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부입니다. 
6-10위까지의 토지들 또한 한 나라나 종족을 부양했거나 부양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비옥한 지역들입니다.
재밌게 봐주세요~
------------------------

6위-엘윈숲(★)

점수: 4점- (토양1/수자원1/목재1/지하자원1)
얼라이언스의 기둥인 스톰윈드의 요람지라고 할 수 있는 지역입니다. 
면적은 크지 않지만 왕국의 기틀을 다지기에 적합한 대부분의 자원들이 풍부하게 존재합니다. 
단 놀과 도적단 등이 출몰하고 그만큼 늘어난 상주 인구로 인해 수렵할 만한 야생동물은 그리 많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1)토양


엘윈숲엔 밀, 멜론, 포도, 호박 등을 기르는 밭과 과수원이 강을 따라 분포해 있으며 
이 비옥한 토지에서 난 생산물들은 서부몰락지의 곡물과 함께 스톰윈드를 먹여살리는 역할을 합니다. 
북녘골 수도원에도 강을 따라 포도밭이 있습니다.

2)수자원

지도에 보이듯이 엘윈숲은 무려 4갈래의 강줄기와 하나의 호수가 있으며 멀록들이 물고기를 잡고 살 정도로 깨끗한 
물과 물고기가 풍부합니다. 강을 따라 나루터들이 있어 화물을 실어나르거나 고기를 잡는 것으로 보입니다.

3)목재



엘윈숲은 스톰윈드의 산업과 전쟁의 기반이 되는 목재들이 비옥한 토지를 따라 빽빽하게 자라있으며, 
동쪽계곡 벌목지에선 목재를 스톰윈드나 붉은마루 산맥으로 수송합니다.

4)지하자원

엘윈숲엔 3곳의 광산들이 있습니다.
왼쪽부터 남쪽의 개미굴 광산과 북녘골의 메아리 광산, 돌무덤 호수 근처의 벽옥맥 광산이 있으며
이 곳들은 구리, 벽옥과 황금을 생산합니다. 비록 도적단이나 놀이 점거하는 경우가 다반사였지만요.



7위-가시덤불 골짜기(★★★★)

점수: 4점- (면적1/목재1/수렵1/지하1)
줄구룹을 거점으로 활동한 구루바시 제국의 근거지인 북부 가시덤불과 가시덤불 곶은 광대한 밀림지로, 
산과 숲으로 둘러싸여 있고 자원이 풍부해 투자개발회사 고블린들이 진출해 있으며 무법항이 있는 장소이기도 합니다. 

1)면적

맵이 워낙 크기에 나뉘어져 있지만 환경과 역사면에서 같은 지역으로 봐도 무관하며, 토지의 면적은 광활합니다.

2)목재

회색구릉지와 마찬가지로 북부 가시덤불엔 투자개발회사가 진출해 목재를 쓸어담고 있습니다. 
가시덤불 곶은 언덕 지형이 많고 광산과 유전이 있어 벌목보단 채굴 작업이 집중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3)수렵

골짜기와 곶을 아우르는 지역엔 랩터, 원숭이, 악어 등의 숲트롤 원주민들이 즐겨먹을 만한 동물들이 서식합니다.  
곶 끝단의 자구에로 섬은 고릴라들의 왕이 지배하는 섬이기도 할 정도로 야생동물들이 많습니다.

4)지하자원

가시덤불 곶엔 왼쪽부터 수정 광산과 은빛수정 광산의 2개 광산이 있으며, 
특히 은빛수정 광산에선 값비싼 다이아몬드가 대량으로 생산되기에 
얼라이언스와 호드가 전쟁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격돌을 벌이고 있습니다.
전장을 통해 확인할 수 있죠, 




또한 서쪽의 하드렌치 은신처와 동쪽의 해안선에선 유전들이 들어서 석유가 채취되고 있으며 곶에 지하자원이 풍부하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죠.



8위-은빛소나무 숲(★)

점수: 4점- (토양1/수자원1/목재1/지하자원1)
의외라고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현재 포세이큰이 지배하고 있는 은빛소나무 숲 또한 재건될 경우 상당히 풍요로운 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서부역병지대가 안돌할을 중심으로 주로 곡물을 생산해 배포하는 곡창지대라면, 은빛소나무 숲은 (재건될 경우) 농작물은 물론 광물, 목재도 풍부한 지역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위치상 과거엔 길니아스와 달라란, 스트롬가드로 가는 무역로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1)토양

포세이큰은 음식을 먹지 않아도 크게 무리가 없기에 과거 로데론의 농장들이 방치되어 있지만,
이 많은 농지들은 개발이 된 상태이기에 재건될 경우 상당한 식량을 생산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인간들이 버티고 있는 몇몇 지역에선 호박이나 밀이 소량 길러지기도 합니다. 

2)수자원

바다와 로다미어 호수의 가운데에 있어 농작물에 댈 물과 어류 모두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오염되지 않았다면요. 

3)목재

먹을 필요가 그다지 없는 포세이큰들도 전쟁물자에 필요한 목재들은 은빛소나무 숲과 티리스팔 숲을 통해 충당하는 것으로 추측되며, 거대한 소나무 종이 넓은 지역에 걸쳐 자라고 있습니다. 
잿빛골짜기를 비롯해 호드의 주요 전쟁물자 충당지로 추측됩니다. 
격아에서 얼라이언스가 차지할 경우 뼈아픈 손실이겠지요.

4)지하자원

은빛소나무 숲엔 비록 거미에 잠식되었지만 왼쪽부터 심원 광산과 암흑 광산의 2개 광산이 있습니다. 
심원 광산에선 수정이 생산되며, 암흑 광산에서도 쪼렙 지역에서 캘 수 있는 구리나 주석이 채취가능합니다.



9위-잿빛골짜기(★)  

점수: 4점- (면적1/수자원1/목재2)  
나이트엘프와 호드의 불화의 시발점이자 아직까지 분쟁이 이어지고 있는 드넓은 골짜기입니다. 
칼림도어에서 가장 큰 숲이며, 격전의 아제로스에서 호드가 칼림도어의 통제권을 확보할 경우 굉장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장소이기도 합니다. 다만 나이트엘프가 고대부터 지켜온 이곳을 쉽게 포기할지는 모르겠네요!

1)면적

아제로스의 웬만한 지역들의 1.5배에서 2배에 달하는 단일 맵으로, 
토지의 크기는 나그란드와 네바람의 계곡보다 더 크거나 비슷합니다.

2)수자원

숲 곳곳에 강과 작은 호수들이 있으며 아제로스에서 가장 거대한 나무들이 빨아들일 수 있을 만큼 
지하수를 포함한 물이 매우 풍부한 것으로 보입니다.

3)목재


동쪽부터 서쪽까지 거대 나무들의 바다가 펼쳐져 있으며, 골짜기 전체에 그늘을 드리우고 있습니다. 
워3부터 호드가 듀로타 건국을 위해 미친듯이 목재를 잘라갔음에도 
나무가 없는 곳이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로 목재가 풍부합니다.
곡물로 치자면 네바람의 계곡과 맞먹는 생산량을 자랑하는 곳이라 +2를 주었습니다.
 

 
10위-서부몰락지(★☆)

점수: 3.5점- (토양1.5/수자원1/지하자원1)
사실 10위인 서부몰락지는 아제로스의 웬만한 숲, 초원, 곡창지대와 거의 비슷한 등급이라고 봐도 무관합니다. 
만 인접 지역들(엘윈숲, 그늘숲)과의 시너지가 있을 수 있는 점, 이미 개발이 이루어져 있고 재건될 경우 발휘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아 0.5의 포인트를 더 주었습니다.

1)토양

네 바람의 계곡이 판다리아를 먹여살렸다면 서부몰락지는 스케일은 상대적으로 작지만 한때 스톰윈드를 먹여살린 풍부한 곡물을 생산했던 지역입니다. 

아직도 과거 곡창지대의 모습들을 방치된 밀, 호박 농장들을 통해 엿볼 수 있으며, 
격아에서 얼라이언스가 동부왕국의 통제권과 치안을 다시금 확보할 경우 주요 군량생산지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토양에 0.5점을 더 주었습니다.  

2)수자원
넓은 해안선을 따라 바다와 맞닿아 있어 마음만 먹는다면 물고기를 조달할 수 있으며, 엘윈숲과 그늘숲을 경계로 흐르는 강에서 과거처럼 농작물에 댈 물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3)지하자원
서부몰락지는 곡창지대이기도 하지만 의외로 풍부한 광물자원이 매장되어 있으며, 
3곳의 광산이 있습니다.

현 죽음의 폐광은 과거 1차 대전쟁 당시 인간의 영토에서 가장 많은 황금을 생산하던 있는 장소이기도 합니다.
전쟁으로 인해 방치되어 폐광이 되었지만 아직 데피아즈단이 지하에서 군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황금을 캐내고 있는 
정황이 포착됩니다. 

또한 펄브라우 호박밭 인근엔 현재는 구리와 주석등을 캘 수 있는 장고로드 광산이 있으며, 
분노의 협곡 근처의 방치된 황금해안 채석장에선 한때 석재가 생산되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
사실 5위 밑으로 3점 이상의 점수를 받을 수 있는 대부분의 농지나 초원, 산림지대는 아제로스에 굉장히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멀고어, 티리스팔 숲, 울부짖는 협만, 힐스브래드 구릉지, 솔라자르분지, 운고로, 높은산과
발샤라, 던 모로, 유랑도, 서부역병지, 고르그론드, 돌발톱 산맥등이 비옥하거나 광물 매장량이 풍부한 땅들이죠.

봐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