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염충격문양을 고정으로 하는것에 대해 몇자 적어봅니다.

화충문양을 박는 것은 화충의 틱수가 늘어나는 문제가 아닙니다. 화충의 지속시간이 늘어남으로 인해 화충을 리필하게되는 횟수가 줄어들게되고 이는 쿨을 공유하는 대지충격을 쓸수있는 기회를 더 많이 얻게 됩니다. 많이 알려진대로 대지충격은 화충이 끊키지 않는선에서 넣어주는게 가장 좋습니다. 화충문양이 없다면 화충리필을 한뒤에도 지속시간이 짧아서 리필한지 얼마지나지 않았는데도 지속시간이 7초밑으로 떨어질것이고 다시 리필을 위해 충격쿨을 아낄수밖에 없어지죠. 그 사이에 9중첩대충을 넣을수있는 기회는 많아봐야 1번이죠. 재수없으면 못넣을때도 생깁니다. 문양있을때 2~3번씩 우겨넣던 거와는 차원이 다르죠. 그리고 그 9중첩때 용폭>번화>대충의 번뜩임 싸이클로 넣을수있을 확률도 문양이 없다면 굉장히 낮아집니다. 그냥 9중이 되면 얼른 넣고 화충리필시간을 기다리기에 급급해지겠죠.

화충문양은 컨트롤에 익숙해져서 난전중에도 고중첩대지충격을 칼같이 넣어줄 정도가 되면 디피에 엄청난 차이를 가져옵니다. 번화 문양과는 비교가 되지않을정도로요. 게다가 멀티도트를 해야되는 상황이라면 화충문양의 가치는 모든문양중에 우선이 되겠죠.

 

결론.

1. 화충문양으로 인해 지속시간이 길어지면 화염충격의 리필횟수가 줄어든다 ->쿨을 공유하는 대지충격을 넣을수있는 기회가 많아질뿐만아니라 번뜩임상태 9중첩의 파워한 대지충격을 넣을 확률또한 높아진다. 

2. 잦은 화염충격리필으로 글쿨을 써버리면 매번 번화를 쓰지못함으로 인해 딜로스가 생긴다.

3. 반면 고중첩대지충격으로 글쿨을 쓰면 번화보다 파워한 딜로인해 딜이 상승한다.

4. 고로 화충은 최소한의 횟수로 유지해주는것이 최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