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멸의 눈동자 10단계 꼭 돌아야 하나요?
세인만 있다면 간단하게 공략 가능한 만큼, 하루 3회 보상은 꼭 챙기자

파멸의 눈동자에선 선봉장, 성기사, 추적자 세 종류의 세트 장비를 얻을 수 있다. 현재 핵심 콘텐츠에서 사용되는 주류 장비는 아니기에 파밍 순위는 낮은 편이다. 다만, 성기사 세트는 유이나 리나 등 체력 기반 힐러가 이용할 수 있는 장비이고, 일부 세팅에 따라 추적자 장비가 필요하게 될 수도 있어 틈틈이 파밍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특히 일일 3회 장비 추가 획득 보상은 꼭 챙기도록 하자.

파멸의 눈동자는 세인만 가지고 있다면 비교적 쉽게 공략이 가능하다. 세인은 앞선 출석 이벤트(20일차)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만큼, 레이드의 접근성이 좋다고 볼 수 있다. 세인 이외에도 유이나 에반 등의 다른 영웅도 쉽게 얻을 수 있으며, 배포 영웅인 에이스와 레이첼을 활용하면 손쉽게 조합을 완성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파멸의 눈동자 10단계 조합 및 세팅
세인의 딜보단 팀 전체의 생존이 더 중요

딜 견적이 중요한 우마왕, 강철의 포식자와 달리, 파멸의 눈동자는 딜보단 덱의 유지력이 더 중요한 레이드다. 특히 전열에 구성된 영웅이 잘 버텨주는 것이 관건이다. 따라서 모든 영웅의 유지력에 관여하는 유이의 성장세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메인 딜러인 세인의 성장도 당연히 중요하다. 세인은 궁극 강화 2회가 필수이며, 장비는 복수자 세트를 이용한다. 패시브 덕분에 확정 치명타를 세팅하는 것이 그리 어렵지는 않은 편이며, 치명타 확률이 부족해 클리어하지 못하는 경우는 드물다. 따라서 치명타 확률 100% 세팅에 크게 연연하지 않아도 된다. 스킬 강화 우선순위는 스킬2(귀신 베기), 패시브(악마의 힘), 기본 공격 순이다.



유이와 에반은 팀 전체의 생존력에 영향을 주는 만큼, 메인 딜러 다음으로 성장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초월이나 스킬 강화 상태에 따라 궁극 강화를 진행하면 된다. 특히 유이의 경우, 성기사 4세트 장착 시 회복량이 크게 늘어나는 만큼 성장 우선순위를 높게 잡도록 하자.

이외에 에반, 레이첼, 에이스는 버틸 수 있는 수준으로만 세팅하면 된다. 유이의 궁극 강화와 초월이 진행된 경우라면 보통 방어구 궁극 강화만 진행해도 괜찮다.



✅ 파멸의 눈동자 10단계 조합 및 세팅

- 세인 (2궁강)
스킬 강화 : 스킬2 강화 추천
장비 : 복수자 4세트(무기 : 치명타 피해 · 치명타 확률, 방어구 : 모든 공격력 % · 모든 공격력 %)

- 유이 (2궁강)
스킬 강화 : 스킬2 강화 추천(생존력)
장비 : 성기사 4세트(무기 : 생명력 % · 생명력 % 방어구 : 생명력 % · 생명력 %)

- 에반, 레이첼, 에이스 (1궁강)
스킬 강화 : 별도의 스킬 강화를 진행하지 않아도 무방
에반 장비 : 수호자 2세트(무기 : 방어력 %, 방어구 : 방어력 % · 방어력 %)
레이첼 장비 : 성기사 2세트(무기 : 생명력 %, 방어구 : 생명력 % · 생명력 %)
에이스 장비 : 수문장 2세트(무기 : 방어력 %, 방어구 : 받는 피해 감소 · 받는 피해 감소)


반복 전투 스킬 예약 순서와 최소 딜견적은?
유이의 부활, 회복 1, 2순위! 레이첼의 디버프도 이용하자

세인의 귀신 베기로 3만 이상의 딜을 낼 수 있다면, 파멸의 눈동자 10단계는 클리어가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스킬 우선순위 1순위와 2순위는 모두 유이의 스킬이다. 아군 부활 스킬인 '축복의 선율'을 1순위로 두는 이유는 해당 스킬을 최우선으로 사용하되, 사망한 아군이 없을 경우엔 나머지 스킬을 사용하는 메커니즘을 지녔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3순위에 배정할 스킬은 전체적인 덱 성장에 따라 차이가 있다. 만약 최소컷 수준이거나 간혹 패배가 발생하는 경우 레이첼의 '염화'를 배치하고, 유지력에 큰 문제가 없을 때는 세인의 '귀신 베기'를 배치하는 식이다. '염화'를 3순위에 배치할 경우 평균 전투 시간이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지만,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게 된다.

세인의 메인 딜링 스킬 '귀신 베기'는 38초의 짧은 쿨타임을 지닌 만큼 많이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회복과 디버프(염화)에 턴을 할애하는 만큼 불새의 디버프까지 활용하기엔 쿨타임이 많이 꼬이게 된다. 따라서 불새는 5~6순위에 배치해도 무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