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크홀라 트랙스프링이라고 합니다.
전에는 얼음피에 있었죠.
냥꾼 트랙스프링, 부캐로 사제오리처음, 산자
얼음피에서 있었던 분은 제 이름을 아는 분이 있을 지 궁금하네요

저도 티가 나게 딜을 잘하는 건 아닙니다.
그러나 이론을 이해하는 거하고 실전을 잘하는 거하고는 다르죠.
딜이 떨어져도 설명을 잘할 수는 있죠. 감안하시고 읽어주십쇼.

아래 내용들은 만반 생냥일 경우입니다만 매상연마 생냥이나 야냥일 경우에도 다르진 않습니다.
공속이 같으면 사이클은 똑같죠.

 옵션과 매크로 세팅
옵션-인터페이스-전투 탭으로 가서 자동 공격/자동 발사를 꺼야 합니다
그리고 근접 칠때 매크로를 이용하게 되는데 제가 쓰는 것은 어디서 긁어와서
#showtooltip 랩터의 일격
/시전중지
/targetenemy [noharm]
/target [@mouseover,harm]
/시전 랩터의 일격
/시전 [exists,target=pettarget]살상 명령
/공격시작
/stopmacro [@mouseover,noharm]
/targetlasttarget
이렇게 쓰고 있는데 요점은 아래 세줄입니다. 시전중지 대신에 공격중지를 쓸 수도 있습니다.
/시전중지
/시전 랩터의 일격
/공격시작

스킬별 데미지 가정
경험상 자동사격/고정사격/일제사격/신사 데미지 비율은
각각 1 / 1 / 1.1 / 0.9 이 정도인데 다음에 이어지는 내용에서 각 스킬 데미지는 1이라 가정하겠습니다
이유는 일제-신사가 보통 짝지어 나오기 때문에 상쇄가 된다고 생각하고
신사를 더 많이 쓰게 될 때는 근접 공격 데미지와 역시 상쇄가 되어 1이 된다고 가정합니다
근접 뎀지는 1.1에서 고술 혹은 전딜이 있을 때 1.3, 둘 다 있을 때는 1.5까지 예상합니다만
보수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1로 계산합니다

지연시간 평가
위빙을 치게 되면 내가 지금 위빙을 잘하고 있는 건지 혹시 빼먹는 자동사격은 없는 지는 지연시간을 보면 됩니다
앞에서 각 스킬 뎀지를 편의상 1로 계산한다고 했는데 다시 말하면 스킬 뎀지=스킬 발사횟수 입니다.
예를 들어 생냥 무가속일 때 5411 사이클로 치게 되는데 이 사이클은 초당 0.995발입니다. 
대충 초당 1 발사라고 하고 역수를 취하면 1발당 1초네요
여기에 위빙을 끼워넣게 되면 지연시간이 찍히는데요. 지연시간이 0인게 최선입니다만
지연시간이 1초가 찍히게 되면 위빙 안했을 때하고 뎀지가 똑같습니다.
지연시간 0.5초가 찍히게 되면 0.5초=0.5발을 버는 거죠
각 사이클 별로 초당 몇발짜리 사이클인 걸 알게 되면 
위빙을 했을 때 그 역수인 한발에 몇초 걸리는 지 안에서 지연시간이 나와줘야 위빙으로 이득을 보게 됩니다

위빙 사이클
5511 생냥 무가속일 때

표에 위빙x일 때 0.92라고 기입되어 있는데 이 가속에서 5411 사이클이 초당 0.995발, 약 1발로 계산되니까
이거하고 대비를 해야 합니다. 
위빙했을 때 초당 1발에서 1.09발로 약 9퍼센트 데미지 증가네요. 지연시간이 없이 친다면 1.15발까지 나옵니다
두번째 표에서 현실적이라고 써놓은 건 랩터 치는데 1.1초가 걸린다고 계산한 겁니다.
세번째 그림에서 노란색 근이라고 써있는게 밀리위빙 들어가는 자리고 위에 보면 역시 노란색으로 그 부분에 간격이 얼마나 나오는 지 계산해 놨습니다. 첫번째 경우를 설명하면 3.48-2.61=0.87초 간격이 있는 거죠. 이거를 랩터를 1.1초 걸려서 치고 나오면 한 0.23초 정도 지연시간이 찍히겠네요.
제일 밑에 보면 (1), (2), (3)으로 구역을 나눠놨는데 각각 계산해보면 효율이 똑같습니다.
상황별로 조합을 다르게 할 수도 있는데
메즈를 해서 일제를 칠 수가 없다 그러면 2-3-2-3 이런 식으로 치면 되고
일제를 좀더 치고 싶다 그러면 1-2-1-2 이런 식으로, 1-2에 소요되는 시간 10.43초가 딱 일제 사격 시간에 맞습니다.
시너지가 좋아서 위빙을 더 많이 하고 싶다 그러면 1-3-2-3 이런 식으로 치면 됩니다

5511, 용뼈 혹은 가속물약

용뼈가 발동되어도 같은 5511 사이클로 치면 됩니다.
이제는 시간이 부족해서 위에 설명한 1-2-1-2, 일제-신사-일제-신사 이런 식으로 치는 건 못치게 됩니다.
일제-신사-고사 이렇게 치거나 신사-고사-신사-고사 이렇게 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앞서 내용에서 3번 구간 고사 파트, 고근평 이 부분이 가속이 늘어남에 따라 간격이 점점 좁아져서 위빙치기 힘들어지네요.
일제와 신사 들어가는 부분 가격은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
위빙X 1.08발 대 위빙 할 때 보통 1.24발 약 15퍼센트 증가

고평 1대1, 속사+블러드 발동시

시간표가 길게 늘어났는데 
간단히 말하면 고평이 기본으로 두 사이클 당 한번씩 고정사격을 신사+랩터 혹은 일제+근접 으로 대체합니다
신사-일제-신사 이렇게 번갈아 가면서 치는 거죠. 네번째는 신사도 쿨이고 일제도 쿨이라 고사만 두번쳤는데
위빙 칠 생각 있으면 쐐기+근접 혹은 덫+근접 치면 되겠습니다. 덫하고 쐐기가 뎀지가 반밖에 안나오긴 하지만
근접 치는 여유는 별로 변한게 없어요. 오히려 리듬감이 생겨서 더 치기 쉬운 느낌이에요

고평평 혹은 고평고평평, 속사+블러드+(물약 혹은 용뼈)

위빙을 안쓸 때 2대3 사이클 고평고평평 사이클하고 비교했을 때입니다.
두 사이클을 다 적긴 했는데 저는 고평(근)평 이걸 쓰네요. 근접 뎀지 1로 계산하면 비슷한데 
근접 뎀지가 실전에는 더 나오기도 하고 용뼈나 물약 시간이 길지가 않은데 최대한 근접을 많이 치는게 더 좋다고 보고요. 고평평에서는 여기선 계산을 안해놨는데 신사를 끼워 넣을 수도 있고요.
물약이나 용뼈 지속시간 남은 게 6초 이상이면 신사를 끼워 넣어서 뎀지를 더 늘릴 수 있습니다.
고평(근)평 치는게 제는 더 쉽게 느껴지네요.
그래도 소리달을 먹으면 고평고평(근)평 이게 고사 비율이 높아서 더 좋아질 지도 몰라서 참고로 넣었습니다.
근접 치는 간격은 0.95초,  일일이 계산해서 적어보니 쉽게 생각할 수 있는 거하고 다르게 고가속이라고 위빙이 더 어려워지는 게 아니네요. 여기까지는 말이죠.
물론 이거는 성공했을 때 이야기고 이쯤에서는 위빙 안칠 때 대략 초당 1.5초니까 1발당 0.67초, 실패했을 때 리스크는 더 커집니다. 1.5초만 버벅대도 두발 이상 손해보는 거니까요. 장신구 돌릴 걸 생각하면 거의 세발이네요.
그림의 계산은 속사+블러드+가속물약입니다. 용뼈+가속물약일 때도 이 사이클로 칩니다.

위빙 시나리오
아래 표는 실제 딜을 할 때 시간 순으로 대충 어떤 식으로 흘러가게 될 것이다 가정을 해서 표로 만들어봤습니다.

흔히 초블 때리면 속사켜고 장신구 물약을 다 돌리죠. 이때 고평(근)평 사이클을 돌리다가
물약 꺼지면 고평신(근)평고평일(근)평~~ 이렇게 1대1 사이클
그러다가 용뼈 켜지면 다시 고평(근)평 돌아가고
다 꺼지면 5511 사이클 치고
물약 쿨 돌아오면 용뼈까지 켜지면 1대1 사이클 아니면 치던대로 5511 차고
그러다 다시 속사 돌아오고
2블 받으면 물약이 있거나 용뼈가 켜지면 좋은데 아니면 5511로 계속 치면 됩니다. 잘.

위빙 연습
5511은 그냥 용뼈만 차고 연습하면 되는데
1대1 사이클 이상부터는 야냥인 경우에는 2.0 활을 몇개 사들고 가서 연습하면 되고요 
(2.0보다 빠른 활은 의미가 없음)
생냥인 경우는 가속템을 파밍해야 하는데, 아마 파밍이 안되어 있을 겁니다. 전부위 파밍해야 하는데
줄아만+검사에 부족한 부분 휘장템해서 가속템을 전부위 파밍하면 가속도 370정도 됩니다 
여기에 2.0 활을 들고 연습을 합니다. 없으면 야냥으로 특변해서 연습해야죠.



개인적인 의견과 하고 싶은 말
불성 일년동안 하면서 지나치는 냥꾼님들 중에 딜을 잘하는 분도 있었고 못하는 분도 있었습니다.
불성 냥꾼 딜은 우리가 흔히 피지컬이라고 말하는 부분 이런 부분은 개인차가 있어서 잘하는 분 못하는 분이 있는 게 당연합니다.
 그렇지만 몰라서 못하는 부분, 예를 들면 상황에 따라 이때는 어떤 딜사이클을 넣어야 하는 지 알지 못해서 딜이 안나오는 경우에는 알기만 하면 누구라도 좋아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밀리위빙도 그런 부분이 없지 않나 생각을 할 때가 있습니다. 흔히 말하기를 고술+전딜 시너지가 없으면 딜이 개선되지 않는다. 위빙을 치려면 피지컬이 필요하다. 이런 점에서 제 생각은 좀 다르기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어떤 사이클로 질 건지, 위빙을 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어떻게 아는 지. 알게 된다면 충분히 위빙 시도할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피지컬이나 시너지가 특별히 필요하게 아니란 것을 보이기 위해 그냥 일반적인 복술 사너지에서 근접 뎀지가 평타 뎀지하고 비슷하다고 가정했고 위빙 빨리치면 물론 좋지만 글에서 계산한대로 1초 언저리에서 위빙 쳐도 10퍼센트 이상 뎀지가 늘어난다고 계산했습니다.
물론 실수가 없어야 하겠네요. 이점에서는 피지컬이 필요하겠네요. 집중력.

 이제 불성도 얼마남지 않았네요. 항상 기대하면서 레이드 가는데 하고 나서는 울고싶습니다. 기대에 못미쳐서
예전에 불성 막판에야 와우시작해서 불성 제대로 못해봤고 리분 냥꾼이 어떤지는 이미 경험해 봤기 때문에 불성에서 뭔가를 해보고 싶었는데 누구 말마따나 갈길은 먼데 날이 저무네요. 오자서가 그랬던가요?
혹시나 밀리위빙 관심있으신데 얼마나 어떻게 연습을 해야 할 지 몰라서 주저한 분이 있으면 이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만약 이글이 도움이 되었으면 오다가다 보면 귓말이라도 주십쇼. 글 잘봤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