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에서 전략 보완을 위해 썼던 글을 정술에 좀 맞춰서 올립니다.

원거리 딜러진에 대한 보완점 부분을 바탕으로 수정하고 있습니다.


절대적이진 않지만!(당연히!!!) wmo 베스틸락 25하드에서 1위 찍은 경험을 바탕으로

쓰는 것이니 어느정도 도움은 되실 겁니다. 사실 공대 딜러분들이 더 적응되니까 요즘엔

오히려 디피 올리기 더 어렵더군요-_-;


--공대에 썼던 글 발췌--

b. dps 관련


현재 장비가 좋은 공대원이 대기할 때도 있고 해서, dps가 다소 오르락 내리락 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공대원은 장비는 좋아지지 나빠지는 경우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죠.

외곽조를 제외하고 생각하면, 현재 본진 딜러와 위층 딜러 이렇게 구분하면 되겠는 데

아쉽게도 아직도 공대 공략 방법에 따른 딜링방법을 쉽게 찾지 못한 분도 있긴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위층 딜러는 거의 단일몹에 대한 딜링과 탈출로 이루어져있으므로 본진 딜러에 대한 이야기만 하겟습니다.


ㄱ. 도발되서 온 실거미만 딜링한다는 생각을 버리세요.

위에 달려있는 몹에 딜을 넣어놓으셔도 도발이 택틱에 맞춰서 수행되면 다 본진옵니다.

열심히 딜하다 보시면 느끼셨을 텐데, 본진에 온 몹은 이미 반피거나 오자마자 반피 이하로 내려갑니다.

밀리시라면 모를까 원거리인데, 본진에 온 거미만 광치실 생각으로 사이클을 돌리고 계시다면

분명히 미터기에서 아래로 내려가 있으실 겁니다.


ㄴ. 정상적인 딜 콤보를 실거미에 넣지세요. 특히 도트.

흑마를 예로 들겠습니다. 아래 있는 거미 모인거에 지수병 뺑이 돌려놓고 위에 딜을 넣어놓아야지! 까지는 좋습니다.

그런데 만약에 위에 매달린 실거미에 부패-제물-굴단... 이런식으로 다 돌려넣으시고 있다면 이건 바꾸셔야합니다.

꽤 많은 양을 모아 처리하는 3번째 수거미 쯤에 가서도 실거미의 생존 시간은 대개 10-15초면 거의다 죽습니다.

더군다나 초반에야 말할 것도 없죠.


즉! 넣어놓은 도트가 다 소모가 되지조차 않습니다.


조드를 다시 예로 들면 곤떼와 달섬(태불) 2종을 하나 하나 다 넣는 것은 아깝다는 것입니다.

버섯재배로 밑에 모인 애들을 처리하고 별똥별을 돌리면서 달섬(태불)질을 돌려 박는게 훨씬 이득이라는 거죠.

5초 뒤에 죽을 몹에 사이클이라고 도트를 우겨넣고 있으시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ㄷ. 타겟을 놓치지 마세요.

공대 로그를 보시고 dps시간을 보시면 아실텐데, dps 시간을 최대한 올릴 수 있게 타겟팅을 놓치지 말으셔야합니다.

간단히 말해서 땅에 도발되있는 게 없으니, 올 때까지 본진서 춤을 추실 게 아니라

딜링을 위에 수거미에 넣고 있으셔야 하며 실거미/수거미가 다 처리되었을 때에는

새끼거미에 단발 기술이라도 쏘셔야한다는 겁니다.

그리고 도트류를 사용하는 딜러의 경우 몹이 있는 상황이라면 무엇하나라도 어떤 몹에라도

딜링이 박혀있어야한다는 말도 되겠습니다.

탭타겟팅 뿐만이 아니라 시야를 넓게 하시고, 이름표를 찍고 캐릭터를 움직이셔서라도 

딜을 우겨넣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술사 자체--

1. 올라가는 베스에 화충 박고 시작하셔도 좋지만, 발동형 장신구 있으시면 꽤 짜증나실 겁니다.


그래서 전 토템도 그냥 본진에서 대기하다가 실거미 내려올때 박고 사용형 장신구 돌리고 불정 부르고 시작합니다.


보통 이렇게 해도 광데미지에 마격이나 화산이 발동하는 빈도가 좀 높습니다-_-;


마격이야 그렇다 쳐도 화산이 발동하시면(지능 1600), 사용형 장신구류 추가로 돌리시고 그냥 불정 뽑으시는 게 이득입니다.


>>다만 부를 당시의 이 불정이 받은 버프를 기억해두시기 바랍니다<<


중간에 2번 정도, 막판(2페)에 화산 빨고 한번 더 쳐서 약 3번 정도 더 박으실텐데(25기준) 시간이 다 지난


불정도 아닌 데, 더 빈약한 버프의 불정으로 리필하시면 디피가 줄줄 샙니다.


실수로 수거미에게 가지 않을 정도로 불정을 잘못 박으셨어도(또는 불정이 멍때려도) 다음 실거미 한번 정도까진


기다려주세요. 다음 실거미에야 뭍어서 때리다가 자연스레 수거미 가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한번 더 본 실거미인데도 멍때리면 불타로 지워주세요. 입으로 불정 ㅅㅂ ㅅㅂ를 외치시면 다음에 일 더 잘합니다.


본인에게 뜨는 버프를 dfilter 등으로 주시하시면서, 새 불정 리필시 다시 꼭 기억하세요. 중간에 더 상위 버프로


무장된 상태로 리셋되면 다시 부르시면 좋습니다. (ex> 리셋 상황에서 현재 불정이 마력 격류+불진으로 부른 불정인데


현재 화산버프가 떴으며 기공 손가락까지 돌렸다.-> 파워 불정 리필. 수치는 어느 정도 외워두셔야겠죠^^;)


2. 불정 이야기는 고만하고(개생키 맨날 파업해-_-;) 실거미 도발로 본진 모으기가 보통 기본적인데,


위에 공대 딜러에 대한 부분에서 썼지만 이거 다 모인 바닥의 실거미만 딜링한다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내려오는 거 인식하자 마자 한놈 잡고 화충-용폭 -번화 -> 2~3타겟 이상 모인 실거미 연번 -> 화충 박은 놈이


본진에 올때쯤 불회 - 피 많은 놈 찍어서 번화 - 연번 이런 식으로 돌리시면 됩니다.


그리고 공대의 입구 막이가 정상적이라서 자주 밀쳐줘야할 필요가 없으면 천폭도 쓰시면 됩니다.


새끼 거미는 밀쳐지지만 실거미는 딜링만 됩니다.(안 날라감)


이걸 종합해서 추천 문양[불회 범위] [번개촉발(무리 거미 박아주시면서 때리면 공장이 예뻐함)] 정도입니다.


화충 문양은 2페나 수거미 딜링에 유리하지만, 기본적으론 번촉을 더 추천드립니다.


그냥 딜량 자체는 화충 박은 쪽이 더나오긴 합니다. 그리고 [천폭쿨감소(딜링에 자주 쓰시고 새끼도 새면 팍팍 미세요)]


연번문양은 공대 상황 따라 다르지만 점점 공대가 잘하게 되면 효율이 떨어집니다. 타겟 수가 오히려 적어지면서


팅기지를 않아요 ㅠ-ㅠ;


수거미 나오면 수거미에 최대한의 사이클을 돌려넣으시고, 본진에 붙은 실거미에 화충 2개 정도 넣고 불회 두번 정도


돌리면서 사이클 돌리셔서 수거미에 화충 다시 넣을 필요도 없고 광딜도 되게 하시면 됩니다. 연번이야 몹들 숫자와


거리 보시고 맞춰넣으시면 되구요. 천폭을 실거미와 수거미 딜링에 넣으신 경우 새끼가 새면 찍어서 연번 넣어주세요^^;


공대 입구 처리가 잘 안되면 딜링에서 빼고 미는 데 쓰셔야겠지만요.


디피 자체가 가장 오르는 타이밍수거미에 실거미 3번째 쯤입니다. 실거미가 순삭이 안된 상태로


수거미와 공존해서 화충이 다중 타겟에 박히고 연번도 잘 박히며 불회와 천폭의 광뎀이 극대화 되는 시기입니다.


3. 2페에 들어가서는 뭐 공대 상황 따라 다르지만 보통 60후반이나 70퍼쯤에 내려올텐데...


공대에 따라 웅심을 바로 돌리냐, 중첩 20부근이나 중첩 보고 돌리냐가 달라서 좀 설명이 곤란하네요=-=;;


웅심때 화산 빠시고 버프로 화산(카드) 뜨면 불정 리필하는 거 정도만 신경쓰시고 극딜이죠 뭐-_-;


굳이 팁이래봐야 죽을 거 같으면 공대 힐 상황 등을 보시고 석 잘빨라는 정도;;;(+나루-_-;))


--

사실 팁이래봐야 기본적인 내용들이지만 한번 정리해보았습니다.


wmo 로그 분석과 공대 전략과 구성 분석을 통해 정리된 내용이니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면 좋겠네요.


근데 머 사실 입구 처리조랑 힐러가 좀 힘들지, 딜러는 그냥 열심히 잘 죽이면 되는 몹이라...-_-;;;


간단화 하면 보통 내려와 모인거만 때리려는 분들이 디피가 좀 낮구요, 새끼거미던 실거미던 타겟팅 변환이


느린 분이 좀 디피가 낮습니다. 그리고 문양을 안박은 화충이라도 실거미에 화충이 끝까지 다 소모될 일이


적으므로 실거미 하나 하나에 정상 딜 사이클 박는 실수만 안하고 피많은 타겟으로 잘 바꿔가면서 딜넣으시면


정술은 대개 베스면 상위권 찍히실 겁니다.


--수정--

큰 상관은 없지만 공대 로그부분이 링크라서 그 부분은 그냥 수정했네요==;

(사실 그냥 제 아디로 찍어도 다 보이니 큰 상관은 없지만-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