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눕아락 25하드의 핵심중 하나는 바로 냉관힐입니다.
착취의 무리로 인해 공격대의 체력을 최소로 유지하면서,
힐을 받아야 하는 탱커/냉관대상자만 콕 찝어서 힐을 해야합니다.

탱힐/냉관힐 분배가 제대로 되어있고,
힐러들이 한눈을 팔지 않으며, 별다른 변수가 없다면 냉관힐 대처가 어려운 편은 아닙니다.
하지만 게임의 난이도는 상대적이기 때문에,
혹시라도 냉관힐 때문에 곤란을 겪고 있는 공격대가 있다면 이것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우선 착취의 무리의 툴팁입니다.
아눕아락의 체력이 30%에 도달하면, 착취의 무리를 시전해서,
매 1초마다 공대원이 지닌 현재 생명력의 30%를 흡수합니다.


이전 글에서 밝힌 것처럼, 이 흡수 메커니즘은 데미지 감소 등의 기술로 대응할 수 없으며,
오로지, 저항을 통해서만 뎀감이 가능합니다.
기억해야하는 것은 착취의 무리 최소 데미지가 250이라는 것입니다.

냉기관통은 아눕아락이 지속적으로 랜덤 공격대원 5명에게 거는 디버프입니다.
이 디버프는 3초마다 6000의 피해를 입힙니다.


냉저 오라를 통해 130의 냉저를 가지게 되면,
최소 10%의 데미지 감소 효과를 얻습니다.
6000*0.9 = 5400
여기에 새로운 희망/성축으로 인한 3% 뎀감을 추가하면,
5400*0.97 = 5238.
냉관으로 인해 틱당 최대 5238의 데미지를 받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 계산은 로그를 통해 쉽게 검증할 수 있습니다.
보시면 5238이라는 수치가 최대인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가끔 저항이 뜨는 것인지, 빗맞음이 뜨는 것인지 가끔 4명에게 거는 일도 있습니다.
이전에 바쉬의 설득이나 대모의 치명적인 매력을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뭐 디버프를 가끔 적게 걸어준다는데 거절할필요가 없죠.

정리를 하자면,
착취의 무리는 1초당 최소 250의 피해를 전 공대원에게 줍니다.
반대로 말하면 탱커를 제외한 모든 공대원들에게 250 hps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냉관 대상자에게는 3초마다 5238이상의 체력이 추가로 필요합니다.
하지만, 착취는 1초 틱이고, 냉관은 3초틱이기 때문에,
냉관을 위해 복구한 체력이 착취로 인해 감소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냥 간단하게, 냉관 대상자는 만피를 유지한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탱커와 냉관대상자 5명에게는 만피.
그외 공대원은 250 hps를 제공하고 그외엔 힐 금지.



위의 조건에는 여러가지 대응 방법이 있겠지만,
와우 헤드의 내용을 통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1. 고술,정술의 "치유의 토템"
치유의 토템은 매2초마다 파티원의 생명력을 회복시킵니다.


고술/정술의 치유토템 틱당 힐은 300~400 사이로 보시면 됩니다.
2초당 300~400 힐이기 때문에, 치유토템 하나로만 착취를 커버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막연하게 생각해본다면,
착취로 인해 현재 남은 체력에서 1초당 30%씩 체력이 빠지고, 최소 데미지가 250일 경우,
치유 토템으로 300~400씩 2초마다 체력이 차면 어느 정도 생존할 수 있지 않을까? 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계산 해봤습니다.

조건은 만피에서 착취로만 데미지를 받고, 치유토템으로 2초당 380의 힐을 받으며,
저항은 자저 130으로 최소 데미지 10%만 적용을 해봤습니다.
만피를 25000정도로 가정한다면,
치유토템 380으로만 힐을 받은 공대원은 대략 31초가 지나면 사망합니다.
운좋게 착취 저항이 잘뜨더라도 35초~38초 선입니다.


참고로 아눕아락 킬타임 세계 1등인 BEEF BAR의 3페이즈 지속시간은 59초 입니다.
결론은 고술/정술의 치유토템 1개만으로는 해결이 되지 않습니다.

그럼? 고술과 정술의 치유토템을 1개 파티에 동시에 적용 해주면 됩니다.
치유토템은 다른 버프와는 달리 공대원의 체력을 치유시키기 때문에,
토템 2개이상이 동시에 적용 가능합니다.
치유토템 2개가 적용된 로그입니다.


2. 복술의 "치유의 토템"
일반적으로 복술은 복원의 토템 특성을 찍기 때문에,
치유 토템으로 2초당 550의 힐량을 만들어 냅니다.
치유토템은 거의 완벽하게 1개 파티를 살려내며, 착취의 무리에 하드카운터가 됩니다.
아래 로그를 참고하세요.



3. 암사의 "흡혈의 선물"
암사 흡선 역시, 암사의 파밍 수준, 흡선 연마 특성 포이트에 따라 250HPS이상을 만들어 냅니다.
이는 암사의 DPS에 따라 흡선의 HPS가 결정 되기 때문에, 로그를 참고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혹시 공격대에서 감이 살짝 안오신다면, 암사의 흡선연마를 최소 1포인트 이상 찍으시길 추천 드립니다.
흡선연마 0포인트로 공대원이 사망한 케이스를 한번 봤습니다.

4. 빛의 심판
성기사가 아눕에게 거는 빛심은,
냥꾼을 포함하는 물리 데미지 딜러에게 확실한 생존 방법이 됩니다.
따라서 3페이즈에 징기는 무조건 아눕에게 빛심을 유지해야 합니다.



위의 내용을 기준으로 파티 구성을 짜보겠습니다.
3탱/5힐/17딜(7밀리,2냥,8캐스터)입니다.


우선 1파와 2파는 탱힐/빛심으로 착취에 대응 합니다.
3파는 암사의 흡선.
4파는 정술/고술의 치유토템
5파는 복술의 치유토템으로 대응합니다.

이외에도 신기 성빛 문양, 야드의 무리의 우두머리 연마, 술사의 토템 문양 등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각 공격대가 처한 상황과 티오가 상이하니, 이는 각자의 상황에 맞춰 수정하시면 됩니다.
힐러가 냉관에 자꾸 죽는다면, 성빛 문양으로 힐러 체력을 전담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물론 아눕의 착취 HPS를 분명 상승합니다.
그것도 꽤나...


다음은 냉관힐의 대처입니다.
일반적으로 딜러와 힐러는 생석으로 냉관을 대응하며,
본인이 가진 생존기도 함께 사용이 가능합니다.

딜러가 생석으로 대응 했다면,
힐러가 3초마다 2명에게 최소 5238 힐을 주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여기에 위크오라와 힐러 감수성을 살짝 가미해서 좀더 쉽게 만들어보겠습니다.
우선 사용할 위크오라는

Barney Penetrating Cold Glow

https://wago.io/BarneyPCGlow
입니다

이 위크오라는 프레임에 냉기관통 대상자에게 번호를 부여합니다.
번호를 부여하는 규칙은 간단합니다. 프레임상 파티 순서로, 파티 내에서는 위에서 아래입니다.


예를 들어 이렇게 번호가 부여됩니다.

2파티 내에서는 죽기2명 딜전이 냉관에 걸렸으며, 위에서 아래로 차례대로 1,2,3을 부여받습니다.
그다음 순위는 4파티의 법사이고, 마지막은 5파티의 복술입니다.

이 규칙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일반적으로 1파티의 1,2,3은 아눕멘탱,쫄탱1,쫄탱2가 배치되고,
이들에게는 별도의 냉관힐이 그다지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1파티의 남은 2자리를 "도적"으로 채워준다면,
1파티의 전원은 냉관힐을 신경꺼도 확률적으로 큰 문제가 없습니다.

위에서 말했다시피 냉관 번호는 1파티부터 1번이 매겨지기 때문에,
냉관힐러를 배정할 때, 1번은 숙련도가 낮은 힐러나, 냉관힐이 불리한 힐러에게 배정하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냉관힐이 가장 유리한 것은 수사이기 때문에, 수사에게 1번을 배정하면,
수사가 가진 냉관힐 포텐셜을 버리는 결과를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수사에게 4,5번을 배정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는 또다른 장점이 있습니다.
3페이즈에서 가장 생존해야 하는 클래스는 다름 아닌 힐러인데,
힐러는 일반적으로 5파에 배치되기 때문에, 4,5번을 할당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4,5번 냉관힐을 수사에게 지정한다면,
사실상 힐러가 냉관으로 죽을일은 0%에 수렴합니다.
아 물론 수사가 제대로 대처는 해야겠죠? ㅋㅋ


위의 힐러 감수성을 이용한 프레임 배치를 조금 발전시켜서 다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종전의 힐러 배치입니다.


눈치가 빠르신분들은 아시겠지만,
냉관힐러가 포커싱을 해야하는 클래스는 프레임에서 모아둔 것을 발견하실 수 있습니다.

우선 탱커 3명은 냉관힐을 따로 배정하지 않아도 알아서 생존이 가능합니다.
여기에 도적2명은 그망이 있으므로 1번은 자생이 가능합니다.
징기는 무적이 있고, 죽기는 대마보/얼인이 있습니다.



이렇게 총 8명을 우선순위에 배치한다면,
냉관번호 중 1번은 사실상 신경을 꺼도 현실적으로 큰 문제가 없습니다

확률로 계산해보겠습니다.
(계산 부분은 패스하시고 결론만 보셔도 됩니다.)
25명의 공대원에게 5개의 냉관 디버프가 걸릴 경우의 수는 25 C 5 입니다.
25 C 5 = 25 X 24 X 23 X 22 X 21 / 5 / 4 / 3 / 2 / 1 = 53,130

여기에 8명을 제외한 17명에게만 냉관 디버프가 5개 걸릴 경우의 수는 18 C 5 입니다.
18 C 5 = 18 X 17 X 16 X 15 X 14 / 5 / 4 / 3 / 2 / 1 = 8,568

즉 25명의 공대원에게 냉관 디버프 5개가 올 경우의 수는 총 53,130개인데,
그중에 뒤에 17명에게만 냉관이 올 경우의 수는 8,568입니다.
53,130 에서 8,568을 빼면, 적어도, 1개의 냉관이 8명에게 들어갈 경우의 수가 되기 때문에
53130 - 8568 = 44562.
결국 냉관 에 강한 8명에게 최소 1개의 냉관이 올 확률은 83.88%가 됩니다.

3페이즈의 지속시간동안 냉관은 4~5회 오기 때문에,
3페이즈 내내 1번 냉관을 힐을 주지 않아도 0.8 명의 사망자가 발생할 가능성만 있습니다.
(물론 이는 극단적인 설정이며, 실제로는 1냉관 지정 힐러가 있어야 합니다.
다만 1번 냉관을 배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능숙한 힐러는 제외하자는 것입니다.
가장 능숙한 힐러는 프레임 뒤를 봐줘야 합니다.)


아 물론 두번 연속 걸리면 위험하긴 합니다 ㅋㅋ
그것도 확률을 구해보면 대충 내가 5번의 냉관중 2회 이상 걸릴 확률은,
26.38%로 그다지 높지 않습니다.(계산과정 생략)

여기에
법사는 얼방, 신기는 무적이 있습니다.
거기까지 제외하고나면,



이렇게 냉관힐을 봐야하는 클래스가 모아지게 됩니다.
특히 우선순위가 높은 암사, 정술, 고술, 복술, 수사는
힐을 받기 쉽게(마우스를 올리기 쉽게) 3,4,5, 파티 상단에 위치시켰습니다.

여기에 생존이 중요한 클래스에 영석을 배정하면 더욱 공격대가 단단해 집니다.
저는 암사, 수사, 회드에게 배정을 추천드립니다.
쫄탱도 죽을 수있지만, 그건 또 다른 숙련도의 문제이기 때문에...
탱 급사는 다른곳에서 해법을 찾으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이는 어디까지나 신기와 복술을 하면서 얻게된 개인적인 "힐러 감수성"을 통해서 만들어본 결과입니다.
그러므로 개인의 취향이 첨가되어 있으므로, 절대 모두에게 정답이 될 수 없음을 꼭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아래 내용은 위의 프레임 구성으로 아눕을 트라이한 결과입니다.
공대원분들이 잘해서 운좋게 50트에 성공했는데, 3페이즈 냉관 번호가 어떻게 매겨지는지 참고로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주로 보셔야 하는 것은 "1번 냉관을 얼마나 지우는지/대처하는지 입니다."

<기본 배치>


3페 돌입하는 첫 냉관은 만피로 맞으므로 패스.

<3페 두번째 냉관, 1번 냉관 - 도적>


그망으로 제거


<3페 세번째 냉관, 1번 냉관 - 다른 도적>


오예 또 그망 개꿀


<3페 네번째 냉관>
1냉관 쫄탱 - 응~ 신기가 힐주면 그만이야~
2,3 냉관 죽기 - 대마보 키면 그만이야~


물론 운빨이긴 하지만,
이와같이 나름 효과는 분명히 있습니다.
이것은 냉관 번호를 힐러에게 배정안하고, 프레임 순으로 2명의 힐러가 냉관에 대처할때도,
굉장히 유용합니다.

오랜만에 예전 확률 계산을 끄집어내서 혹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힐러도 리분와서 신기 복술을 시작한거라 제가 잘 모르는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