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 보호기사분들을 위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정리합니다.


아이템 파밍

 

* 골드가 있으실 경우 우선적으로 구입해야 할 장비 : 대장 제작 손목과 용점 착귀신발

 - 손목의 경우 싸게 용점 손목을 구입하셔도 되지만 성능으로 보자면 대장 제작 손목이 훨씬 좋습니다.

   용점 손목을 사실 것이라면 조금더 쓰셔서 대장 제작 손목을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요즘 재료값이 많이 싸졌습니다.
 - 용점 착귀신발의 경우 골드로 사시기 아깝다 생각되시면 차후에 용점으로 구입하시거나

   파밍되시는 것으로 착용하시면 될 것입니다.


* 열심히 무작과 무작레이드를 다니시다 보면 용맹점수를 조금씩 얻으실 것이고, 또한 정의 점수도 많이 쌓이실 겁니다.

 

용맹점수으로 사야할 장비
1순위 : 성물, 목걸이, 망토 - 3개의 장비는 현재까지의 상황상 탱커 졸업템입니다. 우선 구입하시길 추천드립니다.
2순위 : 벨트, 반지, 장신구

 

정의점수로 사야할 장비
무작으로 얻는 장비와, 무작레이드를 통해 얻은 장비를 제외하고, 템레벨이 낮으신 것 부터 구입하시길 바라며,
가능하면 T12 티어부위(가슴, 장갑, 다리)를 우선으로 구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보호기사에게 필요한 장신구

실제로 보호기사에겐 졸업 장신구가 없습니다. 장신구는 많을 수록 좋으며 상황별로 장신구를 바꿔서 착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1. 거울

많은 분들이 거울이 필수 장신구라 말씀하시는 것을 듣고 마치 거울이 졸업장신구라 여기시는 분들이 아주 많습니다.
특정 보스에서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바라딘 일퀘등을 통해 얻는 주화로 살수 있는 장신구 입니다.

그래도 유용한 보스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구비해놓으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불의땅 : 라이올리스, 발레록, 청지기, 라그나로스에서 효과가 있는 장신구이며,
         실제론 라이올리스 쫄탱킹시, 라그나로스 탱킹시에만 착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 외의 보스에서는 다른 장신구를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용의 영혼 : 요르사지, 존오즈 이 두개의 보스에 효과가 좋은 장신구입니다.

 

2. 집행유예
개인적으로 모든 보스전에서 가장 효과가 좋은 장신구라 생각되는 장신구입니다.
불의땅 평판 매우우호에서 구입할수 있는 장신구이며, 가능하시다면 파밍도 하실 겸 불의땅을 가시어 평판을 올리시길 추천드립니다.

 

불의땅 : 발레록을 제외한 모든 보스전에 사용하면 좋습니다.
용의 영혼 : 모든 보스전에 유용합니다.

 

3. 불멸의 결단 

개인적으로 집행유예와 세트로 착용하는 장신구입니다. 명품이라 생각되는 장신구입니다만...

항상 거울이나 다른 장신구와의 스왑 대상 장신구 이기도 합니다.  데스윙의 등에서 드랍합니다.

 

4. 심연의 불 

불땅 발레록이나 용영 블랙혼 정도에서 효과가 아주 좋습니다. 그 외에도 어디서든 써도 무방한 장신구입니다.
만방합을 맞추기 위해 특화 장신구가 필요하신 분이라면 구비하시면 좋은 장신구입니다. 용맹점수로 구입합니다.

 

5. 불굴의 긍지

만방합에 여유있는 분들에게 쓸만한 체력세팅 장신구입니다. 만방합에 도달하지도 못했는데 쓰시지는 마시길.

용의영혼에서 랜덤하게 드랍합니다.

 

6. 영혼 변형자 소용돌이 

쓰지 마세요. 죽,야탱에게 좋은 장신구입니다. 체력 장신구가 없는 분들이 체력세팅을 위해 간혹 쓰일수는 있지만 ..

체력외엔 그 효과는 별로 없습니다. 만방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이 장신구 쓰는 분들이 있는데, 그냥 다른 장신구 쓰세요.

 

7. 거미비단 물레

만약 집행유예가 있다면 꼭 쓰지 않아도 되지만, 만방합 달성에 유리한 특화도가 붙어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세팅중에 하나로 사용하시면 좋을것으로 여깁니다. 불의땅 베스틸락이 드랍합니다.

 

8. 생명의 저울 or 거짓의 장막

체력 장신구로 만방합에 여유가 있고, 체력 세팅을 하기 위한 장신구 입니다.

생명의 저울은 불의땅에서 드랍하며 착귀입니다. 거짓의 장막은 영던 황혼의 시간 베네딕투스가 드랍합니다.

 
보석 세팅

 

1. 얼개

체력81+받는주문피해2%감소, 체력81+방어도2%증가, 체력81+방피량1%증가중에 선택하시면 됩니다.
뭐가 좋다 말씀드리기 애매하며, 요즘처럼 죽야탱이 메인탱하는 지금으로선 메인탱을 하는 구간이 많지 않습니다.

보통 모르초크, 울트, 블랙혼, 등, 광기가 보기가 탱하는 구간이라고 한다면 방어도 얼개나 방피량 얼개가 더 좋을수도 있습니다.
물론 상황에 따라 바꿔끼는게 더 좋기는 합니다.
개인적으로 봤을때 실제로 받는주문피해2%감소 얼개의 효율이 좋은 구간은 요르사지와 하가라정도로 생각되며,
나머지 구간에선 서로 비슷비슷 하거나 방어도나 방피량 증가 얼개가 더 유용하다 생각됩니다.

2. 붉은색 홈 - 무막+특화 보석을 넣으시면 됩니다. (만방합이 여유 있을시 무막+체력 보석으로 조금씩 바꿔나가도 됩니다)
3. 노란색 홈 - 특화  (만방합이 여유 있을시 특화+체력 보석으로 조금씩 바꿔나가도 됩니다)
4. 푸른색 홈 - 특화+체력 (만방합이 여유가 있을시 체력 보석으로 조금씩 바꿔나가도 됩니다)
5. 다색보석 홈 - 만방합이 모자랄시 특화보석, 만방합이 넘친다면 특화+체력 또는 체력 보석으로 넣으시면 됩니다.


마법 부여

 

최상급 기준으로 적습니다. 만약 골드에 여유가 없거나 할 경우 한단계 밑의 마부를 할 수는 있지만,

가능하면 최상급으로 해주시는게 좋겠죠..

 

머리 - 대지고리회의 영석 (대지고리회 평판 매우우호시 구입)
어깨 - 깨지지 않는 석영의 상급 새김무늬 (테라제인 확고한 동맹시 구입)  *주각 전문기술자는 주각으로 대체.
가슴 - 상급체력 (체력 75)

망토 - 보호 (방어도 250)  *가세의 경우 저항 20도 가능. (요르사지나 존오즈 스왑용)
손목 - 최상급회피 (회피 50) * 가세 전문기술자는 체력 마부도 가능.
무기 - 바람걸음
방패 - 특화력 (특화 50)
장갑 - 상급특화력 (특화 65)
벨트 - 꼭 잊어먹지 마시고 벨트에 허리 죔쇠 하나 넣으셔서 보석을 넣으시길 바랍니다.
다리 - 비룡가죽 다리 방어구 강화가죽 (체력 145 회피 55)
발 - 심판의추격 특성을 찍었을경우 - 특화력 (특화 50)
     심판의추격 특성을 찍지 않았을 경우 - 용암길잡이(특화35+이속약간증가) 추천.

 

 

방어합 달성을 위한 재연마

 

우선 적중이나 숙련은 다 재연마 대상. 특화가 없는 템은 특화로 재연마라고 많은 분들이 얘기하십니다.
대부분 맞는 얘기입니다. 그러나 만방합을 위해선 적/숙 보다는 회피나 무막을 특화로 재연마 하는것이 더 이득일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보호기사 장갑 티어 상급 찬란하게 빛나는 영광의 손보호대 - 적중이 176 회피가 398이 붙어있습니다.
이럴경우 적중을 특화로 재연마 하기 보다는 차라리 회피를 특화로 재연마하는 것이 만방합 달성에 더 유리하게 작용하기도 합니다.

 

점감을 위해 회피를 무막보다 1%정도 높게 재연마 하라고 많이들 얘기하시죠. 하지만 필수로 맞춰야 할 상태는 아닙니다.
회피가 무막보다 1%정도 높게 세팅하기 위해 보통 무막을 재연마 대상으로 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대부분 맞는 얘기입니다.
그러나 회피와 무막 이 두가지만 가지고 있는 템의 경우. 회피 수치가 무막 수치보다 훨씬 높다면 회피를 특화로 재연마 하는것이 오히려 방어합 달성에선 더 유리하게 작용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담쟁이껍질 어깨철갑 (상급) 아이템을 보겠습니다. 회피 408, 무막 186이 있습니다.

간혹 이런식으로 특정 수치가 매우 높게 되어 있는 아이템들이 있습니다. 이럴경우 회피를 특화로 재연마 하는게 훨씬 이득입니다.

 

그럼 점감을 어떻게 맞추란 것인지?

회피 특화 아이템은 재연마 하지 않으며, 무막 특화 아이템은 무막을 회피로 재연마, 무막과 회피가 비슷한 수치의 아이템은 무막을 특화로 재연마하여 맞추면 됩니다. 그리고 적중 특화, 숙련 특화의 아이템은 적중이나 숙련을 회피로 재연마 하면 최대한 맞추는 노력이 되는 것입니다. 그 차이가 1%가 되지 않는다고해서 엉뚱한 수치를 깎을 필요는 없는 것입니다. 오히려 방어합 달성에 더욱 안좋은 결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위 얘기는 불멸의 결단 << 이 장신구가 없을때에 해당되는 얘기입니다. 불멸의 결단을 착용할 경우 회피 수치가 상당히 높아져서 무막보다는 회피를 재연마 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합니다.

 

그럼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재연마 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적중+특화가 붙은 아이템

적중을 재연마 (자신의 세팅이 회피가 높다면 무막으로 재연마하고 무막이 높다면 회피로 재연마)


숙련+특화가 붙은 아이템

숙련을 재연마 (자신의 세팅이 회피가 높다면 무막으로 재연마하고 무막이 높다면 회피로 재연마)


무막+특화가 붙은 아이템

자신의 세팅이 회피가 높다면 재연마하지 않으며 그렇지 않다면 무막을 회피로 재연마


회피+특화가 붙은 아이템

자신의 세팅이 무막이 높다면 재연마하지 않으며 그렇지 않다면 회피를 무막으로 재연마


무막+회피가 붙은 아이템

두개의 수치가 서로 비슷하다면 자신의 세팅을 보고 판단하여 둘중 하나를 특화로 재연마
(자신의 세팅이 회피가 높다면 회피를 특화로 재연마하고 무막이 높다면 무막을 특화로 재연마)

             
적중or숙련 + 회피or무막이 붙은 아이템 

두개의 수치가 비슷하다면 적중이나 숙련을 특화로 재연마 하면 됩니다.

다만 회피나 무막 수치가 적/숙 보다 상당히 높다면 회피나 무막을 특화로 재연마해야 이득일 수 있습니다.
(물론 이 부분은 약간의 계산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저같은 경우 저항세팅, 딜템을 약간 섞은 세팅, 평소 세팅 몇가지 이렇게 여러가지 세팅을 해놓고 있으며,

상황에 따라 만방합을 항상 유지하도록 세팅해 놓았습니다.


평소 세팅의 경우는 영약을 먹으며, 비약을 먹지 않아도 만방합이 되도록 세팅되어 있으며,

저항 세팅및 딜템을 섞을 경우 비약을 먹고 만방합에 도달되도록 세팅되어 있습니다.

 

공지글에 <보기 방어합 세팅고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가 있습니다.

여러가지 세팅시 만방합이 되는지는 위 공지글을 잘 활용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개인적으로 상당히 애용하는 글입니다.

이 글을 빌어 방어합 세팅 플래쉬를 만들어주신 인코그니토님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