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이 글은 분방을 시작하는 분들이나,
딜전에서 탱커로 전향하여 이제 분방으로 탱을 시작해보려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적어봅니다.

또한 템셋팅이나 이런 부분에 대한 얘기는 (어떤템이 좋다)
조금만 검색 해봐도 알 수 있고,
혹은 대부분 알고 계시다고 생각하여 구체적인 템 셋팅에 대한 얘기는 하지 않을게요.

저는 성격상 직접 레이드로 꼴아박아보고 데이터(로그) 분석해서
내 스스로 맞다고 생각하는 셋팅을 찾아가는 스타일이기 때문에
와클 시작부터 지금까지 탱킹을 하고 경험에 의한 글을 적는 것 뿐이니 
의견 차이가 있다면 그냥 개인적인 성향일 뿐이라고 생각해주세요.

제 개인적으로 분방 시작할때 알았으면 좋았을 것 같다는 사항만 몇가지 정리 해봤습니다.
아 그리고 저는 호드입니다. 가치판단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 본인이 탱킹을 해야 하는 무대가 어디인가?
와클은 수 많은 레이드 공격대가 있습니다. (고정골팟,정규,반고정,모출팟 등등) 
이 중에서도 로그를 지향하는 극한의 어그로를 요구하는 곳도 있고 
적당히 밸런스(생존+어그로)가 잡힌 메인탱을 구하는 막공 들도 있죠. 
여기서 본인이 어디에서 탱킹을 할것이고 셋팅이 좋아지면 어디로 갈지 생각하고 셋팅 하셔야 합니다. 
로그팟을 지향한다면 극어그로 셋팅으로 가셔야 할테고 
그렇게 갈 것이 아니라면 밸런스에 맞게 셋팅을 하셔야 합니다.

- 이건 앞으로 분방탱 아이템을 파밍하는 순서나 템 선택에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2. 분방탱은 탱이지 딜러가 아니다.
처음 분방탱을 시작하는 분들이 흔히 생각하시는 부분이 분방탱은 딜도 세다고 생각합니다.
아주 틀린말은 아닙니다. 딜로 어그로를 잡는것도 맞습니다. 하지만 그게 다는 아니란 뜻 입니다.
분방탱을 처음 시작하시면 대부분의 경우 본인이 생각한것 보다 딜이 그렇게 세진 않다는걸 알게 됩니다.
이게 좋은게 맞나? 어그로가 방특때보다 센건 맞나? 로그보면 딜 1등도 하던데? 
처음엔 이런 의문들이 생길 수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 그래서 다시 방특으로 돌아가 2주동안 레이드를 했습니다.
그리고 분방이 어그로가 훨씬 높다는걸 알게되고 다시 분방으로 돌아왔습니다.
기본적으로 분방탱은 같은 템일 경우 방특보다 어그로 수치가 더 높은게 맞습니다.
방특도 이렇게 셋팅하면 높은데요? 방특으로도 TPS 얼마얼마까지 나오던데요?
이런 얘기는 아무 쓸모가 없습니다. 왜냐면 그 템으로 분방하면 어그로 더나와요.
치명타가 낮으면 분방해도 쓸모 없다고 하는 분들도 있는데, 
그래도 동템의 방특보단 더 높은 어그로 확보가 가능합니다.
또한 셋팅이 좋아질 수록 딜도 상승합니다.

- 분방은 방특보다 어그로가 높은게 맞고, 딜이 낮다하여 동기를 잃거나 후회하지 마세요.

3. 무기 숙련(검술가) 관련하여 고민 후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처음 분방탱을 시작하게 되면 검술가(무기숙련)에 대한 고민도 생깁니다. 
보유한 무기에 따라 혹은 종족에 따라 무기숙련에 대한 고민과 검술가에 대한 고민이 생기죠.
검술가는 스탯(힘민체)이 없는 방어구 입니다. 
따라서 검술가 사용유무나 앞으로 살것인지 말것인지에 따라 템 셋팅도 확연히 달라집니다.
그 중에서도 무기 선택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검술가 필요 유무를 미리 고민하고 결정하여 
무기가 드랍되었을때 확실한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
인간/오크여서 도검/도끼 착용을 했는데 
나중에 다른 무기가 나와 구입하고 사용중에 검술가의 필요성을 느끼고
추가적으로 골드를 소모하는 일이 없으시길 바랍니다.
또한 무기 숙련은 정말 중요한 스탯입니다. 절대 이 부분을 간과하고 탱을 시작하지 마세요.

- 본인 종족이나 보유 무기들을 생각하고 무기 숙련(검술가)에 대한 결정을 하고 탱을 시작하세요.

4. 탱전과 딜전은 스탯과 옵션에 대한 우선순위가 다르다.
제 경험상 탱전의 경우 체력과 치명타 방어도가 중요하고 그 다음이 전투력 입니다.
여기서 방어도가 전투력보다 중요하다고 말하는게 논란의 여지를 줄 수 있으나,
레이드 보스한테 직접 뚜까 맞고 댐지 리듀스율을 직접 확인하고 내린 결론 입니다.
분방탱은 어디까지나 탱커이지 딜러가 아니라는 점을 꼭 인지하세요.
본인의 셋팅에서 모자란 부분이 무엇인지 파악을 하고 도핑이나 외부 버프 등으로 커버를 하거나
아이템 파밍 목록에 필요부분을 채워줄 수 있는 아이템을 추가해야 합니다.

- 딜전에게 좋은템이 분방탱에게 항상 좋은건 아니니, 본인에게 필요한 옵션을 가지고 있는 템을 우선파밍 하세요.

5. 외부버프가 없을때를 생각하고 아이템 셋팅을 해야 한다.
분방탱은 외부버프를 빡세게 준비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아닙니다.
분방탱에게 외부버프는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는 용도이지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아닙니다.
물론 개인적인 만족을 위해 (로그) 외부버프를 준비하는건 좋습니다. 개인적인 선택이니까요~
개인적인 만족때문에 준비하는게 아니라면 본인 셋팅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는 용도로 사용하세요.
또한 죽은 이후에도 레이드 메인탱킹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아이템이나 도핑을 준비하세요.
이번에 나온 잔자의 기백 2시간 물약은 이런 부분에서 아주 좋은 물약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부분은 위에 말씀드린 4번 항목과도 연관성이 있는 부분 입니다.

- 외부버프는 나의 부족함을 채워주는 것일뿐, 외부버프 없이 레이드 탱킹이 불가능하다면 셋팅의 문제가 있는것이다.

6. 탱킹 택틱에 대한 구상을 해야 한다.
탱커에겐 경험이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알고 있는것과 처음 하는것은 너무나도 큰 차이가 있기 때문이죠.
혹시나 전딜을 하시다 탱킹을 처음 시작하신다면 딜과 탱은 완전히 다르다는걸 알고 시작하셔야 합니다.
레이드 보스의 패턴은 대부분 알고 계실겁니다. 하지만 탱이 아니면 겪어보지 못했을 상황도 생길 수 있습니다.
레이드를 가기 전에 머릿속으로 보스별 상황을 생각해보시고 어떻게 쿨을 쓰고 탱싸이클을 돌릴지 생각하세요.
갑작스레 체력이 빠지거나 까다로운 보스패턴이 있다면 어떻게 대처할지 미리 고민하고
그게 맞춰 스킬을 어떻게 써야 할지 계획을 세워두거나 매크로를 미리 짜놓으시는것을 추천합니다.
검둥의 경우 밸라는 특히 어떻게 탱킹을 할지 미리 이미지트레이닝을 해보시는것을 추천 합니다.

- 갑작스런 상황이나 특수한 상황에 대한 택틱을 미리 생각해보고 준비해야 합니다.

7. 레이드 후 로그 점수보단 세부내용을 파악해라.
로그 점수가 중요하지 않다는 뜻이 아니니 오해는 없으시길 바랍니다.
레이드 후 로그 점수를 보는것 보다는 클리어 타임과 본인의 TPS와 받은피해 및 대미지 리듀스 등을 파악하고,
만약 레이드 중에 죽었다면 왜 죽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또한 데미지 미터기도 데미지 창보다는 죽음 창으로 바꿔 두는것을 추천 합니다.
레이드 중에도 죽었다면 바로 세부내용을 확인해서 대략적인 문제를 파악해야 합니다.
탱커는 점수도 중요하지만 그 외적인 세부내용도 중요합니다.
본인이 어떤스킬을 얼마나 썼는지 얼마나 시전했는지 등도 꼭 파악해보시고
탱킹 사이클에 대한 생각도 해보셔야 합니다.

- 레이드 끝난 후 꼭 로그를 파악해서 스킬 사이클이나 아이템 셋팅의 방향성을 찾아야 합니다.



글만 오지게 많아서 도움이 될진 모르겠지만,
탱커가 많아졌으면 하는 바램에 여태 경험한 내용들을 생각하여 정리해 봤습니다.

탱은 보이는 부분보다 보이지 않는 부분이 더 많은 역할입니다.
두려워 하지 마시고 더 많은 분들이 탱을 하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