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02-04 15:25
조회: 8,177
추천: 6
XIGNCODE-E019100B 에러 관련 작은 팁입니다.유저게시판에서 검색해보니 저번주에도 이 버그로 고생하시는 분이 계시더군요. XIGNCODE 에서 E019000B 버그 나서 고생하고 계신 분들이 아직도 꽤 있는 듯 하기도 해서, 공홈 공략게시판에 써둔 글을 혹시나 싶은 마음에 인벤팁게에도 복사해서 남겨봅니다. 무조건 이게 원인이다! 라고 하는 건 아닙니다. 강조하는데, 수많은 가능성 중 하나일 뿐입니다. 저도 일단 "버그가 터지는 빈도수" 자체만 줄이는데 성공한 겁니다. 만약 1-2주 정도의 기간이 지나는 동안 전혀 안 보이게 되면, 그때는 이 글도 수정해서 "해결되는 방법 중 하나" 라고 쓸 수 있겠지요. - 즉, 아직도 1-2일에 한 번 정도씩은 보고있다는 뜻입니다. 가장 먼저 "설치 폴더" 를 점검해보세요. 1. 하드디스크 용량 관리 등등의 이유로 일부러 "설치 폴더" 를 바꾸거나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도 원인 중 하나였습니다. 설치 폴더의 기본 설정은 "C:NexonTreeOfSavior" 입니다. 그런데, 이걸 다른 하드디스크나 다른 이름의 폴더로 변경을 할 경우도 해당 에러가 발생하더군요. 일단 먼저 클라이언트 재설치로 설치되는 폴더부터 기본 설정으로 돌려두세요. 트오세 클라이언트에 존재하는 버그와 에러의 종류와 범주가 넓어서 가능한 기본 설정으로 돌리는게, 그나마 원인을 좁혀들어가는데 도움이 됩니다. 2. 윈도우 7 이후의 OS 에서는 바탕화면에 "가젯" 을 얹어놓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메모장, 시계, 리소스 모니터 등등과 같은 가젯 말입니다. 그런 가젯류와 XIGNCODE 가 충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젯 종류를 싹 끄고 윈도우 작업관리자에서 SIDEBAR.EXE 라는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클라이언트를 재실행해보세요. 3. 상주형 메모장이나 상주형 RSS 뷰어를 사용하시는 분들도, E019100B 에러 발생시, 해당 메모장 프로그램 혹은 RSS 뷰어를 일단 시작 프로그램에서 삭제해서 재부팅해서 클라이언트 재실행을 시도해보시기 바랍니다. - 윈도우 기본 탑재 어플리케이션인 NOTEPAD 가 아닌, 메모장을 바탕화면에 띄워놓는 상주형 프로그램을 말하는 겁니다. 만약 이런 방식에 해결이 된다면, 해당 가젯 이나 어플리케이션을 아예 삭제해버리는 쪽을 권합니다. 실행도 되지 않은 상태인데도 불구하고, 설치가 되어있다는 것만으로 싸잡아 E019100B 에러가 출력되면서 실행이 안 되더군요. 4. 이것 말고도, 오프라인 친구가 트오세 하다가 알약 때문에 트오세 클라이언트 실행 안 되는 경우가 생겨서 해결해준 적도 있는데. 그렇게 흔한 건 아니지만, 바이러스 백신 (알약, V3, 어베스트 등등) 와 충돌하는 경우도 있으니까 참고하시고요. 정리 - 1. 클라이언트 완전 재설치 ( 기본 설치 폴더 설정 : C:NexonTreeOfSavior ) -> 윈도우 기본 시간 설정 동기화 -> 재부팅 - 성공 - 트오세 클라이언트 설치폴더는 언제나 기본 설정으로. - 실패 - 다음 단계로 ㅠㅠ 2. 윈도우 바탕화면 가젯 종료 -> 윈도우 기본 시간 설정 동기화 -> XMAG.XEM 파일 삭제 -> 재부팅 - 성공 - 트오세 클라이언트 실행하기 전 가젯을 미리 종료. - 실패 - 다음 단계 ㅠㅠ 3 - 1. 윈도우 메모장 (윈도우 기본 탑재 NOTEPAD 아님) 및 RSS 뷰어 관련 프로그램 프로세스 종료 -> 윈도우 기본 시간 설정 동기화 -> XMAG.XEM 파일 삭제 -> 재부팅 - 성공 - 트오세 클라이언트 실행전 해당 프로그램 미리 종료 - 실패 - 다음 단계 3 - 2. 윈도우 메모장 (윈도우 기본 탑재 NOTEPAD 아님) 및 RSS 뷰어 관련 프로그램을 아예 삭제 -> 윈도우 기본 시간 설정 동기화 -> XMAG.XEM 파일 삭제 -> 재부팅 - 성공 - 트오세 클라이언트 실행전 해당 프로그램 미리 종료 - 실패 - 다음 단계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4. 기존에 사용중인 바이러스 백신 (방화벽 포함) 을 시작 프로그램에서 삭제 -> 윈도우 기본 시간 설정 동기화 -> XMAG.XEM 파일 삭제 -> 재부팅 - 실행 성공 & 실패 - 바이러스 백신을 종류별로 다 테스트해보고 충돌하지 않는 백신 찾기. - 알약 , 어베스트 , V3 등등 수많은 백신을 테스트해봐도 안 될 경우 ... 저도 몰라요 ㅠㅠ! 그나마 다행인 것은, 지금까지 약 4-5일 정도는 해당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겁니다. 하지만 언제 또 재발할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남아있는 상태입니다. 제 컴퓨터에서 해당 에러가 발생한 시점이 신년 이벤트 시작하기 전이었고, 꾸준히 계속되어왔으며 그 기간동안 유저 게시판에서 해당 에러에 시달리고 있다는 내용의 글을 본 것이 한두번도 아니었습니다. 나름 제가 아는 선에서만이라도 어떻게든 대처해서 어느 정도 문제가 수습은 된 상태인지라, 만에 하나라도 혹시나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 글을 남깁니다. 그리고, 만에 하나 혹시나 싶어서 다시 수정으로 추가합니다. 이게 팁게에 쓰일만한 주제가 아니다고 생각되시거나, 내용에 결함이 있다 싶으시면 문제제기 부탁드립니다. 어디까지나 해당 에러를 직접 해결해온 경험의 기억에 의존해서 쓴 글이라 문제의 여지는 있을 수 있고, 보충해야할 내용도 있을 수 있으니까요.
EXP
171
(71%)
/ 201
|
...아, 슬프다.
혹시나 제가 GM 대신 이런 거 쓰니까 오해받고 있나 싶어서... ㅠㅠㅠㅠ;
소심소심 유저라 ㅠㅠ
사인코드쪽에서 실시간적으로 감지하는데 이게 뭔가 트래픽같은게 올라와 걸려 꺼질수도 있기 때문에 백신끄는것도 같은 맥락으로 보시면 될테고,심지어는 저 사인코드 블루투스 기능이 켜져있어도 걸리는 경우도봤습니다( 이경우 네트워크 단에 뭔가 트래픽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판명되어 차단되어 보임)
가장쉬운 방법은 백신같은거 다 끄시는 방법도 있겠지만, 안쓰시는 프로그램들 있으면 전부 끄시고 실행해보시는것도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거 왠지.
병... 읍!읍! 쪽이 더 중요한 것 같은 느낌이 왜 들까요... [병무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