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아즈샤라 법사 Updog입니다.

그동안 냉법이 꾸준히 버프되고, 화법이 조금 너프되면서 많은 분들이
냉법에 입문하려 하시는데 정보글이 부족해 어려워하시는 모습들을 많이 봤습니다.

마침 이번주에 에메랄드 악몽 신화 올킬을 하면서 악몽용을 제외하고는
전부 냉법으로 진행했고, 결과가 괜찮아서 이렇게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WCL 냉법 11월 13일 기준으로 니센드라, 렌퍼럴, 세나리우스 신화에서 1등,
우르속에서 2등을 기록했습니다.



1. 심크(Simulationcraft)

우선 다른 모든 것들을 제쳐두고, 심크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려고 합니다.
많은 분들이 심크에 대해 불신을 가지고 계실 수도 있으나,
저는 그 어떤 지표보다도 심크를 가장 신뢰합니다.

특히 전통적으로 법사는 인원이 많고, 최상위 딜에 대한 관심이 높은 직업이었기에
심크에 대한 피드백이 많았고, 덕분에 심크의 결과가 매우 정확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심크의 활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ep값의 활용
- 딜 사이클 확인


1-1. ep값의 활용

게시판에서 가끔 보이는 열기동공 냉법은 스텟 우선순위가 어떻게 되나요?
혹쐐 냉법은 스텟 우선순위가 어떻게 되나요? 이런 질문들이 많습니다.

제가 후에 각 특성별 소개에서 어느정도 정형화된 스텟 우선순위는 설명해드릴 것이지만,
정확한 대답은 “심크래프트에 자신의 캐릭터를 넣어보세요”입니다.

왜냐하면 크리가 거의 항상 최상위를 차지하는 화법과는 다르게, 냉법은 보유템에 따라
스텟 우선순위가 많이 바뀌게 되기 때문입니다.

심크 사용법은 정말로 어렵지 않습니다. 특히 ep값만 확인하기 위해서는 단지 심크설치와 본인의 캐릭터 입력밖에 필요치 않습니다.
(심크래프트 다운로드 주소는 http://simulationcraft.org/download.html 입니다)

위 주소에서 심크를 설치하고 실행시키고, 가장 먼저 상단의 Options를 클릭 후
지역을 KR로 설정해 줍니다.
그리고 Scaling을 클릭후 Enable Scaling과 밑에 있는 Intellect(지능), Crit(크리),
Haste(가속), Mastery(특화), Versatility(유연)을 체크합니다.

다 끝나시면 상단의 Import를 눌러 서버와 캐릭이름을 넣은후 import버튼을 누르시고
마지막으로 오른쪽 하단의 simulate버튼을 누르고 기다리시면 됩니다.

그러면 최종적으로 결과창이 나오는데 여기서 빨간색 박스 안의 부분이 바로 ep값입니다.
이를 확인하시고 앞으로의 템 파밍 방향을 결정하시면 되겠습니다.



1-2. 딜 사이클의 활용

우선, 많은 분들이 심크값이 자신이 뽑을 수 있는 최대한의 딜이라고 말씀하시지만
저는 오히려 심크값이 자신이 뽑아야 되는 최소한의 딜이라고 생각합니다.

심크결과창에서 Action Priority List를 클릭하시면 딜 사이클이 나옵니다.
이걸 봐서는 너무 어렵다 하시면 Sample Sequence Table을 클릭하시면 실제로 어떻게
딜을 넣었는지 시간별로 모든 캐스팅과 버프가 나옵니다.


어려울 수는 있지만, 만약 심크의 딜사이클을 그대로 실행하신다면 여러분은
심크값의 딜을 그대로 얻게 됩니다.
그러면 제가 왜 심크값이 “최소한의 딜” 이라고 말했는지 보겠습니다.
위의 그림을 보시면 중간에 blizzard, 즉 눈보라를 시전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는 심크 딜 사이클중에 포션이 활성화 된 동안은 눈보라를 무조건 섞도록
되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만약 눈보라를 시전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다시 Simulate탭으로 가서 그림처럼 빨간색으로 된 blizzard부분을 전부 지우고,
다시 시뮬을 돌려보겠습니다.







결과는 471583에서 475551로 디피가 약 4천정도 상승했습니다. 즉 눈보라를 쓰지 않는게 더 이득이라는 것이죠.
이처럼 심크의 딜사이클은 완벽한게 아니기 때문에, 더욱 더 발전할 여지가 있습니다.
특히 뒤에 말씀드릴 혹쐐 특성의 경우에는 현재 심크의 딜사이클을 변형시키면
대략적으로 디피 10%정도의 상승 효과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1차적으로는 심크의 딜사이클을 보시고 최대한 따라하시고,
그 다음에는 심크의 딜사이클에서 의문이 가는곳을 직접 바꿔가며 시뮬을 돌리시고
좋은 결과를 따르시면 됩니다.

2. 유물무기

유물무기특성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견이 있지만, 제가 추천하는 트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28가지 특성이 가장 핵심 특성입니다. 28특성을 찍어가는 과정에서의 순서는
개인 취향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icy-veins에 나온 추천트리처럼
눈보라를 찍는 것은 절대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우선 레이드 딜에 거의 쓸모가 없는 특성이며, 냉법의 특성상 저 28가지 특성이
모두 있어야 강력한 시너지가 나오는데, 눈보라까지 찍었다면 31레벨까지 핵심특성을
찍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3. 특성

현재 유행하는 냉법의 특성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 사냉, 열기동공 트리
- 서광, 열기동공 트리
- 고독한겨울, 혹쐐 트리


각각의 특성에 대한 장, 단점과 기본적인 운영법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3-1. 사냉, 열기동공 트리



제가 현재 쓰고 있는 특성이자 단일 딜에서 가장 강력하다고 생각되는 특성입니다.
기본적으로 얼핏의 지속시간을 최대한 늘려서 이득을 보는 것이 목적이며,
때문에 딜의 30~40% 이상을 얼음창이 담당하게 됩니다.

이 특성에는 선택지가 존재하는데, (마룬 or 주문술사), (서리폭탄 or 불마)입니다.
나머지 특성은 보통 일렁임, 얼어붙은 손길 고정입니다.


먼저 스펙이 낮으실 경우, 다시 말해 얼핏의 지속시간이 80%이상 되지 않으실 경우
주문술사와 불마 특성을 하실 것을 추천합니다.

몰아치는 딜이 아닌 지속적인 딜인 사냉, 열기동공 트리의 특성상 마룬의 효율이 떨어지고,
서리폭탄과 마룬을 시전하는동안 서손의 수급량이 적어져 결국 얼핏의 지속시간이
짧아지고 이는 딜량 하락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그러나 스펙이 점점 오르다보면, 특히 전설 손 등을 보유하실 경우
서손의 수급량이 상당히 많아지며 때문에 얼핏이 무한지속되는 경우가 나옵니다.
이럴 경우 마룬과 서리폭탄의 시전시간이 부담되지 않으며
때문에 서리폭탄만, 또는 마룬과 서리폭탄 모두 찍어주시는게 딜 상승이 되기도 합니다.

3-1-1. 운영법

이 특성의 경우 우선 얼핏의 지속시간을 최대한 늘려야 되기에, 단 하나의 서손버프도 놓쳐서는 안됩니다. 때문에 크게 신경 써야 될 것은 5가지가 있습니다.

1.얼어붙은 손길 2.물 정령의 물분출 3.얼어붙은 구슬 4.유물무기스킬
5. 두빙 버프


우선 1,2,3,4번의 경우 쿨마다 쓰는 것을 목표로 하며, 서손의 최대보유량은 3개까지이므로
이를 넘겨서 낭비되지 않도록 미리 소비하고 사용하도록 합니다.
또한 두빙 버프의 경우 진눈깨비를 즉시시전하자마자 바로 얼창을 날리면 서손판정이므로
모든 서손을 소모한 뒤에 두빙, 얼창을 시전하도록 합시다.
유물무기 스킬의 경우 시전시간이 길기 때문에 서손이 넘칠때에는 우선순위를 뒤로
미뤄도 괜찮습니다. 이외의 스킬은 최대한 쿨마다 쓰도록 합시다.

이 사이클에 익숙해지면, 다음으로는 연쇄 반응 중첩과 서리폭탄을 신경쓰셔야 됩니다.
연쇄 반응의 경우 6초 지속이며 얼화크리시 3중첩까지 올라가므로
만약 서손이 두 개고 연쇄 반응중첩이 없다면 서손이 세 개가 될 때까지 얼화를 시전해서
조금이라도 중첩을 쌓은 후에 서손을 소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 서손이 세 개가 되었거나 서손수급스킬의 쿨이 돌아온 경우에는
연쇄 반응에 집착하지 말고 빠른 서손 소비를 하셔야 합니다.

서리폭탄의 경우, 서손을 3개이상 사용할 수 있을 때에는 거의 무조건 사용해 주시는 편이 좋습니다.


3-1-2. 장, 단점

이 특성은 꾸준한 얼핏유지로 인해 단일딜이 가장 강력합니다. 또한 사용스킬이 많아
제일 재밌는게 장점입니다.

반대로 신경 써야 될 스킬이 많기에 난이도가 높으며, 어느 정도의 파밍 후에는 약간의 한계가 보이는 것이 단점입니다. 크리의 경우 33%, 가속의 경우 약 30~40%정도 되면 이미 스텟의 가치가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무한 얼핏 이후에는 더 이상 딜이 늘어나기 힘들기 때문에 향후에는 단일딜의 강점이 사라질 수 도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3-1-3. 스텟 우선순위

대략적으로는 크리캡이 33%, 가속은 35%정도로 보시면 되며 크리와 가속의 ep값은
비슷할 때가 많습니다. 따라서 어느 한 스텟을 올린다는 생각 보다는 특화를 최대한
빼버린다는 마인드로 템을 맞추시는게 좋습니다.
(유연은 템이 맞춰질수록 ep상승, 크리 = 가속 >> 특화)


3-2. 서광, 열기동공 트리



사냉, 열기동공 트리와 거의 유사합니다.
다만 서리광선을 쓰기에 거의 반드시 마룬을 써줘서 순간 딜을 높이는게 특징입니다.
또한 서리광선을 쓰는 동안 얼핏시간이 매우 줄어들기 때문에 서리폭탄을 쓸
시간적 여유가 없습니다. 때문에 마룬, 불마 특성이 고정됩니다.

3-2-1. 운영법

사냉, 열기동공 트리와 똑같은 운영을 하시면 됩니다.
단지 오프닝 시 마룬, 얼핏, 서리광선으로 최대한의 딜을 뽑으며 그 뒤로는 마찬가지로
최대한 얼핏을 지속시켜서 두 번째 서리광선까지 얼핏을 유지한다면 성공입니다.

3-2-2. 장, 단점

역시 마찬가지로 강력한 단일딜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투시간이 짧을 경우
몰아치는 특성상 사냉, 열기동공 트리보다 더욱 높은 디피를 기록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사냉, 열기동공 트리에 비해 가속캡이 많이 높습니다.
서리광선을 쓰는 동안 바쁜 손가락을 쉴 수 있는 여유가 생깁니다.

반대로 전투시간이 길어지면 얼핏의 유지가 짧아 디피가 하락하며,
서리광선이 채널링이기 때문에 무빙에 많은 제한이 있습니다.

3-2-3. 스텟 우선순위

마찬가지로 크리캡은 33%지만 가속캡은 서리광선의 특성상 좀 더 높습니다.
그리고 얼화를 상대적으로 덜 시전하는 만큼 특화의 가치는 더 낮습니다.
(유연은 템이 맞춰질수록 ep상승, 가속 > 크리 >>> 특화)



3-3. 고독한겨울, 혹쐐 트리


이 특성의 경우 앞의 두가지 특성과는 조금 다릅니다. 주로 단일 딜 보다는
투 타겟, 다중 타겟에 적합한 특성이며 데미지 증가버프 등을 주는 보스에 적합합니다.
한방 딜을 높이기 때문에 마룬을 쓰며 고드름 데미지증가를 위해 갈라지는 얼음을
사용합니다.

3-3-1. 운영법

운영법이 상당히 단순합니다. 물정도 없고, 얼핏지속도 신경쓸 필요 없으며,
얼어붙은 손길이나 서리 폭탄도 쓰지 않습니다.

거기다가 서손도 연쇄중첩이 2중첩이상이 아니면 쓰지 않는 것이 오히려 나으며,
유물무기스킬 역시 단일 딜에는 딜로스입니다.

때문에 오로지 얼화를 쓰다가 고드름5중첩때 혹쐐를 쓰며, 연쇄중첩이 어느정도 높아지면
모아둔 얼창을 한꺼번에 쏟고 다시 얼화를 시전하시면 됩니다.

쿨기의 경우 마룬후 얼핏 얼화 얼화 얼화 얼화 얼화 혹쐐를 시전하시면 되고, 중간에 마룬이 끝날 것 같으면 혹쐐 전에 두 번째 마룬을 사용하고 혹쐐를 시전하시면 됩니다.

가장 주의하셔야 될 것은 두 가진데, 먼저 유물무기 특성 중에서 일정 확률로
고드름 두 개 생성이 발동될 경우, 혹쐐를 시전하는 대신 얼화를 시전하는 실수를 하시면
안됩니다.
또한 모든 뎀증 버프(마룬,힘의 물약, 자비우스 정배 등)는 혹쐐 전의 5번의 얼화에서부터
적용
해서 마지막 혹쐐까지 유지되는 형식으로 해야 됩니다. 이런 식으로 뎀증 버프를
받아야 마지막 혹쐐는 뎀증버프가 2중첩 (고드름 버프+혹쐐 버프)이 되게 됩니다.

아직 저도 익숙치 않아서 자비우스 킬할 때 디피가 많이 낮았지만, 트라이 도중에는 한방에 5천만 데미지의 혹쐐가 발동하기도 했습니다.

3-3-2. 장, 단점

지속적인 멀티 타겟 넴드에서 강력합니다. 또한 뎀증버프를 이중으로 받는 형식 때문에
자비우스, 검떼 막넴에서 활약하기 좋습니다.
ep값들이 큰 차이가 없고, 파밍이 될수록 더욱 강력해질 여지가 있는 특성입니다.
딜 사이클이 단순해서 입문하기 좋습니다.

다만 단일딜에는 꽤나 약하며, 고드름 2개 생성 특성을 유심히 체크하지 않으면 혹쐐대신
얼화를 시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3-3. 스텟 우선순위

특화>치타>가속 순이지만, 특화가 75%정도를 넘어서기 시작하면 치타 가속의 ep값이 특화를 역전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최대한 특화템 위주로 맞추시지만 템렙이 높은 템을 포기할
정도로 ep값 차이가 있지는 않습니다.

4. 레이드 보스별 추천 특성

에메랄드 악몽 신화

니센드라: 사냉, 열기동공 트리
(무빙이 좀 있기에 서광 비추천, 단일딜이기에 혹쐐 비추천)

렌퍼럴: 사냉, 열기동공 트리 or 서광, 열기동공 트리
(마찬가지로 무빙이 있으나 서광을 못 쓸 정도는 아니며, 특히 중간에 렌퍼럴이 단상을 옮겨 얼핏이 끊어질 수 있기에 사냉 트리보다는 서광 트리가 좋을 수 있다.
그러나 역시 거의 단일딜 위주기에 혹쐐트리는 비추천)

우르속: 모든 특성
(투타겟으로 인한 혹쐐 강점, 사냉 트리는 서리폭탄 시전으로 어느정도 해결, 딜이 높아져 전투시간이 짧아질수록 서광 트리 강점)

악몽의 용: 혹쐐 or 화법
(무빙도 많고 멀티타겟도 많기에 많이 힘듭니다.)

일기노스: 서광, 열기동공 트리
(이 경우 수액 광은 다른 클들에게 맡기고 촉수딜과 큰 쫄, 넴드 딜에 좀 더 집중하는 특성이 적합합니다.)

세나리우스: 사냉, 열기동공 트리
(거의 단일딜+1분미만의 투타겟 딜입니다. 혹쐐의 경우 쏜즈뎀에 죽기 좋기에 비추천이며 서광역시 바닥 가시 유도가 어렵습니다.)

자비우스: 혹쐐 트리
(로또딜을 노리면 됩니다. 5천만 혹쐐 한번 보시면 안 할 수가 없음)

용맹의 시험은 추후에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다만 헬리야는 거의 무조건 화법을 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추가사항

 

혹쐐 트리의 경우, 기존 심크 대신 다음 사이클을 사용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actions.precombat=flask,type=flask_of_the_whispered_pact

actions.precombat+=/food,type=nightborne_delicacy_platter

actions.precombat+=/augmentation,type=defiled

actions.precombat+=/water_elemental

actions.precombat+=/snapshot_stats

actions.precombat+=/mirror_image

actions.precombat+=/potion,name=potion_of_prolonged_power

actions.precombat+=/frostbolt

 

# Executed every time the actor is available.

actions=counterspell,if=target.debuff.casting.react

actions+=/time_warp,if=(time=0&buff.bloodlust.down)|(buff.bloodlust.down&equipped.132410)

actions+=/call_action_list,name=cooldowns

actions+=/flurry,if=buff.brain_freeze.react&prev_gcd.frostbolt

actions+=/blizzard,if=buff.zannesu_journey.stack>4|buff.zannesu_journey.remains<cast_time+1&equipped.133970

actions+=/ice_lance,if=buff.fingers_of_frost.react>0&buff.chain_reaction.react>2&(equipped.138140|equipped.132411)

actions+=/ice_lance,if=buff.fingers_of_frost.react>0&buff.chain_reaction.react>1&buff.rune_of_power.down

actions+=/frozen_orb,if=buff.rune_of_power.down

actions+=/glacial_spike

#actions+=/frozen_orb

actions+=/frostbolt

 

actions.cooldowns=rune_of_power,if=cooldown.icy_veins.remains<cast_time|charges_fractional>1.7&cooldown.icy_veins.remains>38|buff.icy_veins.up|target.time_to_die.remains+5<charges_fractional*22

actions.cooldowns+=/icy_veins,if=buff.icy_veins.down

actions.cooldowns+=/mirror_image

actions.cooldowns+=/use_item,slot=neck

actions.cooldowns+=/use_item,slot=trinket2

actions.cooldowns+=/blood_fury

actions.cooldowns+=/berserking

actions.cooldowns+=/arcane_torrent

actions.cooldowns+=/potion,name=potion_of_prolonged_power,if=cooldown.icy_veins.remains<5

 

성물 등의 우선순위는 추후에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