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비와 스탯
1-1. 장비
1-2. 보석
1-3. 마법부여
1-4. 재연마
1-5. 전문기술
1-6. 장신구 선택
  
 2. 특성과 문양
2-1. 특성
2-2. 문양
  
 3. 전투
3-1. 전투 준비
3-2. 딜링 사이클
3-3. 매크로
 
  4. 참조

 
 
 
 
 
 
 
  
   1. 장비와 스탯
 
 1-1. 장비


 무기는 주무기, 보조무기 양쪽에 공격속도가 2.6 이상인 느린 무기를 착용합니다. (장착무기, 도끼, 둔기만 사용합니다. 민첩 붙었다고 단검 끼면 안 되요!)

 장신구를 제외한 모든 방어구 아이템은 민첩성이 붙은 아이템을 착용하고 반드시 사슬 방어구를 착용합니다. 

 방어구 아이템에는 기본적으로 민첩성과 체력은 반드시 붙어있고 부가적으로 적중도, 숙련도, 특화도, 치명타 적중도, 가속도, 회피 숙련도, 무기막기 숙련도, 정신력 등의 능력치가 2개씩 붙어있습니다.

 이 중 회피, 무막, 정신력 등은 효과가 없다시피하며 애초에 민첩 아이템에는 붙어있지도 않은 스탯이니 논외로 하면 됩니다!

 간단한 스탯 우선 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민첩성 >>> 적중도(주문17%) > 숙련도(26) > 특화도 > 치명타 적중도 > 가속도

 만약 같은 아이템 레벨의 아이템인데 하나는 적중, 숙련이 붙어있고 하나는 치명, 가속이 붙어있다. 이러면 전자를 선택하면 됩니다.

 378 레벨의 아이템에 적중, 숙련이 붙어있고 391 레벨의 아이템에 치명, 가속이 붙어있다. 이런 경우에는 스탯은 낮지만 민첩이 많이 붙어있는 391레벨의 아이템을 선택하면 됩니다. 

 (아이템 레벨 차이가 6~7가량 날 경우 EP값 계산을 통해 진지하게 고민해볼 필요가 있지만 레벨 차이가 13이나 되는 경우는 민첩이 甲입니다.)

 
 
1-1-1. 민첩성
 
 가장 중요한 능력치입니다. 민첩성 1당 전투력 2가 증가하고, 고양 특성 전문화인 [기민한 정신]을 통해 주문력 또한 1이 증가합니다. 또, 민첩성 324.88마다 근접 치명타 적중률이 1%씩 증가합니다. 
 
 즉 전투력과 주문력과 치명타 적중률이 모두 올라가는 만능 능력치입니다. 게다가 사슬 방어구 전문화와 왕축/야징을 통해 뻥튀기도 되는 능력치죠! 보석 및 마법부여 등은 가능한 민첩성을 최대로 올릴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1-1-2. 적중도
 
 

 

스킬 적중

(8%)



주문 적중

(17%)



평타 적중

(27%)


 

일반 종족

요구 적중도


241

1742

2523

 

드레나이

요구 적중도


121

1639

2404



 근접 공격의 경우 적중도 120.1 마다 적중률이 1%씩 증가하며 주문 공격의 경우 102.45마다 적중률이 1%씩 증가합니다. 스킬 공격(용암 채찍, 폭풍의 일격, 정기 폭발), 주문공격(번개 화살, 용암 폭발, 불타는 토템, 화염 및 대지 충격, 번개 보호막(전하 충격)),일반공격(평타)을 적중시키기 위해 필요한 능력치입니다.
 
 고양 주술사는 특성 전문화를 통해 기본으로 6%의 근접 적중률을 제공 받기 때문에 아이템으로 2%를 올려서 8%의 근접 적중도를 맞추면 근접 스킬이 빗나가지 않게 됩니다. (물론 숙련을 올리지 않을 경우 회피나 무기막기를 당할 수 있으나 이는 적중률과는 무관합니다.)
 
 계속 적중을 올려서 주문 적중도가 17%가 될 때 까지 올리면 평타를 제외한 모든 스킬이 빗나가지 않게되어 안정적인 딜링이 가능해집니다. 또한 근접 적중이 27%가 될 때까지 계속 적중도를 올리면 평타 공격이 빗나갈 확률이 줄어들기는 하나 평타 만적중을 맞춘다 하더라도 다른 능력치에 비해 기댓값이 낮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레이드 보스(해골몹)을 대상으로 주문이 빗나가지 않는 1742 적중도 (17%)를 맞추는 것을 우선으로 하고 나머지 능력치는 재연마 등을 통해 숙련도, 특화도를 올리는데 사용합니다.
 
 
1-1-3. 숙련도
 

 

요구 만숙련

(26)


 

일반 종족

요구 숙련도


541

 

오크/드워프

요구 숙련도


451


 몹은 유저가 앞에서 공격하면 회피/무기막기 를 통해 공격을 무효화할 확률을 가지고 있습니다. 숙련도 30.02 당 몹이 회피/무기막기 할 확률을 각각 0.25%씩 줄여줍니다. 만약 몹의 뒤쪽에서 공격하면 무기막기는 하지 못하고 회피할 확률만 가지게 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몹의 회피율을 0%까지 내려주는 숙련 26까지 맞추어줍니다.
 
 고양 주술사의 경우 [해방된 분노] 특성을 통해 기본 숙련 8을 제공받기 때문에 올려야하는 스탯이 타 밀리클래스에 비해 대폭 낮아집니다. 평타 및 용채, 폭격이 딜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고 다른 클래스처럼 스킬이 빗나가도 자원의 일정부분을 돌려받는다거나 하는 시스템이 없고 쿨다운만 돌아가기 때문에 만숙련은 필수로 맞추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특화력 및 숙련은 일정 수치를 올려야 1씩 올라가는 것으로 표시되지만 실제로는 소수점 3째 자리까지 정밀 계산 됩니다. 즉, 만약 숙련도가 540이라서 숙련이 25로 표시되는 경우 재연마를 통해 26 이상의 오버숙련을 만들어서 스탯 손실을 입는 것 보다 나을 수 있습니다.
 
 

1-1-4. 특화도
 
 179.28의 특화도를 올릴때마다 특화력이 1씩 증가하게 되며 화염, 냉기, 자연 공격력이 2.5%씩 증가합니다. 주술사의 평타와 폭풍의 일격, 야수 정령을 제외한 모든 공격이 특화도의 영향을 받게 되기 때문에 아주 효율이 좋은 스탯입니다.
 
 

1-1-5. 치명타 적중도
 
 179.28의 치명타 적중도를 올릴 때 마다 근접 치명타 적중률과 주문 치명타 적중률이 각각 1%씩 증가합니다. 캐스터 클래스의 경우 주문 치명타 적중시 데미지가 2배로 들어가는데 반해 고양 주술사의 주문 치명타 데미지는 1.5배 밖에 안 되는 등의 문제들 때문에 일반적으로 PVE 고양 주술사의 경우 특화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치가 떨어지는 스탯입니다.
 
 

1-1-6. 가속도
 
 128.06의 가속도를 올릴 때 마다 공격속도 및 주문 시전시간이 1%씩 줄어들고, 근접 스킬이 아닌 주문 스킬 (충격류, 5소용돌이 번개화살 등)의 전역 재사용 대기시간도 줄여줍니다. 하지만 고양 주술사는 기본적으로 질풍 및 질풍의 무기 정기 폭발 효과등으로 가속도 버프를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타 스탯에 비해 효율이 많이 떨어지는 재연마 대상 능력치입니다.
 

 
1-1-7. 지능
 지능 1당 1의 주문력을 올려주며 지능 648.91당 1%의 주문 치명타 적중도를 올려줍니다. 일반적으로 지능이 붙은 장비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1-1-8. 힘
 힘 1당 1의 전투력을 올려줍니다. 고양 주술사의 장비에 힘이 붙어있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됩니다.
 
1-1-9. 주문력
 주문 스킬의 데미지를 올려줍니다. 장신구 발동•사용효과를 제외하고는 오직 주무기에만 붙어있는 능력치입니다. 불의 땅에서 드랍하는 상급 정화의 눈 같은 무기는 2600에 달하는 주문력이 붙어있기 때문에 평타 및 폭풍의 일격 데미지를 약간 포기하고 높은 주문력과 특화력 세팅을 통해 용암 폭발을 딜사이클에 넣어 사용하는 소위 ‘캐스터 고술’식의 플레이가 가능합니다만, 다가올 4.3패치에서는 불가능해집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고양술사 플레이를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1-1-10. 정신력
 정기의 정밀함 3포인트를 찍을 경우 정신력 1당 주문 적중도가 1씩 증가합니다만 근접 적중도는 올려주지 않기 때문에 일부러 올릴 필요는 전혀 없는 능력치입니다.
 
 
 
 1-2. 보석
 

얼개 보석홈 민첩한 어둠영혼 다이아몬드

빨간색 보석홈 섬세한 지옥불 루비

노란색 보석홈 숙련의 잿불 황옥

파란색 보석홈 예리하게 빛나는 귀안석

 
 얼개 보석과 빨간 보석은 선택의 여지가 없이 무조건 갖다 박으시면 됩니다. 
 다만, 노란색 보석홈이나 파란색 보석홈 1개당 소켓 보너스가 민첩10 이 아닌 다른 스탯일 경우 깔맞춤을 무시하고 섬세한 지옥불루비를 쓰셔도 무방합니다.
 
 
 
 1-3. 마법부여
 
 
 각 부위별로 가장 좋은 마법부여입니다. 359 정도의 템에는 이보다 저렴한 하급 마법부여를 하셔도 무방하지만 378 이상의 템에는 가능한 이런 마부들을 해줍시다.
 
 
 
 1-4. 재연마
 
 스탯 우선순위인 적중도 1742(주문17%) > 숙련도 541 (26) > 특화도 > 치명타 적중도 > 가속도 를 맞추기 위한 재연마입니다. 

 우선 치명타 적중도 or 가속도가 붙은 아이템은 무조건 적중도 or 숙련도 or 특화도로 재연마로 해줘야합니다. 치타와 가속이 둘다 붙어 있으면 가속을 재연마합니다.
 
 불의 땅 아이템으로 적당히 파밍이 되었다면 특화도를 2000이상 유지하는 동시에 만적 만숙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때는 치명타 적중도와 가속도만 적중도, 숙련도, 특화도로 재연마를 해주시면 됩니다.
 
 아이템 레벨이 360 근처이거나 이보다 아래라면 만적 만숙을 맞추기에 다소 스탯이 빡빡할 수가 있습니다. 특화도 또한 적중도와 숙련도를 재연마를해서 일단 만적 만숙을 만들어 줍니다.
 
 

 1-5. 전문기술
 
1-5-1. 생산 기술
 
기계공학 : 민첩 + 80효과 (장갑, 1분 쿨타임, 지속시간 10초, 민첩 + 480)
- 장점. 여러 가지 장난감들로 편리합니다. (낙하산, 니트로, 우체통, 지브스 등등...)
 
재봉술 : 전투력 + 272.7효과 (망토, 55초 쿨타임, 지속시간 15초, 전투력 + 1000)
- 민첩성이 전투력보다 2.5배 가량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으나 이를 민첩으로 환산하더라도 전투력 70만큼의 이익이 있습니다.
잿불비단 그물같은 아이템도 있기 때문에 PVE와 PVP를 병행하신다면 기계공학+재봉술을 추천드립니다.
- 2중 특성으로 복원 혹은 정기 주술사를 하신다면 바지 마법부여를 저렴하게 할 수 있습니다. 
 
가죽세공 : 민첩 + 80 (손목)
- 장점. 손목 마법부여와 더불어 바지 마법부여도 저렴하게 할 수 있습니다.
- 단점. 숙련 올리는데 드는 비용이 가장 비쌉니다.
 
주문각인 : 민첩 + 80 (어깨)
- 장점. 테라제인 평판을 올리지 않고도 어깨 마부를 할 수 있습니다.
- 장점. 올리는데 비용이 적게 듭니다.
 
보석세공 : 민첩 + 81
- 장점. 다른 전문기술보다 민첩 1만큼의 이득을 더 봅니다.
- 단점. 역시 비쌉니다.
 
마법부여 : 민첩 + 80 (반지)
- 장점. 마부사를 찾아다니지 않아도 됩니다.
 
대장기술 : 민첩 + 80 (손목, 장갑)
- 장점. 숙련도 400까지만 올려도 민첩 + 80의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 단점. 숙련도 400까지만 올리는 것도 비쌉니다.
 
연금술 : 민첩 + 80
- 장점. 저렴합니다.
- 단점. 영약대신 특화비약+저항비약으로 도핑할 경우 스탯 손해가 있습니다.
 
 
1-5-2. 채집 기술
 
무두질 : 치명타 적중도 + 80
약초채집 : 가속도 + 480 (2분 쿨타임, 지속시간 20초, 가속도 80의 효과)
채광 : 체력 + 120
 
 
전문기술 같은 경우는 제가 좋다고 생각하는 순으로 나열해놓았으나 
 
되도록이면 채집 기술은 선택하지 않는 것이 좋고, 생산 기술 중에서는 무엇을 선택하더라도 큰 차이는 없습니다.
 
 
  
 1-6. 장신구 선택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장신구. 꾸준히 고술에게 잉여스러운 가속 장신구를 던져주는 블리자드가 밉지만 어쩌겠습니까.
 
딱히 장신구 순위를 정해놓은 곳도 못 찾겠고, 하나하나 시뮬돌리는 방법도 모르고 해서 
 
아쉽지만 주관적인 순위로 나열하겠습니다. ㅠㅠ
 
 
 상행렬+상번축이 졸업 장신구이긴 한데 둘다 라그드랍이다 보니 먹기가 쉽지 않습니다.
(번개 축전기는 지능 장신구이긴 하지만 고양 주술사는 폭풍의 일격 디버프로 주문 크리율 보정을 받아 50% 내외의 치명타율이 나오기 때문에 발동이 잘 되서 상위권에 있습니다.)
 
 정 낄게 없다 그러면 그냥 구하기 쉽고 저렴한 액질사 + 싹쓸바람 조합으로 가면 됩니다.
괜히 갈구 같은거 먹지 맙시다. (골팟 낚시용 입찰은 본인의 선택!)
 
 
 
 
 
  2. 특성과 문양
 
 2-1. 특성

 
 
4.2 기준으로 최대의 DPS를 뽑을 수 있는 특성입니다. 일반적인 레이드의 경우 딱히 다른 특성을 선택할 이유가 없다고 느껴져서 딱히 부연설명은 하지 않겠습니다.
 
 
 
 2-2. 문양

 

가장 기본이 되는 문양 세팅 입니다.
 

2-2-1. 상급 문양
 
 
일반 적으로 이렇게 3개의 상급 문양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야수 정령 : 기계공학, 재봉술 등의 전문기술을 선택했다면 야수 정령 문양을 통해 전투력이 뻥튀기 된 야수 정령을 뽑는 것도 좋습니다. (질풍의 무기 문양을 빼고 사용합니다.)
 
 
2-2-2. 주문양
 
번개 보호막 : 전투 중 번보 리필을 안 해도 되게 해주는 편리한 문양입니다.
치유의 토템 : 레이드 중 거리 문제로 인해 저항 오라를 받지 못할 경우 유용한 문양입니다. (특히 라그나로스)
돌발톱 토템 : 20초 마다 16000가량의 셀프 보호막을 걸 수 있게 해주는 문양입니다.
 
연쇄 번개 : 광역 구간에서 약간의 이익을 볼 수 있는 문양입니다.
 
 
2-2-3. 보조 문양
 
전투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 문양은 없으니 편의성에 따라 아무렇게나 선택하셔도 무방합니다.
 
 
 
 
  3. 전투
 
 3-1. 준비
 
 전투의 기본은 도핑입니다. 바람의 영약과 장어 꼬치 혹은 행운 과자 는 준비해 줍시다.
네임드와의 전투 시작 전에 톨비르의 물약 을 먹고 시작하시고 물약의 지속효과가 끝나기 전에 산사태 버프, 혹은 칼날 자수나 기타 발동 버프를 확인하고 야수 정령을 뽑아주면 좋습니다. 영웅심을 키는 타이밍에 물약을 한 개 더 마시면 됩니다.

 주무기에는 질풍의 무기, 보조무기에는 불꽃의 무기를 인챈트를 해놓고 항상 번개 보호막이 끝나지 않도록 유지해줍니다.
 
 기본 적으로 ~~의 부름 토템은 대지력 토템, 불타는 토템, 치유의 토템, 질풍의 토템으로 설정합니다.
죽음의 기사나 전사, 사냥꾼의 살쾡이 펫이 있다면 대지력 토템을 돌가죽 토템으로 바꾸셔도 무방합니다.
생존 사냥꾼이나 냉기 죽음의 기사가 있다면 질풍의 토템을 천벌의 토템으로 바꾸셔도 무방합니다. 
5인 파티의 경우는 질풍의 토템만 쓰셔도 무방하지만 10인 이상의 공격대에서 밀리는 적고 캐스터는 많은데 주문 가속 5% 시너지가 없는 경우에는 천벌의 토템을 깔아주시는게 좋을 수 있습니다.
 
 
 
 3-2. 딜링 사이클
 
 이 부분은 썬더치킨님의 아주 좋은 글이 있어서 링크로 대체하겠습니다. 
 
 
 이 외에도 말씀은 야수 정령은 가능한 쿨마다 뽑아주되 용암아귀, 알리스라조르처럼 받는 데미지 증가가 있는 네임드의 경우는 가능한 그 타이밍에 맞춰서 뽑아주고
라그나로스의 경우는 가능한 사잇단계에 쓸 수 있도록 쿨타임을 아껴주시는게 좋습니다.
 
 고술 외에 영웅심을 올릴 수 있는 복술이나 법사가 있다면 웅심타임 직전에 야수정령을 꺼내서 웅심을 받게하고
다음 야수정령 때는 본인이 웅심을 쓰는 식으로 야수 정령을 웅심을 두번 받게 한다던가 하는 팁 정도가 있겠네요.
 
 행렬 재안정기를 사용하시는 경우에는 굳이 캐스터 고술이 아니라도 행렬 발동시에는 용암 폭발을 섞어주셔도 좋습니다.
 
 
 
 3-3. 매크로
 
 매크로가 그다지 필요 없는 클래스이긴 하지만 몇 가지 매크로를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showtooltip
/cast 용암 채찍
/startattack

#showtooltip
/cast 폭풍의 일격
/startattack

 가장 기본적인 매크로로 타겟 전환이나 전투 시작 등의 상황에 용채나 폭격이 쿨인 상태에서 평타가 안 나가는 것을 방지해주는 매크로입니다.
 

#showtooltip
/castsequence reset=7/combat 정기 폭발, 화염 충격, 대지 충격
/startattack 


 충격류 스킬을 묶어서 편하게 쓸 수 있게 도와주는 매크로입니다. 기본적으로 전투 중 쿨타임이 올 때 마다 눌러주면 알아서 잘 나갑니다.
 
 전투 중 각종 변수들 (거리가 멀어서 쓸 게 충격밖에 없다든지, 여러 대상에게 화충을 걸어야 한다든지) 때문에 매크로에 전적으로는 의지할 수 없습니다. (라이올리스 1페이즈의 경우는 양다리에 화충을 꼽아놓고 불회로 화충을 계속 리필시키기 때문에 큰쫄에만 화충을 써줍니다) 
 
 단일 대상 딜에서는 거의 이 매크로로 정폭과 충격을 묶어 사용해도 되지면 화충과 대충도 따로 빼놓고 적절히 사용하시면 됩니다.

 
#showtooltip
/use 13
/cast [nopet, nomod]야수 정령;[pet, nomod]정령의 걸음
/cast [nopet, mod]야수 정령;[pet, mod]강타

 장신구(주로 씨앗이 되겠죠)를 사용하면서 야수 정령을 뽑습니다. 한번 더 누르면 정령의 걸음을 사용합니다.
야수 정령이 있는 상태에서 컨트롤or알트or쉬프트와 같이 사용하면 강타를 씁니다.
 
  
  4. 기타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