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전쟁 17섭 카르가스 즐거운 공격대 고술 excaliber 라고 합니다.

   저번주에 라그하드를 고술로 참여해 잡고 부캐도 키우고 쉬다가 제 나름대로도 공략을 정리해볼 필요성이 있고

   조금이나마 고술로 불땅 레이드를 하는분들께 도움이 되고자 공략도 올려봅니다.일단 10인과는 다를 수 있고,

   공대마다 25인 공략이 약간 다르기 때문에 이것이 정답이다 라고 말씀드릴수는 없습니다.

   문양이나 특성, 딜싸이클 같이 이미 이곳에서 다뤄진 부분은 생략하겠습니다.

   저같은 경우 라그 하드 제외 6네임드는 티11 2셋 + 티12 2셋으로 진행하였으며, 라그 킬 당시에는 4셋 + 알리스라

   조르 바지세팅으로 갔습니다. 정화의 눈은 공대 힐러분들이 먼저 드시는게 맞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캐스터 고술은

   실험해보지 못했습니다.

  

   (네임드 순서는 임의로 저희공대 진행순서에 맞췄습니다)

 

   1넴 샤녹스 - 생략.... 너무 쉽습니다. 하드 열린 첫주에 가자마자 원킬했습니다. 그냥 허수아비 친다고 생각하시면서

                     바닥만 피하시면 됩니다. 똥깨가 와서 떄린다 싶으면 주분정도? 그냥 닥딜하면 됩니다.

                    

 

   2넴 베스틸락 

          1페이즈 - 고술같은경우 도발을 하려면 대지무기 인첸 스왑을 해야하기 때문에 1층조에 투입될 경우는 적습니다.

            일단 전투 시작하면 광역피해에 돌발톱을 사용해 주시고, 내려오는 놈들 톡톡 때려주면서 2층에 올라갈

            탱/힐러2 가 거미줄 타는 타이밍을 주시합니다. 힐러분들 부담을 줄이기 위해 반드시 힐러에게 거미줄 버프가

            생긴걸 확인하고 올라가셔서 바로 주분을 켜주시고 이때 장신구와 늑정을 돌려서 극딜을 합니다.

            주분은 이 이후로 매번 올라올때 쿨이 맞춰 돌아오며, 늑정같은 경우 두번째 올라갔을때 막바지에 사용이

            가능하고 그 이후로는 마격타이밍에 웅심과 함께 사용해주었습니다.

            중간중간 아래층에 내려갔을때는 내려온 위치에 따라 새끼거미 광을 잠시 지원해 주시거나 큰 거미 딜을

            조금 하다가 실거미가 보이면 우선 처리하고 올라가시는걸 반복 하면 됩니다.

 

           2페이즈 - 공대 힐이 부족하다면 돌발톱은 지속적으로, 어느정도 파밍이 된 상태라면 주분만 잘 써주시고

             정해진 자리에서 닥딜입니다. 늑정은 웅심타이밍까지 아끼셨다가 그때 장신구 물약 늑정 다 돌리시고

             눈꼽만큼이라도 도움 되라고 대정도 뽑아줍니다.

 

   3넴 알리스라조르

          1페이즈 - 주 역할은 수습생 딜링입니다. 술사의 칼바람 차단을 사용하면 다른 클의 차단스킬과 꼬일 가능성이

           있어서 술사가 차단을 할꺼면 2술사를 한조로 묶거나 그렇지 않다면 그냥 빽업 차단정도만 해주시면 됩니다.

           국지방화 기술을 피하는 팁은 시점을 최대한 당기고 머리위에 이름표도 지워서 수습생 등뒤를 잡고 딜하면

           절대 안맞습니다. 항상 유성의 위치를 미리 파악을 해두고 폭풍 10초전쯤에는 늑정으로 빠르게 이동을 합니다.

           제일 처음 털갈이때 깃털은 공중조 + 힐러만 먹으며 그다음 부터 깃털은 최대한 먹어 2페이즈 전에 2~3개의

           깃털을 먹어둡니다. 항상 수습생이 죽고 나면 구더기 브레스랑 국지방화를 피해서 최대한 새끼매 딜을 돕습니다.

          늑정의 경우 시작할때 한번, 쿨오면 또한번 쓰면 3페이즈에 또 쿨이 돌아옵니다.

 

         2페이즈 - 1페이즈에 깃털을 최소 2개 이상 확보를 하셨다면 여유롭게 이동하면서 화염 고리를 최대한 통과해

           줍니다. 회오리 무빙은 설명보다는 몸소 익히시는게 좋습니다.

      

       3페이즈 - 2페이즈 막바지에 점점 알리스라조르에 가깝게 미리 무빙을 하시고 회오리가 멈추고 이펙트가 사라지는

           순간 장신구 + 물약 + 늑정을 키고 극딜을 합니다. 알리스라조르가 일어나면 기력 70쯤에 주분을 켜주시고

           공대가 트라이 중이거나 힐이 부족하다면 마엘 치비 지원도 해주시면 좋습니다.

 

     4넴 라이올리스

         대지토템은 속박으로 셋팅, 다리 운전조이며 사실 라이올리스 하드는 고술입장에서 일반과 크게 다른게 없습니다.

         양발 화충 유지 및 불회로 리필도 나쁘지 않으며 저희 공대는 4명의 밀리는 고정발 딜 고술 + 1밀리는 좌 우

         조절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일반도 마찬가지지만 분출하는 화산 항상 조심하시고 초반에 발 보호막이 높을때는

         주변 광 지원도 나쁘지 않습니다. 보통 과열 1분10초에서 50초 정도 남았을 정도에 웅심을 키게 되므로 늑정을

          최대한 맞춰서 사용해 줍니다. 2페이즈 같은 경우 과열 중첩에 따라 다르지만 발구르기때는 무조껀 돌발톱,

          그리고 주분이나 마엘 자힐도 최대한 해서 힐러분들의 부담을 덜어주셔야 합니다.

 

      5넴 발레록

             저희 공대는 6밀리 수정담당 3개조 + 1~2 빽업조 구성으로 매주 잡고 있습니다.

             주로 죽기나 딜야드 징기가 수정을 처음 맞기 시작해서 조금더 버텨주고 고술 전딜 도적이 끝날때 까지

             맞아줍니다. 자신과 한조인 밀리가 수정을 맞는 위치를 확인후, 그 사람이 빠지자 마자 본인한테 꼽힐수 있게

             미리 근처로 이동해 두고 고문 중첩 4~5정도면 주분을 켜줍니다. 돌발톱은 자신이 수정을 맞기 전에 미리

             깔아두고 들어가서 한번 막고 쿨이 돌아오면 중간에 또한번 써줍니다. 만약 본인이 수정을 맞아야 하는데

             초읽기가 걸린다고 하면 당황하지 말고 빽업조가 와서 맞아주는걸 본 후에 빠르게 늑정으로 이동합니다.

             발레록을 클릭했을때 나오는 빨간 타겟원 안에 수정을 주로 유도하기 위해 비 고문자들이 위치했으며,

             고문받음자는 그 원 바깥 좌우에 최대 사거리를 잡고 칼끝딜을 합니다. 발레록 등뒤를 6시라고 했을때

             5시부터 7시까지 부분은 초읽기자가 빠질수 있게 비우며, 좌우의 고문받음 자들은 한쪽에 고문받음자가

             4명 이상 붐벼서 서로 리셋시키지 않도록 유동적으로 이동을 해줍니다. 좌우 이동을 할때는 탱이 있는

             12시를 거쳐 마찬가지로 칼끝딜을 하며 이동하면 안쪽에 있는 탱한테는 고문받음 전이가 안됩니다.

                

       6넴 청지기

             청지기는 굉장히 다양한 공략이 존재하는데 저희 공대는 원래 4~5잠행도적과 2보기만 낫을 맞아주는 식으로

             전갈페이즈를 9~10까지 봤으나 최근의 핫픽스로 전갈낫을 3번정도만 보는 택틱으로 바꿨습니다.

             고술입장에서는 사실 샤녹스 수준의 닥딜몹입니다. 전갈페이즈는 씨앗때만 잘 보시면 되고

             표범페이즈때 딜링 팁이 있다면 저같은 경우 스테그 헬름에 화충을 한번걸어놓은 이후로

             다음 화충은 계속 새로나온 쫄에 걸고 불회로 스테그 헬름 화충은 따로 리필안하게 맞추고

             용채 폭격은 최대한 스테그헬름에 사용, 나머지 정폭 번화 혹은 연번 대충은 쫄에 사용을 했습니다.

             스테그헬름이 정말 재수없게 멀리 뛰지 않는한 용채는 밀리지 않게 꾸준히 스테그헬름에 사용이

             가능하며 폭격같은 경우는 한번 건너뛰어도 폭격 디버프는 유지가 되므로 너무 멀리뛰면 그냥 쫄에

             사용해줍니다. 어글이 굉장히 위험하므로 (저는 담당 신기분꼐 구손을 받았습니다) 지속적으로 칼바람도

             사용해 주셔야 합니다. 표범일때 2어글자가 되면 쫄이 나오자마자 치기때문에 2어글이 안되게 유의합니다.

 

        7넴 라그나로스

              이놈에 대해서는 공략과 후기 둘다 할 말이 많습니다.

              일단 라그 하드를 저희 공대에서 한 510~520트 정도 하고 잡았는데 정말 피곤한 놈이었습니다.

              중간에 파라곤 구성이 공개된 이후 2페이즈의 씨앗 광 처리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사실 중간에

              250트 정도는 부캐인 죽기로 참여를 했었습니다. 현재 라그 25하드의 구성상 키포인트는

              2페이즈의 씨앗을 광으로 처리할수 있는 광딜러 + 3페이즈를 2유성만 보고 넘어갈수 있는 딜을

              뽑아줄수 있는 높은 효율의 마격딜러 입니다. 밀리의 경우는 이런 면에서 원거리 광이 되고

               마격도 있는 냉죽이 제일 유리하며 저는 마침 본캐는 광 마격 둘다 안되고, 부캐는 둘다 되는 냉죽이라

              사실 본캐는 어느정도 포기한 상태였습니다. 하지만 제 고술이 광은 안되도 단일딜에서는 최상위권을

               꾸준히 유지했고 마지막 잡는날에는 딜러분들도 익숙해져서 고술 정술 징기 딜야드등 광이 안되는

               클래스를 다 넣고도 씨앗 처리가 되서 본캐인 고술로 잡을 수 있었습니다. 잡은 당시 딜 순위는 2등

               고술이 나쁜게 아닙니다.  솔직히 파라곤이 잡을 당시의 템파밍 수준으로는 광딜이 밀려서 고술이

               참여할 수 없는게 맞았습니다. 하지만 어느정도 파밍이 되고 광딜러를 하나 둘씩 줄일 수 있었기에,

                그리고 꾸준한 트라이로 광딜 숙련이 높아지니 광딜러에 목맬 필요가 없었습니다. 실제 제가 초중반

                죽기로 참여할떄는 4딜죽 2조드 3~4냥꾼 구성으로 했으나 막상 잡을때는 2딜죽 2조드 2냥꾼으로 했습니다.

                3페이즈 마격구간에는 진짜 미친듯이 딜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도적 흑마같은 클래스는 이구간 디피만

                35000~4만선이 가능하며, 냉죽도 30000초반대가 나옵니다. 저도 마격이 없지만 이구간 3만대 디피를

                유지했습니다.

          

                후기가 좀 길었는데 공략을 써보자면

      1페이즈 - 닥딜 페이즈 입니다. 저희는 탱커가 덫을 밟았는데 탱이 밟는다고 하고 카운트를 하기 전에 미리 주분을

                    켜줍니다. 미리미리 켜주면 매 덫에 사용이 가능하며 불가피하게 사용이 불가능하면 돌발톱이라도

                    무조껀 써줘야 합니다. 손길 + 덫에 재수없게 저항 못하면 급사하고 먼지나게 까입니다.

                   그 외에 조심할껀 강타가 밀리뒤에 생기는 경우인데 세번째 강타까지는 그냥 서서 딜하면 넉백 전에

                   강타 바닥이 없어집니다. 그 이후는 너무 가까이 오면 넉백에 파도를맞을수 있으니 조심합니다.

                  치유 토템의 경우 밀리진에 징기님이 화저 오라를 켜주셨기 떄문에 뒤에 원거리 진영쪽에 유지해줬습니다.

 

      첫번째 사잇단계 - 1페이즈 시작시에 늑정을 사용했기때문에 이떄는 늑정스턴지원은 불가능합니다. 딜측면에도

                     이때 쓰면 약간 손해입니다. 망치에 가까운 놈부터 빠르게 딜 지원을 하며, 본인 대상 쫄의 피가  50퍼

                     근처면 빠르게 다음 타겟으로 이동합니다. 쫄이 순삭되는게 아니기 때문에 위치가 뭉쳐있다면 화충

                     불회의 효율이 생각보다 굉장히 좋습니다. 보통 1페이즈 마지막 덫에 주분을 사용하고 나면 사잇단계

                     중반쯤에 주분쿨이 돌아오는데 바로 쓰지마시고 본인이 한대 맞으면 키시면 됩니다. 돌발톱도 항시

                     유지를 해줍니다.

       

       2페이즈 - 고술이 잉여해지는 광 페이즈 입니다. 열심히 보스만 닥딜합니다. 쫄은 순삭이기 때문에

                      화충 불회는 의미가 없습니다. 라그에 걸린 화충으로 발동되는 불회는 쫄한테 들어가지도 않습니다

                      보스만 팹니다. 총 세번 씨앗을 보면 넘어가며, 저희 공대는 2페이즈 와중에 두개의 덫을 처리를

                      했습니다. 씨앗이 떨어지기 직전에 다같이 이동을 하며 씨앗 폭발 이전에 반드시 돌발톱을 써줍니다.

                     주분은 광처리 이후 탱이 덫을 밟을때 사용했습니다. 주분과 돌발톱 순서는 바뀌어도 크게 상관은

                     없습니다. 고술같은 경우 광을 치지 않기때문에 씨앗이 터지면 빠르게 지정한 방향으로 미리 이동해서

                     쫄한테 맞아죽는 불상사가 생기지 않도록 합니다. 휘몰아치는 불길은 항상 맨앞 1번 - 2번 사이 줄만

                     사용한다는 생각으로 서셔서 앞뒤로 조금씩 이동하면 됩니다. 너무 많이 이동하면 오히려 그 다음번

                     불길을 피하기 어려워 죽을 수 있습니다.

 

        두번째 사잇단계 - 첫번쨰와 동일하지만 쫄들피가 50퍼 근처면 큰쫄중심으로 딜을 합니다. 한마리의 작은쫄은

                      징을 박고 죽기가 멀리 땡겨서 페이즈 끝날떄 맞춰 냥꾼들이 처리를 했으며, 이 쫄은 절대 건드리지

                      않도록 조심합니다. 마찬가지로 큰쫄 + 작은쫄이 몰리면 최대한 불회를 활용하시고 큰쫄 두마리에는

                      특히 화충을 둘다 유지해서 3페이즈 초반에 라그딜할때도 불회로 두마리 딜지원을 조금 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때도 생존기를 최대한 활용 급사하지 않게 하며 타오르는 열기 대상자가 되면 늑정폼으로

                      빠르게 외곽으로 빠져 최대한 공대에 피해가 없게 바닥을 깔아줍니다.

 

        3페이즈 - 2유성을 봐야합니다. 무조껀 2유성입니다. 4유성으로 이론상으로는 잡을 수는 있겠지만 2와 4의

                     차이는 그야말로 넘사벽입니다. 라그가 올라오는 타이밍에 물약 쿨기 늑정 돌리고 웅심을 키고

                     극딜합니다. 처음 늑정 뽑으면 사잇단계 불정한테 달려가니 바로 라그로 강제어택 돌려주시고

                     극딜합니다. 휘불 피하는 요령은 동일하며 밀리는 오른쪽에서 뒤를 잡았는데 유성같은경우

                     담당 힐러가 쳐주기 때문에 쫄지말고 여유를 가지고 딜하시면 됩니다. 어차피 2유성만 보기때문에

                     유성이 정말 더럽게 두개다 밀리만 4연속? 이렇게 꼽히지 않는한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딜이 중요하기 때문에 절대 휘불 무빙시에 라그 딜이 멈추는 일이 없게 하셔야 하며, 사실상

                     받는 데미지는 실수하지 않으면 0 이기때문에 생존기에 들어가는 글쿨도 아껴서 딜하시면 됩니다.

                     3페이즈 끝나기 전에 늑정 쿨이 돌아오는데 원래는 딜이 간당간당해서 써줬으나 잡는주에는

                     2유성 딜은 여유가 생겨서 그냥 4페이즈를 위해 아꼈습니다. 공대 딜 상황에 따라 써주시거나

                      아끼시면 됩니다

 

        4페이즈 - 멍청한 NPC들 때문에 끝까지 고생하셔야 됩니다. 그래도 다왔습니다.

                       3~4페이즈 넘어가는 구간에 유성은 최대한 좌우 외곽으로 드리블 한 이후 쳐줍니다.

                       절대 라그가 있는 용암연못쪽으로는 치지 말아야 합니다. 거기에 빠지면 본진 한가운데에

                       다시 나타납니다. 라그 올라오자마자 가서 딜을하며, 쿨기 바로 돌리지 마시고 라그가 거의

                       올라왔을떄 장신구 쿨기랑 늑정을 켜줍니다. 이때 키는 이유는 과열이 4페 처음부터 생기는게 아니고

                       라그가 다 올라와야 생기므로 늑정 피회복 효과도 최대한 받기 위함입니다.

                       라그 올라오면 초반엔 돌발톱 정도, 세나리우스가 서리광폭 캐스팅 할때쯤에 주분을 키고 계속 따라

                       다니면서 딜합니다. 혹시 유성 대상자가 되면 최대한 서리광폭과 본진에서 멀리 드리블 하고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담당자가 쳐주면 복귀해 딜합니다. 서리광폭은 여느 공대와 마찬가지로

                       3점에 모였으며, 탱커가 지속적으로 과열을지우며 라그 고개를 돌려 밀리 뒤를잡게 해줬습니다.

                       유성을 어느 서리광폭에 얼려야 하느냐 이부분은 정해진게 없으며 공대 상황과 위치를

                       보고 정해지게 됩니다. 유성은 생각보다 빨리 처리되므로 굳이 쿨기까지 동원할 필요는 없는데

                       이때 주의하실점이 얼린 유성 안에 들어가서 서리광폭은 밟고 있는채로 딜을 해야 하는데

                       그자리에 공포의 불길이 번져있다면 보이지가 않습니다. 본인 피가 서리광폭이 있는데 빠진다면

                       불밟고 있는거니 빠르게 위치 이동후 딜하셔야 합니다. 탱커가 덫 이동때문에 서리광폭에서

                        멀어질때가 있습니다. 원거리도 딜이 안될정도로 멀어지는건 깔끔히 포기하시고, 근처로 이동한거면

                        돌발톱과 주분 생석등을 최대한 이용해 따라나가서 딜하고 복귀를 반복합니다. 사실상 2유성을

                        본 이후는 쉽습니다. 지우개조 세분만 잘하면 됩니다. 막판 라그피가 10퍼정도고 그즈음 새로생긴

                        서리광폭을 밟으면 지우개조 3명도 본진에 합류해 가만히 서있으면 본진근처에 불이 아무리 많아도

                         피해를 입지 않습니다. 그상태로 그 서리광폭 사라지기 전에 10퍼 뺄 수 있습니다.

 

         글을 쓰다보니 쓸데없이 길어진 감이 있습니다. 이부분 양해바랍니다.

         일단 확실한건 고술은 절대 약하지 않습니다. 라그하드 외에 앞 네임드도 트라이 당시 베스틸락 제외 전 네임드

         첫킬에 참여 했으며 항상 상위권 딜이었습니다. 하지만 25인 정공 및 막공이 많아야 고술분들이 마음껏 딜 역량을

         펼쳐주실텐데 점점 25인은 사장되는것 같아서 마음이 아픕니다. 그래도 고술이 절대 약하지 않다는 점 다시한번

         알아주시고  불의땅 하드모드를 고술로 공략하시는 많은 분들 모두 좋은 결과가 있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