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르조크

 

 

ㄱ. 추천전문화/특성/문양

 

- 전문화 : 야수냥꾼

- 특성 : 웅크린 / 자유 / 강철 매의 상 / 광야 / 저승까마귀 / 글레이브

- 문양 : 공저 / 죽표 / 동물교감

 

 

ㄴ. 딜방식 및 주의사항

 

- 80%, 60% 시 메아리를 남기게 되고 넘어가게 될 때, 펫 끔살 주의

- 해결책으로는 넘어가기 이전에 펫을 잠깐 빼두는것을 추천(더 좋은 방식 있으면 제보 바람)

- 메아리까지 처치하는 사냥꾼의 역할이라면, 매 단상마다(정배 단상 제외) 격노를 3번 정도 사용할 수 있음.

- 힘과 활력 단상에서는 만반을 이용하기 때문에, 그리고 감쇠 단상에서는 약 2:30~3:30 초 가량 전투를 하기 때문에

여유 있게 장신구 발동 등과 연동하여 격노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

- 감쇠에서 사냥꾼은 무빙딜에 강한 편에 속하기 때문에 높은 DPS를 뿜어내야합니다.

 

 

ㄷ. 생존기 및 유틸기

 

- 공저 : 힘과 활력 모두 튕겨냄, 하지만 감쇠를 튕겨내지는 못함.

- 감쇠 피할 때 몇개 정도 스칠 것 같다면 공저를 돌려서 죽지 않아야 함(경우에 따라서 확실히 안맞는 거리라 생각해도 맞는 경우가 있음)

 

 

 

 

 

 

2. 타야크

 

ㄱ. 추천전문화/특성/문양

 

- 전문화 : 야수냥꾼

- 특성 : 웅크린 / 자유 / 강철 매의 상 / 광야 / 저승까마귀 / 글레이브

- 문양 : 공저 / 죽표 / 동물교감

 

 

ㄴ. 딜방식 쿨기 배분

 

- 전투시작 후의 패턴이 보이지 않는 일격 - 칼날폭풍 - 보이지않는 일격 - 칼날 폭풍 - 탱 지역 이동 ...... 식

- 따라서 전투시작 직후 만반 격노를 연속해서 사용하는 것보다는 보이지 않는 일격을 본 이후에 만반으로 초기화된 격노, 저까, 광야 등을 사용하는 편이 좋음.

- 보이지 않는 일격을 앞두고 있을때 광야 15초를 모두 소비 못할 것 같다면 광야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추천

- 같은 이치로 티어 4p 격노 지속시간을 모두 소비 못할 것 같다면 사용하지 않는 것을 추천

 

 

ㄷ. 생존기 및 유틸기

 

- 보축 해제 메크로 챙겨 둘 것

- 보이지 않는 일격이나 칼폭을 앞두고 바람걷기 디버프를 보축으로 해제 받지 못하게 된다면 공저를 사용할 것.

- 경우에 따라서 보이지 않는 일격때에는 모이지 않고 따로 빠지는 것도 방법

 

 

 

 

 

 

3. 가랄론

 

ㄱ. 추천전문화/특성/문양

 

- 전문화 : 야수냥꾼

- 특성 : 웅크린 / 자유 / 강철 매의 상(활기) / 광야 / 저승까마귀 / 글레이브

- 문양 : 공저 / 죽표 / 동물교감

 

 

ㄴ. 딜방식

 

- 사냥꾼 본체가 가랄론 몸통을 딜하더라도, 펫은 무조건 밀리와 같이 이동시킬 것

- 으깨기와 격노가 겹치지 않도록 쿨기 배분을 할 것

 

 

ㄷ. 생존기 및 유틸기

 

- 페로몬 대상자로 드리블을 하게 되는 경우, 으깨기가 겹치는 구간이라면 으깨기가 오기전에 공저를 사용

 

 

 

 

 

 

4. 멜자라크

 

ㄱ. 추천전문화/특성/문양

 

- 전문화 : 생존냥꾼

- 특성 : 웅크린 / 침사(비룡) / 강철 매의 상 / 자유 / 저승까마귀 / 글레이브(탄막)

- 문양 : 공저 / 죽표 / 동물교감

- 치유사 차단 예비조로 배정받게 된다면 침사를, 메즈조거나 혹은 메즈에 도움을 주고 싶다면 비룡

- 단일딜에 무게를 두겠다면 글레이브, 광딜에 무게를 두겠다면 탄막

- 멜자라크 촉진 해제를 위해서라면 열정, 오로지 광딜만 신경써도 된다면 전율, 무모함때의 단일딜에 초점을 맞추겠다면 광야

- 추천도는 광야 > 열정 = 전율

- 가속도 cap 등에 신경쓰기 보다는 열정이나 전율을 찍겠다면 재연마는 치명타 > 특화 > 가속 으로

 

 

ㄴ. 딜방식

 

- 전투시작과 동시에 쿨기를 돌리기 보다는 멜자라크 첫 무모함때 쿨기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

- 전투시간이 6분 이내의 전투가 예상된다면 블러드에 맞춰 쇄도를 사용, 그 이상이라면 첫 무모함때 쇄도를 사용한 후 전투 종료즈음에 사용

- 물약은 블러드에 맞춰서 마실 것

- 무모함 버프가 활성화 된다면 검화를 멜자라크에 쓰는 편이 더 좋다고 생각(4p 구비중이라면 실탄 발동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음)

- 빙덫으로 메즈 몹들에 메즈 지원을 하면서 실탄 내부쿨마다 실탄이 발동하게끔 유도할 수도 있음

- 그 외에는 폭덫 쿨마다 유지

 

 

ㄷ. 생존기 및 유틸기

 

- 웅크린을 투자하여 공심에서 매우 유용한 공저를 적재적소에 사용할 것

- 바람폭탄이 주위에 있어서 갇혔다고 점프 공저로 그 위를 지날 수 없음, 애초에 갇히지 않도록 위치선정을 잘해야 함

 

 

 

 

 

 

5. 운속

 

ㄱ. 추천전문화/특성/문양

 

- 전문화 : 생존냥꾼

- 특성 : 웅크린 / 자유 / 강철 매의 상 / 자유 / 저승까마귀 / 탄막

- 문양 : 공저 / 죽표 / 동물교감

- 생냥을 한다면 슬라임 광딜에 더 무게를 두겠다는 의미고, 그런 면에서 탄막은 매우 좋은 궁합

 

 

ㄴ. 딜방식

 

- 트라이하는 입장이라면 피해증가 디버프가 누적된 대상(운속 혹은 호박석 괴수)에 폭샷을 박고 그 외의 몹에는 쐐기만 유지하는 방식은 추천하지 않음

- 내가 그렇게 하게 되면 DPS는 높게 보이겠지만 다른 누군가가 슬라임이나 변형자에 부족한 딜을 더 메꾸고 있다는 의미

- 단, 저까는 운속이나 괴수에 사용할 것

- 중첩 유지만 잘되고 적절한 수의 밀리가 있다면 충분히 괴수 딜은 4~5변형 이내에 마무리가 될 수 있음

 

 

ㄷ. 탄막 운용 방법

 

- 본체 시야에 따라 넓게 부채꼴 모양의 사정거리내의 모든 대상에게 피해를 줌

- 따라서 슬라임을 터뜨리기로 약속한 장소 근방에서 좌 45도 우45도, 총 전방 90도 이내에 모든 몹들이 모이도록 하여 탄막을 사용할 것

- 실제로 나가는 범위가 더 크기는 하지만, 간간히 버그로 화살이 날라가지만 피해는 없는 경우가 있음

- 가능하면 탄막 사용시에는 바로 정면에 위치한 몹을 대상으로 잡고 사용하는 편이 안정적임

 

 

ㄹ. 생명변형시 대처법은 공통된 공략이므로 여기서는 생략

 

 

 

 

 

6. 세크지르

 

ㄱ. 추천전문화/특성/문양

 

- 전문화 : 생존냥꾼 > 야수냥꾼

- 특성 : 웅크린 / 침사 / 강철 매의 상 / 전율(열정, 광야) / 저승까마귀 / 탄막(글레이브)

- 문양 : 공저 / 죽표 / 동물교감

 

 

ㄴ. 전투의 흐름 및 딜방식

 

- 전진(2:30) - 후퇴(2:30) - 전진(2:30) - 후퇴(2:30) - 전진(약 1분~1:30) - 페이즈 변환 후 킬

- 쇄도와 만반은 매 전진때마다 사용할 수 있음

- 피의 격노와 광폭화도 매 전진때마다 사용가능, 피격은 전진/후퇴 각각 모두 사용가능

- 블러드(영웅심)는 전투시작 직후와 세번째 전진때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

 

 

ㄷ. 후퇴시 딜방식

 

- 독사쐐기 상향 후 후퇴시 사냥꾼의 딜링, 특히 생냥의 딜링이 매우 좋아짐

- 3마리 / 3마리씩 나눠서 탱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는 것을 전제로 적자면

- 처음 한무리는 눈속과 함께 그리고 반대편 3마리에 일제사격을 사용한 후, platebuff 등과 같은 애드온으로 독사쐐기 리필을 꾸준히 할 것

- 후퇴페이즈를 진행하다보면 결국 시선 집중때문에 2마리씩 남게 되거나 1마리만 남게되는데 그럴 경우에는 일제사격 보다는 그냥 독사쐐기를 사용할 것

- 쐐기 리필은 일제 혹은 단일 독사쐐기로(독사쐐기 연마 피해도 고려)

- 시선집중 드리블하는 구역에 냉덫 지원 등을 하여 실탄 발동도 고려 할 것

 

 

ㄹ. 생존기 및 유틸기

 

- 불협화음의 장이 터지기 전에 공저가 활성화되어 있다면 장 폭발 피해는 안들어옴

- 더불어 공저문양이라면 50% 대미지 감소 효과를 공포의 비명이나 섬뜩한 비명 등의 부가 피해를 줄일 수도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