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기에 앞서 아래의 글을 읽고 오시면 현재 이런 후기가 작성된 흐름을 파악하시는데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https://www.inven.co.kr/board/wow/5917/679


아무래도 후기에 앞서 비교가 먼저겠죠?
< 최적화 전 / 최적화 후 / 냉기 DPS >비교 

최적화 전 스펙
<뿔피리 버프 획득 기준>
 
방어합 : 52% (강력한 방어의 비약 복용 기준. 실질적으로는 무기막기, 회피, 피적중 확률의 합)
피치명 : 5.2% (강력한 방어의 비약 복용시 5.6%)
생명력 : 약 25800

 
냉기 DPS vs 최적화 전
<뿔피리 버프 획득, 냉기 DPS 기준>
치명타율 : 약 2.14배(절멸 사용시 약 1.54배)
숙련 : +3 

 최적화 전 단계도 이전의 최적화를 거쳐왔기에, DPS가 오른 것은 사실입니다. 그렇기에 DPS 3k 이상은 쉽게 달성하였습니다. 냅둬도 4k는 달성하겠지요.
 그러나 추가 목표에 가까웠던 딜러의 70% 수준은 아예 꿈도 못꿀 경지까지 벌어진 상황입니다.

 간단하게 봐도, 이렇게 탱만 하던 사람이 그냥 심심 삼아 맞춰낸 DPS 스펙에도 크게 밀리는 모습을 볼 수 있죠.

 결국, 전투력을 아무리 키워서 선형성을 강화하여도, 비선형성 또한 딜의 핵심이기에 결국 기초 확률에서 100% 이상의 차이가 벌어진 상황은 운으로도 만회할 수가 없는 겁니다. 그럴 운이 따라올 리도 없죠.


최적화 후
<뿔피리 버프 획득 기준>
방어합 : 48%(강력한 방어의 비약 복용 기준)
피치명 : 5.26%(강력한 방어의 비약 복용시 5.62%)
방어숙련도 : 505(비약 미 복용 기준)
생명력 : 약 25500
세트효과 : DPS 티어 2셋 효과 추가, 탱킹 티어 4셋 효과 누락
문양 : 작렬하는 분노 문양 > 룬의 일격 문양 ( 전투력이 워낙 높고, 도살기 3포인트 덕분에 무질병 플레이로도 위협수치 수급에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기타 : 느린 무기 사용

냉기 DPS vs 최적화 후
<뿔피리 버프 획득, 다크문 카드 : 광전사 3중첩 버프 획득, 냉기 DPS 기준>
치명타율 :  약 1.43배 (절멸 사용시 약 1.19배)
전투력 : 178 열세

 정말 많이 따라잡았습니다. 오히려 전투력과 힘에서는 DPS 스펙이 큰 열세를 보입니다.
 전투력이 영약 수치에 준하게 벌어진만큼 혈기의 형상과 냉기의 형상에서 얻게되는 공격력 차이를 다소 상쇄시키는 힘이 있습니다.
 특히, 힘 차이가 174, 이렇게 벌어진다는 건 이후 여러 버프들에서 이 공격력 차이를 더 근소치로 만들 수 있다는 가능성을 만들어줍니다.
 물론 적중도에 의해서, 그리고 앞을 때리는 탱커의 특성에 의해서 많은 평타가 빗나갈 거고, 스킬도 막힐 겁니다. 그걸 감안 하더라도 많이 따라왔습니다. 


 영던에서는?

 사실 지금의 가장 큰 화두는 아래의 스샷에서부터 얼마나 더 큰 DTPS 상승이 있을 것이냐는 거겠죠.
 지금 상위 혈죽들처럼 6.5k 이렇게 넘어버리면, 챔피언에 대항해보자는 리치본의 목표 자체가 많이 어긋나니까요. (DTPS와 DPS를 반대개념으로 유지하며 대응하기 힘든 것도 사실입니다. 간신히 따라 붙는 정도겠죠. 그정도로 챔피언의 지표는 너무 훌륭합니다.)

 보석을 힘보석으로 갈아끼운 저 당시와 지금의 스펙을 비교하자면, 방어 숙련은 약 30정도 차이가 나고, 방어합만 약 7% 차이가 납니다.(이전 완방도 52~53%로 표기되었는데, 확인하니 그건 공포의 얼음갑옷이 합산되지 않는 확률이었습니다.)

 이 말은 같은 타격수에서 더 맞을 것이고, '얼음같은 인내력'의 데미지 감소율이 줄어들 것을 얘기합니다. 심지어 시간도 3초 줄었죠.

 그런 의미에서 영던을 안갈 수는 없었습니다.



 스샷이나, 로그 기록으로는 남기지 않았기에 느낌평 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일단 DPS에서는 큰 성공을 거둡니다. 이전과는 다르게 3800~4000대 기어스코어 유저들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는 느낌이 확연합니다. 
 다만, 느린 무기의 답답함이 좀 생겼습니다. 거기에 추가로 완방이 낮아진 반동으로 인해 룬의 일격이 다소 약화되는 느낌을 받습니다. 

 방어적 측면에서 보자면 다소 체감이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네요.
 번전에서는 로켄 전 무쇠 드워프들과 브리쿨들에게 2번 전멸했습니다. 물론 한 무리씩 진행했다면 아무런 문제 없었지만, 평소처럼 2~3무리씩 계속 몰아야만 기존과 동일한 조건에서 차이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기에 계속해서 무리를 했습니다.
 결국 다구간 몰이를 진행 중일 때 힐러가 메즈되는 상황에서 버티는 시간이 너무 짧아졌다는 점은 시인할 수 밖에 없더군요.(그 구간만 템 갈아입고 다시 몰아서 했습니다.) 물론 이게 지금 현재의 레이드에서 벌어지는 상황은 아니지만, 다소 경각심을 가져야하는 부분이 생겼습니다.
 이어서, 방숙의 부재가 괴리감을 불러냈습니다. 즉, 얼음같은 인내력이 생각보다 못 버틴다는 느낌을 받은 겁니다. 예전에는 그냥 기스도 안 나게 굳건했다면 지금은 균열이 갑니다. 그렇다고 번전 정도를 제외하면 지금 4~5무리 모는 게 문제 되는 시점은 아닙니다. 
 그리고 3초의 시간이 생각보다 크게 느껴집니다. 21초에 익숙해진 시점에서 18초가 되니, "벌써 끝나?" 이 생각이 확 듭니다.

 종합하자면, 해당 최적화는 상황에 따라 바꾸는 것이 옳은 판단입니다.
 예를 들면 살타리온 할 때 템을 갈아입으셔야겠죠. 그렇기에 저 또한 템을 갈아입으면 생명력이 28800정도 나오는 세팅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공략에 무리가 안 가는 정도로 계속 조절하는 유연함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최적화 Tip

1. 다크문 카드 : 광전사, 강력한 방어의 비약은 기본으로 사용하신다는 마음가짐 하에서 세팅하시는 게 좋습니다.
피치명이 비약을 먹지 않고 오버하신다면, 전투력 영약을 쓰는 것도 좋겠습니다.

2. 최소 마지노 선을 말씀드리면,
 1) 피치명 : 5.2~5.24%(5.2%에서 비약 먹고 5.6%갈수도 있고, 5.22%에서 5.58%가 될 수도 있습니다. 항상 피치명 계산을 잘하셔야 합니다. 이어서, 왜 이런 차이가 나는지는 저에게 물으셔도 답 없습니다. 위크오라로 보는 거라서요. 다만 탄력도 위주로 세팅할 때 저런 오차값이 나온다는 것 정도는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2) 방어합 : 48%(이 이하에서는 체감상 지옥입니다.)
 3) 체력 1700 이상 (이 밑으로 떨어지면 레이드 버프시 2200 체력도 힘듭니다. 방패를 들 수 없기에 목표는 2300 이상이 맞다고 봅니다.)

3. 스탯 우선순위 선별
 방숙 > 체력 > 힘

 피치명 5.6%에 도달하느냐, 마느냐가 핵심이기 때문에, 딜템을 더 착용하고 싶다면 방숙 높은 템을 선별하여 끼셔야 합니다. 그 다음 선별한 딜템을 낄 때에는 체력이 높은 템을 고르셔야 합니다.

4. 최적화 세팅에서의 명품 아이템

 흑요석 철갑투구 ( 머리 - 살타리온 25 - 추가 전리품) : 딜스탯과 체력이 어마어마하게 높습니다.
 무한 야망 ( 목걸이 - 켈투자드 25)
 부정한 기사의 팔보호구 ( 손목 - 훈련교관 라주비어스 25) : 힘, 방숙 모두 우월합니다.
 용기의 스컬지 건틀릿 ( 손 - 살타리온 25 - DPS 티어) : 체력이 탱커 티어보다 높습니다.
 기사도 벨트 ( 허리 - 그라불루스 25) : 체력이 살아있는 무쇠 허리띠(무용의 문장 40)과 동일합니다.
 통치자의 다리갑옷( 말리고스 25) : 이걸 채용하면 방숙은 크게 늘지만, 티어셋과 대비하여 힘은 크게 줄어듭니다. 
 인내의 발덮개 ( 글루스, 타디우스 25) : 방숙이 높습니다.
 난공불락 요새의 인장( 손가락 - 용맹의 문장 25) : 방숙이 매우 높습니다.
 무정함의 고리 (손가락 - 낙스마라스 25) : 체력 대비 치명타 적중도가 높습니다. 없을 경우 키린 토 반지도 좋습니다. 
 최후의 미소 (무기 - 켈투자드 25) : DPS 최적화를 위한 결전무기입니다.

 *주의 : 여기에 나온 템들을 모두 착용하라는 것이 아닙니다. 이들을 조합하여 최적화 세팅을 하라는 겁니다. 


 마치며...
 이번에는 1차원적인 안내를 해보려고 노력은 했습니다. 제가 선구자도 아닌 마당에.... 이렇게 적는 게 좀 뭔가 어색합니다.
 그리고 혈죽탱에서 이러한 dps 세팅 적용시키지 마세요. 이거 냉죽탱만 가능할 거 같습니다. 혈죽 특성상 체력 이득점 버리시면, 이도저도 안 됩니다. 체력으로 버텨야되는 탱이, 뎀감으로 버티는 탱의 세팅을 따라오려는 것 자체가 넌센스입니다.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