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테썹을 해봤습니다.


아마도 옛날 시즌 7 에서 오공반달, 악몽반달 테썹 이후로 처음인것 같네요.




시즌 20 에선 카나이의 자유배치 모드가 추가돼죠.


기존보다 좀더 여러가지 스킬 세팅법이 생길겁니다.




오늘까지 테섭 전체의 직업별 순위를 살펴 보자면,



1위 - 부두 134단 / 정렙 1990 / 칼데 8부위


2위 - 법사 132단 / 정렙 2838 / 칼데 2부위


3위 - 성전 131단 / 정렙 1935 / 칼데 3부위


4위 - 야만 130단 / 정렙 2452 / 칼데 13부위 풀


5위 - 수도 128단 / 정렙 2843 / 칼데 1부위


6위 - 강령 122단 / 정렙 1775 / 칼데 6부위


7위 - 악사 118단 / 정렙 1148 / 칼데 2부위



이렇습니다.




=========================================================================================================






그럼 테썹 수도의 1위 부터 ~ 12위 까지의 첫페이지 안에서

 

대세는 어떤 세팅인지, 특이한 세팅은 뭐가 있는지 봐보겠습니다.





1위 - 128단 , 정렙 2843




이번 테썹에서 대세인 이슈트반 셋 착용, 카나이 균형과 원킴,왕실, 화합 세팅 입니다.


화합으로 몸빵을 키우고 원소로 순간 폭딜을 하는 세팅이죠.



다만 특이점은 동요 이슈 세팅의 대세는 용오름-바람의벽 을 이용하는데


이 1위분은 현 19시즌 처럼 눈섬 - 믿음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대신 몸빵때문인지 가차 패시브를 못넣고 조화나 육감을 집어 넣은듯 하군요.



보석은 곡옥 대신 고파를 넣었습니다.



화합 , 육감 세팅의 뎀감율은


0.5 해탈 x 0.5 정의셋 x 0.5 화합 x 0.75 육감 - 1 x 100 = 90.63 % ( 물리 뎀감 87.5 % )  뎀감율 입니다.




2위 - 125단 , 정렙 1801




황도궁을 이용한 세팅으로 몸빵은 화합 세팅보다 약한대신 무한 해탈과 평안 쿨이 빨리 돌죠.


마찬가지로 곡옥 대신 고파를 넣었으며 수행자 패시브로 회피율을 더 끌어 올렸습니다.



0.65 구원 날랜 x 0.65 수행자 - 1 x 100 = 57.75 % 회피율을 얻죠.





4위 - 122단 , 정렙 1390





이분은 특이하게 이슈트반 셋을 이용하지 않고 센룽셋을 사용 합니다.


센룽의 2셋 효과인 공력 만땅시 단독곱연산 200% 증뎀= x 3배 를 이용하는것이죠.


정의셋은 공력이 남아돌기때문에 가능한 세팅 입니다.



저도 이 세팅을 해봤지만 센룽의 효과가 금새 꺼지고 공력이 바닥을 쳐 질주가 끊기기 때문에 동요 스택을 짧게 컷컷

해가며 터뜨려야 합니다.


그리고 원소 타이밍이 오면 마찬가지로 동요 스택을 짧게 터뜨려줘야 하구요.



이슈트반 - 공격력 30% ( 단독 곱연산 x1.3 배 ) , 공속 30% , 방어 30% 를 포기하는 대신


센룽 - 200% ( 단독 곱연산 x3 배 ) 를 이용하는 세팅이죠.





7위 - 120단 , 정렙 1178





카나이에 비룡까지 채워서 무기로만 풀로 채운 세팅 입니다.



비룡은 지난번 글에서 테스트시 동요 100스택 기준으로 평균  x 1.73 배 ~ x 1.82 배의 단독 곱연산 증뎀 효과를 갖고 있죠.



폭딜을 위해서 원소를 집어 넣었으므로 화합이나 황도궁이 없어 재감을 많이 끌어 왔고


질주에선 비룡 발동률이 높기 때문에 동요 100스택까지 정의셋의 공력 회복으로도 모자라더군요.



그래서,


기사단의 공력 10% 추가 생성 스킬을 주고


어깨에서 자감 한부위 챙겼으며 ( 광피 모저 재감 자감 )


눈섬은 1마리당  공력 10 이 생성되는 충족을 이용했습니다. (기사단 고취 스킬로 인해 마리당 공력 11 생성 ) 



이래야 동요 100 스택이나 원소 타이밍을 위해 그 이상 질주를 유지 하는데 지장이 없더군요.




용오름- 바람의 벽을 사용해 보기도 했지만 눈섬 - 충족 없이는 동요 쌓는데 좀 지장이 큽니다.


비룡 때문에 중간에 질주가 끊기더군요.



패시브 득도를 넣으면 자감 한부위 없이도 동요 100스택은 아슬아슬하게 채워지긴 합니다.




눈섬이 들어간이상 딜 패시브 가차를 넣고 싶었지만 정렙이 좀 낮아서 몸빵 땜에 육감을 넣었습니다.




화합 + 육감의 뎀감율은


0.5 해탈 x 0.5 정의셋 x 0.5 화합 x 0.75 육감 - 1 x 100 = 90.63 % ( 물리 뎀감 87.5 % ) 이지만,



화합이 빠진 육감 세팅의 뎀감율은,


0.5 해탈 x 0.5 정의셋 x 0.75 육감 - 1 x 100 =  81.25 %  뎀감율 ( 물리 뎀감율은 75 % ) 입니다.




이외 나머지 12위분들까진 거의 동요-이슈셋, 바람의 벽, 화합 세팅이 대다수 였습니다.






9위 - 119단 , 정렙 1746





테섭이 정의 질주로 대동단결 중에 유독 오공 질주 한분이 계셨습니다.


아까 115단 이었는데 글쓰는 와중에 119단까지 깼군요.



오길드의 뎀감 15% , 공격력 단독 곱연산 30% = x 1.3 배 , 정예 피해 30%, 정피감 30% 를 이용한 세팅이네요.


용오름-상쾌와 눈섬 믿음 +가차를 이용하구요.



보석은 갇힌자를 빼버렸군요.



황도궁 오공 질주의 난해 (100등급 = 60% 물리 제외 ) 세팅 뎀감율은


0.5 해탈 x 0.5 오공 x 0.4 난해 - 1 x 100 = 90 % 뎀감율 ( 75% 물리 뎀감 ) 입니다.





어찌됐건 교복세팅에서 이렇게 독특한 세팅을 보니 반갑더군요.


이렇게 테썹에서 여러가지 테스트를 해보는거죠.





=====================================================================================================




제가 테스트 해본 비룡 동요 세팅의 스킬 트리와 세부 스펙 입니다.






과거 악반처럼 눈섬 - 충족이 들어가야 비룡의 공력 소모 감당이 됩니다.


무한질주가 가능해지죠.



물론, 눈섬 - 충족 대신에 패시브 득도를 넣어도 동요 100스택까진 감당이 되구요.






정복자 할애해 피통 80만 맞추고


템 보조옵에서 초생 3부위와 처생 4부위를 끌어 왔습니다.


칼데는 0 부위.






재감은 5부위 67.14%를 땡겼으며


눈섬-충족이 있어도 자감 한부위 땡겨와서 자감 33.76 % 를 맞춰줘야 동요 쌓는데 지장이 없더군요.


정렙 1188에서도 민 650 보단 자감 8% 가 크림슨 때문에 강인함이 더 높아지구요.



생구는 2부위 땡겨 왔습니다.



=======================================================================================================




제 테스트를 정리하자면,


비룡 동요 질주는 딜은 높습니다.



쌍수 1.75 + 0.42  이슈셋 + 0.21 곡옥 + 0.098 왕실 = 2.478  필드 초공


비룡시 2.478 x 2 = 4.96 으로 초공 맥스 5.00 에  거의 근접 합니다.



대신 몸빵이 약한데 그걸 눈섬-충족과 평안-승천을 번갈아 쓰며 버티면서


원소 타이밍을 기다려야 합니다.




맵빨 없이 도관 하나로 힘으로 밀고 깬거라 맵과 몹, 신단 빨이 따라주면 더 높게 갈수는 있겠지만


대략 어떤 느낌인지 아니까 테스트는 여기서 끝냈습니다.




본썹에선 어떤 세팅이 주류가 될런지는 모르겠지만


개인적인 바램으론 카나이 자유배치로 인해 좀더 다양한 세팅이 나오기를 바랍니다.



이번 테썹은 생각보다 꽤 쫄깃한 테스트 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