 뜨는 꽁3버블은 필러의 개념에서 접근해서 사용하면 되구요.

 

딜사이클이 쉬워진다는 건 그만큼 다른 데 신경을 쓸 여유를 갖게 된다는 것.

 

그 신경을 전체 공략 흐름이나 레이드프레임에 나눠줌으로서 유틸기를 사용할 타이밍을 잡을 수 있다는 것.

 

물론, 허수아비 많이 쳐보는 게 좋겠죠.

 

 

 

7. 멘탈 갑이 됩시다.

 

트롤로롤롤로로롤ㄹㄹ롤롤롤링을 말하는 게 아니고...

 

실수를 한다면 쿨하게 사과하고 이어지는 트라이를 대비하세요.

 

어떤어떤게 문제였는가를 되새기는 것 물론 중요하지만 그것에 신경쓰느라 위축될 필요는 없습니다.

 

위축되기 시작하면 슬슬 정줄놓기 시작하고.. 그게 또 실수로 이어집니다. 그리고 위축되고.. 악순환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