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작성에 매우 많은 도움을 주신 Koreaid2015님 감사합니다.)
ver. 2025.02.26a
2025.02.11a - initial ver.
2025.02.12a - 오타 수정, 풀사이즈 메인보드 추가, 여러가지 수정
2025.02.12b - 6번 견적 매우 심각한 오류 수정 (B850M-plus는 55mm 이상 글카가 장착되지 않습니다)
2025.02.13a - RTX 50시리즈 대비 존버용 견적 추가, RX7800XT 재입고, 일부 메인보드 재입고로 전체 견적 수정(거의 싹 다 갈아엎음)
2025.02.13b - 7번 견적 파워 용량 수정
2025.02.16a - 5080, 5090 전원 커넥터 멜팅 이슈 추가
2025.02.25a - 5070 ti, 5080, 5090 ROP 이슈, 9800X3D 사망 이슈 추가
2025.02.26a - 9800X3D 사망 이슈 바로 바이오스 업뎃으로 해결, 라이젠/라데온 구매시 몬헌 와일즈 번들 증정 이벤트 시작


요약) 글카 세대교체 과도기라 어디서도 그래픽카드를 구하기 힘듭니다. 또 숨 참으세요(맨날 숨참으래)
4060, 4060 ti의 경우 단종으로 가격이 많이 올랐습니다. 지금이라도 구할 수 있을 때 구매하시거나, 라데온으로 가시거나 3~4월에 출시될 5060(근데 이거도 가격안정화까지 걸릴 시간을 생각하면...)까지 숨참으세요

네.

그래서 가져왔습니다.

드디어! 숨 ㅈㄴ게 참고 존버하던 기간이 끝났습니다. 5090과 5080이 출시되었...

?
(5090: 페이퍼런칭이라 그냥 국내에 물량이 없음)



?????????????
(5080: 기존에 숨참던 사람들이 우르르 몰려들었는지 물량이 없음)

????????????????????
(4070s, 4070 ti s: 단종으로 인해 물량이 없음)


??????????????????????????????
(RX7800XT, RX7900GRE; 이놈들은 그냥 인기가 없어서 국내에 물량이 없음 생각보다 좋은데) (각각 1월/ 작년에 단종된 것도 맞습니다.)
rx7800XT는 4070s와 비슷한 성능의 라데온 글카입니다)

그렇습니다. 비로소 그래픽 카드의 보릿고개 시대가 도래하였습니다. 

5090은 사실상 페이퍼 런칭이라 국내 물량이 "거의" 없고, 5080은 수요자가 너무 많이 몰렸는지 아니면 유통사들이 082짓을 하는건지 구매하려면 컴퓨존에서조차 응모를 통해 겨우 구매하는 수준입니다 (게다가 가격은 왜이런지 모르겠네요. 5080 한 장에 190만원 이상이라니....) 게다가 드라이버 이슈에, 가끔씩 pcie 5.0 모드로 작동시키면 작동되지 않는 이슈에, 5090 전원 커넥터 멜팅 이슈에, 뭐 오만가지 이슈가 다 터지고 있군요. (라데온이었으면 진작에 멸망했을 정도)

4070super과 4070 ti super의 다음 세대인 5070 ti의 출시는 2월 20일, 5070의 출시는 3월 5일이라는 루머가 돌고 있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이들 역시 5080과 같은 길을 걸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가격 안정화까지 몇 달은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제와서 RTX40시리즈를 가자니 이 또한 단종으로 인해 4070 super과 ti super마저 구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7500F는 국내에 수입이 되었지만 9600X도 품절 사태가 일어나 구하고 싶어도 구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버렸군요. (알리 해외 직구로 7500F보다 싸게 9600X를 구매하세요!)

현 시점에서는 CPU는 9600X가 재수입 될 때까지 기다리시거나 인텔 14600KF로 가셔야하고 (14600은 불량사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그래픽카드는 정말로 숨참다가 질식할 때까지 RTX50시리즈의 가격 안정화까지 기다리거나, 대체품인 라데온으로 가는 방법밖에 안보이네요(라데온 생각보다 이슈 없습니다, 오히려 rtx 50시리즈가 지금 활활 타고 있지). 고로 2월달 견적도 미완성일 수밖에 없습니다. 정말 급한 분들만 구매하시거나, 반본체로 구매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이 글은 "조립"pc 견적글이니만큼 본인이 원하는 부품을 쏙쏙 넣는 것이 메리트라고 생각해서, 이번 버전에서는 사진으로 제가 생각하는 견적을 제시하고여러가지 선택지를 사진 밑에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에서 말한 "업그레이드"란 내가 더 성능을 원해서 업그레이드하는 의미도 있지만, 한 3~5년 사용 후에 컴퓨터가 성능이 후달린다고 판단이 들 때의 cpu 및 그래픽카드의 교체의 의미도 있습니다. AM5의 메인보드 소켓은 27년까지 같은 소켓을 사용한다고 보증이 되어있습니다. (계속 1년씩 늘어왔는데, 인텔이 고꾸라짐에 따라 더이상 늘어나진 않을 거 같습니다. 늘려주면 빛사 수)

---------------------------------------------------------------------------
시작하기 전에 또또 정리하고 가겠습니다. 

0. 광고 아닙니다. 왜 광고라고 하는거냐 대체....

0. 완본체 사면 안되나요?  알리 보니까 엄청 싸던데
기본적으로 완본체는 cpu, 그래픽카드만 그럴싸하게 좋은 거 집어넣어놓고, 보드, 파워, ssd, 램을 싼마이(재고처리)를 집어넣어서 원가를 절감해버립니다. 완본체 기준 법적 as기간은 1년입니다. 물론 처음엔 잘돌아갑니다만, 그 이후에 고장나도 판매업체는 알빠노를 시전합니다. 
아니, 사실 1년 내임에도 불구하고 그냥 알빠노를 시전합니다(ㅍㄹㅍㄹㅇ 같은)
퓨터 100 넘게 주고 맞췄는데 1년 쓰고 버릴 거 아니잖아요?

물론 정말 밸런스 좋은 구성으로 특가하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 그럴 경우 엄청난 메리트죠. 그 부품을 구별할 수 있으시다면 사는 것도 괜찮으십니다. 일단 돈아끼긴 젤 좋거든요. 근데 폭탄 부품이 너무너무 많습니다. 폭탄 업체도 너무너무 많구요.

그래도 완본체 생각하신다면
https://www.inven.co.kr/board/lostark/4821/102390

읽어보십쇼.

1. 파워 선택 팁
우선 이 두가지 글을 정독하고 오십쇼
https://coolenjoy.net/bbs/39/21737?page=2
https://quasarzone.com/bbs/qf_power/views/262754

파워 제조사는 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 많고 OEM 파워도 엄청나게 많기 때문에 다 열거할 수가 없습니다. 제가 모두 알고있지도 않고요. 
(조금 오래된 글이긴 하지만) 파워 티어표입니다. 어느정도는 공감가는 내용들이네요. 슈플은 하드킬 사태 때문에 티어가 떨어졌다가 훌륭한 AS정책으로 다시 티어가 올라왔습니다.
https://quasarzone.com/bbs/qf_power/views/211338

(그 외에도 안텍, 쿨러마스터, 등등등 나름 괜찮은 파워 회사들은 굉장히 많습니다.)
2. CPU 선택 팁
라이젠 5600: 나는 컴퓨터 업그레이드의 생각이 없다, 가성비(에서 성을 빼버린)만 챙기겠다. 작업이나 렌더링은 관심 없다.
라이젠 7500F: 나는 그냥저냥한 퍼포먼스를 생각한다. 만찬에 가끔씩 늦어도 상관없다. 다만 현재 로아 사양 요구량이 하늘을 뚫고 올라가는 걸 보면 흐음....
인텔 14600KF: 9600X가 품귀현상인 지금 나는 7500F보단 좋은 성능을 원하고, 추후 cpu 업그레이드할 생각이 없다(게이밍 성능은 9600X보다 소폭 낮음), or 작업 및 렌더링도 할 예정이다 (주의: 영상편집, 특히 프리미어 프로 유저분들은 14600K를 가셔야합니다. F는 내장그래픽이 빠진 버전입니다.)
라이젠 9600X: 나는 만찬을 절대로 놓치고 싶지 않다.
라이젠 9700X: 나는 9600X급의 게임 성능과 약간의 작업(3D 렌더링 등)도 겸할 예정이다 (주의: 영상편집, 특히 프리미어 프로 유저분들은 가시면 안됩니다.
인텔 14700KF: 9600X가 품귀현상인 지금 나는 7500F보단 좋은 성능을 원하고, 추후 cpu 업그레이드할 생각이 없다 and 작업 및 렌더링을 빡세게 해서 게임과 작업 두 가지 토끼를 잡아야한다. (주의: 영상편집, 특히 프리미어 프로 유저분들은 14700K를 가셔야합니다. F는 내장그래픽이 빠진 버전입니다.)
라이젠 7800X3D, 9800X3D: 나는 만찬을 놓치면 내 손가락을 자르겠다. 

3. SSD 선택 팁
2024.01.03 추가) 솔리다임 p44 pro는 단종되었다는 뉴스가 떴습니다. 기존 물량 다 나가고 나면 더이상 추가 안될 듯 합니다.
pcie 4.0기반의 SSD 1티어는 5가지 제품으로 요약됩니다. 
하이닉스 p41(as 5년) 솔리다임 p44 pro  (하이닉스 자회사에서 똑같이 만든 벌크제품)
삼성 980 pro(as 5년) = pm9a1 (980 pro와 똑같은 벌크제품, as1 - 2년, 1TB 가성비 굳)
웨스턴 디지털 SN850X(as5년)
번외: pcie 3.0 기반의 불후의 명작 하이닉스 p31(가격도 조금 비싸고 속도도 pcie 4.0보단 느리지만, 그래도 괜찮은 선택지입니다. 다만 같은 가격에 작동 속도가 더 빠른 p44 pro와 pm9a1이 있는데 굳이? 느낌이네요.)
번외2: 마이크론 T500도 나름 쓸만한 SSD입니다(AS기간 5년). (Koreaid2015님 제품 추천 감사합니다)
번외3: 하이닉스 p51 (pcie 5.0 기반의 현존 최고(?) 속도 SSD, 근데 가격이....)
가격과 as의 기간 보고 본인이 어떤 ssd 갈 지 결정하시면 됩니다.
**솔리다임 p41 plus는 디램리스 싸구려입니다. 헷갈리시면 큰일납니다.

4. 램 선택팁
용어정리)
순정램: 우리가 생각하는 그 시금치, 흑금치
삼성, 하이닉스, 마이크론 칩을 제조사에서 가져가서 수율선별 작업과 방열판을 달아서 램오버 값을 입력하여 출시한 것. 메인보드 호환성이 맞을 경우(QVL 리스트) 간편하게 램오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음.

램은 제조사 별 성능차가 가장 적은(사실상 없는) 제품이긴 합니다. 램오버 이런거 관심없으신 분들은 DDR5 순정램 기준 삼성전자 빼고 아무거나 (마이크론, 에센코어, 팀그룹, 패트리어트, 하이닉스) 고르시면 됩니다. 삼성전자는 DDR5 불량사태 이후 그 이미지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고(시간이 오래 지나서 이제는 문제가 없겠지만), 다른 회사의 메모리는 A/S정책면에서도 평생제한보증(제품 단종 되기전까지 평생보증)이 되는 반면 삼성메모리는 제조주차로부터 1년 6개월까지 보증됩니다. 특별히 싸지도 않은데 고를 이유를 찾지 못하겠습니다. (마이크론도 불량사태 터졌었잖아) (하지만 해결 잘했죠?)

조금 더 깊게 들어가보자면
ESSENCORE KLEVV DDR5-5600 CL46 : SK하이닉스 A다이 PMIC언락 (수동오버 포텐셜 좋음)
PATRIOT DDR5-5600 CL46 SIGNATURE : SK하이닉스 A다이 PMIC언락 (수동오버 포텐셜 좋음)
SK하이닉스 DDR5-5600 : SK하이닉스 A다이 PMIC언락이지만 위 두 제품보다 가격이 좀 더 비싸서 비추천
PATRIOT DDR5-5600 CL46 EVO (EVO랑 SIGNATURE랑 다른 제품임) : SK하이닉스 랜덤다이 PMIC언락
ESSENCORE KLEVV DDR5-5600 CL46 NEO (NEO 붙은 거랑 아닌거랑 다른제품임) : SK하이닉스 랜덤다이


*12.16 추가) 라이젠 9000번대 cpu 가시는 분들은 현재 에센코어, 팀그룹, 패트리어트 같은 하이닉스 칩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램은 낮은 확률로 5600 램을 꽂았는데도 바이오스에서 4800mhz으로 인식하고, 4800mhz으로 작동하는 이슈가 있습니다. 아마 하이닉스 컨트롤러 중 4800에 쓰이는 컨트롤러가 들어가는 경우 바이오스가 이를 인식해서 4800으로 작동하는 것 같습니다. 추후 바이오스 업데이트로 해결될만한 이슈이고(근데 업데이트를 안해주네요) 5600이나 4800이나 엄청 크게 성능의 차이도 없어서 실사용도 어지간하면 문제없겠지만 혹시나 불안하신 분은 마이크론 램 가시면 되겠습니다. 이 램이나 저 램이나 크게 차이 없습니다. 제가 에센코어 램을 추천했던 건 하이닉스 칩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적어도 제 주위 지인들은 현재까지 문제됐던 사람이 없습니다한 명 생겼네요. 이게 생각보다 흔한 이슈인건가..?
참고문헌) https://quasarzone.com/bbs/qf_overclocking/views/359787

만약 튜닝램을 가신다면, 반드시 메모리 회사의 qvl 리스트에 내가 고른 보드가 있는지 확인하셔야합니다. 그래야 AS가 돼요. 라이젠은 6000mhz까지만 추천드립니다. 유통사가 서린인 경우 서린에 카톡으로 문의하시면 qvl 리스트 확인해줍니다.

*화이트 컨셉으로 가시는데 램이 반짝이는게 필요가 없으시다면, 마이크론 Crucial DDR5-6000 CL36 PRO Overclocking White 찾아보셔요. 화이트 램 중에 제일 쌀 겁니다. 아니면 그냥 순정램 사서 화이트 방열판 달아도 되고...
추가) ESSENCORE KLEVV DDR5-6000 CL32 FIT V도 고려해보셔도 됩니다 (Koreaid2015님 감사합니다)
**블랙 컨셉으로 가시는데 흑금치나 시금치는 싫고 반짝이는 것도 싫으시다면, 마이크론 Crucial DDR5-5600 PRO 찾아보셔요. 가격도 순정램과 비슷한데 방열판도 달려나옵니다. 5600 expo는 덤 (9600x이상에선 5600을 5600으로 인식시키는 꼴이라...)

5. 메인보드 선택팁
용어정리)
A, B, X : AMD 메인보드 칩셋의 등급, AMD의 경우 이후에도 같은 메인보드 소켓을 사용하기 때문에 B등급 이상의 칩셋을 주로 사용합니다. (진짜 B840은 왜 이름바꿔서 출시한 건지 모르겠습니다 사실상 A820입니다. 낚이면 큰일나요)
H, B, Z: 인텔 메인보드 칩셋의 등급, 인텔의 경우 메인보드 소켓 장난질을 많이 치기 때문에 CPU의 등급에 따라 사용하는 칩셋이 달라집니다. 14600K의 경우 B보드를 사용하면 됩니다. 14700K의 경우 B등급으로도 안되는건 아닌데...안전하게 Z갑시다 그냥.
M: (ex: B650"M", B850"M"): M-ATX 사이즈 보드(풀사이즈 보드보다 약간 작고, 확장성이 떨어집니다만, 가성비로 많이 사용합니다. 어차피 게이머 입장에서 확장성이래봐야 그래픽카드 1개, SSD 1-2개밖에 사용하지 않으니까요 다만 특정 메인보드의 경우 그래픽카드 장착 슬롯이 약간 밑으로 내려와있어 두께가 55mm 이상의 그래픽카드는 장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ex: MSI B650M-A, MSI B650M 박격포, ASUS B850M-PLUS, 하나같이 인기많은 보드들입니다)

메인보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전원부의 용량과, 방열판의 크기입니다. 전원부는 CPU에게 전기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원부의 용량이 클 수록, 방열판의 크기가 클 수록 보드의 수명이 오래 갑니다.
그 외에 봐야할 것은 SSD를 몇 개 장착할 수 있는지, 그래픽카드(VGA)는 pcie 5.0을 지원하는지(RTX50시리즈를 장착할 예정인 경우) 내가 원하는 만큼 USB 포트가 있는지, RGB 핀(반짝반짝이)은 몇 개까지 꽂을 수 있는지, 와이파이 블루투스 기능은 지원되는지 등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X870, X870E 시리즈와 다른 보드들의 차이점은 와이파이 7과 USB 4를 지원하냐 마냐의 차이입니다. 다만 그를 위해 레인을 몰빵한 결과 레인공유 이슈가 있으나, 제가 적어놓은 보드들은 SSD 2개 초과해서 달지 않는 이상 레인공유 이슈는 없을 겁니다.
하급 사운드칩(ALC897)과 최상급 사운드칩(ALC4080, ALC1220)이라고 적어는 놨는데, 사실 그냥 외장 사운드카드 하나에 다 압살당하는 수준입니다. 그냥 본인 취향껏 가시면 됩니다. 다만 m-atx 사이즈 보드들은 보드 자체의 크기가 작고, 그래픽카드 크기 때문에 외장사운드카드를 장착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VGA PCIE 5.0에 대한 고민
RTX50시리즈의 풀성능을 뽑아내기 위해서는 vga pcie 5.0을 지원하는 보드를 구매하셔야합니다. B650E, B850 대부분, X670E, X870, X870E 보드가 이에 해당되지만, 그나마 젤 싼게 B850보드고 이거도 가격이 이게 맞나 싶을 정도로 비쌉니다. VGA PCIE 4.0 스펙의 보드(A620, B650, X670, B840, B850보드 일부)에 RTX50시리즈를 장착한다고 작동이 안되는 것도 아니고, 성능하락도 미미할 것으로 "예상"되나, 실제로 출시될 때까지는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RTX 5090은 FHD/PCIe 4.0x16에서 평균 게임 성능의 약 1.07%, QHD/PCIe 4.0x16에서 1.29%, 4K/PCIe 4.0x16에서 0.74% 손실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격보고 결정하시거나 실제로 그래픽카드가 출시될 때까지 기다려서 벤치 결과를 확인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다만 5060, 5060 ti는 8레인 그래픽카드로 "예상"되기 때문에 40시리즈 때처럼 성능하락폭이 5~6%, 많게는 10%까지도 나올 수 있습니다. 때문에 pcie 5.0 보드를 가시는 게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근데 가격 때문에 5060시리즈를 가는건데 보드에서 지출이 늘어나는 게 또 문제죠.... 사실상 실제 출시까지 기다려보시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어차피 3~4월에 출시가 예상되니까요.)
(어쩌면 라데온이 PCIE 4.0을 선두로 진짜 가성비로 올라설 수도 있겠네요 보드 가격이 계속 이렇게 비싸면)
참고문헌)
https://quasarzone.com/bbs/qn_hardware/views/1785452


6. 
글카 선택팁
1티어: AS 3대장(zotac, galax, emtec), 그냥 제품을 잘 만듬 (MSI, GIGABYTE, ASUS) (As가 므시므시, AS가 기가참, AS없수)
1.1티어: COLORFUL (잘만들기도 하고, 디자인도 예쁜데, 개인취향 500% 버무려서 짱깨회사라 맘에 안듬, 특히 전용 소프트웨어 번역이...어...)
1.5티어: INNO3D, PNY, STCOM 등등 기타 회사들, 얘네가 못 만드는게 아님, 앞에 회사가 잘만드는거지
구매금지: MANLI(AS받으려면 만리길을 걸어야함. manli 4090 멜팅 as거부사건 검색, 하 이번에 만리 RTX50 시리즈 진짜 잘나왔던데)

ZOTAC은 구매 후 14일 이내 제품 등록 시 기본적인 3년무상보증에 더해서
2년RMA확대보증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GIGABYTE 제품 중 Gaming OC(블랙계열), AERO OC(화이트계열) 이상 라인업은
구매 후 30일 이내 제품 등록 시 기본적인 3년무상보증에+1년 총 4년 무상보증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하위 라인업인 WINDFORCE OC, EAGLE OC와 같은 제품들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현재 ASUS는 2025년 6월 30일까지 기본 3년무상보증+1년 보증 연장 프로모션 진행중입니다.
(그래픽카드뿐만 아니라 메인보드도 가능)
구매 후 14일 이내 등록 해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www.asus.com/kr/events/infoM/activity_TheExtendedWarranty2

inno3D는 인지도가 떨어지는 브랜드이지만 "아이노비아 프리미엄 서비스"라고 해서
3년무상보증은 당연히 기본이고, 제품 생산일자 기준 최대 12개월 이내 불량 확인 시
새제품 교체를 받을 수 있는 독특한 정책이 적용됩니다.
(보통은 초기불량 인정기간 약 7일~14일이 지나면 새제품교체가 아닌 리퍼교체나 RMA로 처리됩니다.)

국내 수입사 서비스센터에서 수리/분해권한을 보유하고 있는 브랜드 선택을 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권한이 없는 브랜드들은 써멀 재도포 서비스 받기가 어렵고, 예시로 팬불량인 경우 서비스센터에서 간단하게 팬교체만 하면 되는 문제인데
분해권한이 없기때문에 교체용 재고가 없는 최악의 경우 RMA를 보내야하므로 처리기간이 몇 주, 길게는 몇 달 정도 걸릴 수가 있습니다.

6-1. 라데온 어디감?

라데온의 드라이버가 엄청나게 치고 올라와서 더이상 문제될 여지는 정말 적지만, 희한하게 로아에만 발적화가 굉장히 심합니다(?: 여러분!!!! 나는 이 7900GRE를 써봤어요!!!!! ??: 그런 놈이 라데온을 추천해?). 하지만 그건 컷신에서 배경 처리가 살짝 이상하다던가, 마을에서 엔비디아보다 쥐꼬리만큼 스터터링이 심한 정도이고, 레이드에서는 오히려 AFMF를 통해 프레임이 뻥튀기 되고 권장 사양에서 한 등급 낮은 글카를 사도 전혀 불편감이 느껴지지 않습니다. 현재 시점에서 엔비디아 글카의 가격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상승함에 따라, 라데온이 다시 가성비로 올라섰습니다. 4070 super과 ti super이 시장에서 완전히 사라진 지금, 사실상 남은 선택지는 라데온인데, 라데온 7800XT와 7900GRE마저 9070XT와 9070의 출시 예정으로 인한 단종으로 국내 물량이 없다시피 합니다 (애초에 인기가 너무 없었기 때문에)
한마디로 요약할게요
"4070 super이 100만원이 넘는데 RX7800XT는 70만원 대네요. 근데 그마저도 구하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계속해서 숨참으라고 말하는 꼴이 돼버렸지만 이번달은 또 숨을 참아야할 것 같습니다." 이러다 질식사하겠다

*AFMF는 라데온의 프레임 뻥튀기 기술입니다. 업스케일링 + 프레임 뻥튀기 기술인 DLSS와는 조금 작동 원리가 다릅니다. FSR이라고 엔비디아의 DLSS에 대응하는 라데온의 기술이 있긴한데, 처참히 망했습니다. 어차피 둘 다 로아에는 지원되지 않는 기능이고, AFMF는 로아에 지원이 됩니다. 라데온이 개같이 멸망했다지만 AFMF만은 정말로 쓸만한 기능이긴 합니다.
**라데온 그래픽카드 사용 팁 https://quasarzone.com/bbs/qf_vga/views/6082763
*** 글카 깡성능 비교
4060=rx7600<4060ti=<rx7700xt<4070<rx7800xt=<4070super=<rx7900GRE<rx7900xt<4080=<rx7900xtx<4080super<5080<<<<<<<<4090<5090
****DLSS를 지원게임하는 게임을 하면서 좀 더 개쩌는 그래픽을 원하시면 엔비디아로 가시는 게 맞고, 그렇지 않더라도 그래픽의 안정성을 중시하시면 엔비디아로 가시는 게 맞습니다(근데 사실 로아나 국내겜을 벗어나서 콘솔겜 쪽으로 가면 라데온이 오히려 더 안정적입니다.)
*****라데온을 가신다면 드라이버 이슈에 어느 정도는 대처할 줄 아셔야 합니다 (사실 안전모드 부팅해서 프로그램으로 드라이버 밀고 재설치하는 과정 뿐입니다만). 아무리 드라이버가 많이 괜찮아졌다지만 혹시나라는게 있으니까요 (5000번대 때 워낙 거하게 사고를 쳤었으므로).

7. 케이스 어디감?
케이스는 직접 취향따라 고르시면 됩니다. 그리고 샵다나와에서 케이스와 쿨러, 글카 등이 호환되는지는 꼭 확인 한 번 더 하십쇼. 크고 아름다운 글카 사놓고는 케이스에 안 들어간다 이러시면 곤란합니다. 없을거 같죠?
샵다나와에서 구매는 안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다나와 최저가래놓고 비싸거든요 사실
어항형 케이스는 케이스 내부 쿨링에 매우 좋지 않기 때문에, 7500F + 4060ti이하에서만 추천드립니다. 그 윗급으로는 공기흐름 때문에 수명에 좋지 않습니다. 전면메쉬소재 어항형 케이스면 발열해소가 괜찮습니다만... 그러면 그걸 어항형 케이스라고 부를 수 있는가...
https://youtu.be/k2OMiwx_n7U?si=HMV_AmIFfiNBHc-p

2025.1.20 추가) (Koreaid2015님 피드백 감사합니다)
대부분의 MSI B650 M-ATX와 GIGABYTE B650 M-ATX 제품들의 케이스 전면 USB3.0 A타입 헤더
위치를 보면 오른쪽 옆으로 장착할 수 있게끔 설계되어있는데 이게 특정 케이스와 섀시 구조나
측면 쿨링팬과 간섭이 생겨서 꽂는 게 불가능해지거나 꽂더라도 케이블이 심하게 꺾이곤 합니다.

(케이스의 전면 USB3.0 A타입 케이블 커넥터부가 플랫타입 형태[칼국수면발 케이블]라면 좀 나은 것 같습니다.)
케이스 고르실 때 참고하셔야합니다.
ex. DAVEN APEX처럼 메인보드 장착공간 옆에 살짝 앞으로 툭 튀어나와있다거나
DLX21에 측면팬을 달아서 사용하려는 경우 or 어항케이스 측면팬이 약간 뒤로 가있지 않은 경우


8. 윈도우 정품구매는 선택이 아닌 당연한거다.

우리는 지하철 개찰구를 통과할 때 교통카드를 찍지 않고 몰래 넘어가지 않습니다.
우리는 편의점이나 마트에서 물건을 계산하지 않고 그냥 들고 나오지 않습니다.
똑같습니다. 윈도우는 "당연히" 정품구매를 해서 쓰는 겁니다.
물론 기존에 FPP 키를 가지고 있으신 분들은 그거 인증해서 쓰시면 됩니다만, 그게 아니시라면 윈도우는 구매합시다.
FPP: 처음사용자용 = 컴퓨터 바꿔도 영원히 사용가능. 패키지 박스 형태로 존재.
ESD: 컴퓨터 바꿔도 영원히 사용가능한 박스 없는 키형태의 윈도우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 11 ESD 버전을 발매한 적이 없습니다.
DSP(OEM) : 컴퓨터 바꾸면 사용 불가능한 윈도우 정품. 바코드 형태로 존재합니다. (솔직히 몇 천원 싸지도 않은데 사야할 이유를 못 찾겠습니다.)
윈도 10의 지원 종료가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윈도 11로의 업글은 아마 아직 무료일테니 이제 슬슬 업그레이드 하시지요.

1 2 3만원에 오픈마켓에서 사던 그 키들은 전부 불법 윈도우입니다. 

9. 그래서 어디서 구매해야함?

가장 싸게 사는 건 부품들을 일일히 ㅋㅇㅅㅈ 핫딜 게시판 등에서 상주하며 특가 할인 뜨자마자 일일히 구매하는 방법입니다(통칭 드래곤볼). 그렇게 구매한 부품들을 직접 조립핫거나, 컴퓨터집 들고가서 조립만 맡기면 공임비 조금 받고 조립해줍니다. 이렇게 저는 300에 컴퓨터 맞출 거 200에 맞췄습니다. 다만 초기불량에 대한 대처도 본인이 직접해야하고, 가장 오래걸리는 방법입니다(저는 드래곤볼에 2달 걸렸네요). 대부분의 제조사는 구매 후 14일 내에만 초기불량 발생 시 새제품 교환이기 때문에, 오랜시간 공들여서 부품을 모았는데 합치고 보니 초기불량이라도 터지는 날에는 대참사가 일어납니다. 애초에 이 글을 보고 계실 정도면 이 방법은 비추입니다. 

좀 합리적이게 잘 사는건 그래픽카드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반본체로 주문한 뒤, 그래픽카드만 핫딜게시판에서 기다리다가 구매하는 겁니다. 사실 나머지 부품들은 원가부터가 낮기 때문에 할인폭이 그렇게 크지 않고, 그래픽카드에서만 4070 super 기준 20만원 이상 아낄 수 있습니다. 반본체 주문할 때 업체에다 나 이 그래픽카드 쓸 예정이니 선 배치해달라하면 해주실겁니다.
드래곤볼만큼 시간이 걸리지는 않지만, 내가 구하는 그래픽카드가 핫딜에 안뜨면 영원히 기다려야 하는 단점은 있습니다. 그래도 20만원 이상 아낄 수 있다는 것은 큰 메리트죠
이 부분에서 업자 분들이 많이 남겨먹는다고 오해가 많은데, 그게 아니라, 그냥 그래픽카드 핫딜이 평상시 가격보다 오지게 싸게 파는 겁니다.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샵다나와도 비추입니다. 견적 깔끔하게 정리하는 데는 이만한 사이트가 없지만, 다나와의 탈을 쓴 바가지 집합소입니다. 비쌉니다. 견적창으로 보면 굉장히 싸보이는데, 실구매로 들어가면 공임비 55000원에, 샵다나와에 입점한 각 업체의 부품가로 바뀌며 가격이 하늘로 치솟습니다. 견적창에 올라온 가격은 각 업체들에서 올린 가격들 중 최저가들만을 표시한 것입니다. 

제일 깔끔한 건 컴퓨존에서 조립하는겁니다. 대기업인만큼 조립하는 직원도 많아서 조립 퀄리티가 들쑥날쑥하지만, 적어도 사기는 안치고 총판마저 벌벌 기는 규모 때문에 AS도 제일 깔끔합니다. 가격대는 뭐랄까 딱 정가에 구매하는 느낌입니다. 특별히 싸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바가지는 아닌 딱 그런 느낌. 하지만 OS 설치비 만 원을 추가로 받는 건 진짜 좀 짜치는군요, USB 꽂고 부팅해서 다음 다음 다음 누르면 끝인데....

그 외에도 유명한 컴퓨터 유튜버들(허수아비, 고고싱, 체험판, 테크노사우루스, 까망이, 조군 등등등)께 사셔도 적어도 사기는 안 당하실 겁니다. AS도 확실하게 해주실 거고요. 그리고 견적 상담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내가 짠 견적이 제대로 짠 건지, 외관 디자인은 제대로 한 건지, 호환은 제대로 되는지, 이런걸 한 번 더 체크할 수 있습니다. 외에도 제가 개인적으로 업체 아는 곳도 있는데 그건 쪽지 주시면 개인적으로 답변드리겠습니다(광고 아닙니다. 그냥 정직하게 영업하시는 분입니다. 사장님은 저를 모르실겁니다. 그저 몇 번 스쳐지나갔던 고객일 뿐(라고 하기엔 그 사장님께 컴퓨터를 9대를 맞췄는데) . 샵다나와 보단 싸겠지만 컴퓨존보단 싸진 않을 겁니다.)

10. 그 외 코멘트들
(0) 파워와 메인보드는 넉넉하게 갈수록 좋습니다. 기초공사를 튼튼하게 해야 컴퓨터가 오래 간다고 생각합니다.
(1) RTX 5080과 5090 시리즈는 가격 안정화와 드라이버 안정화가 어느정도 되고나서 구매하는 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드라이버 이슈도 종종 나오고, pcie 5.0모드로 작동 불가 이슈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2) 4060, 4060 ti 시리즈도 조만간 4070 super, ti super의 뒤를 걸어 아예 구할 수 없게 될 것 같습니다. 사실 분들은 지금 사시거나, 아니면 5060, 5060 ti까지 기다리셔야 합니다. 노선을 빨리 정하셔야 합니다.
(3) 9800X3D, 7800X3D의 가격이 이제는 정상화 되었다고 생각이 듭니다. 애초에 환율이 너무 높아서 더 떨어지진 않으려나 봅니다 ㅠㅠ
(4) 지금까지는 인텔을 비추천했지만, 9600X가 품귀현상으로 국내에서 구할 수 없게 된 지금 대체제로는 인텔 14600KF가 있습니다. 불량사태를 피해간 기종이지만 그 인식 때문에 가격은 정말 나락으로 떨어져서 가성비로만 보면 9600X를 아득히 초월합니다(9600X를 알리에서 해외직구 하는 경우 제외). 고로 이번 달 견적부터는 다시 인텔이 그 모습을 드러낼 것입니다. 다만 이후 세대에서 메인보드 소켓이 바뀌었으므로 업그레이드는 불가능합니다.
(5) 인텔15세대 애로우레이크는 화살을 자기 머리통에다 쐈는지 게이밍 성능이 그냥 멸망했습니다. 순수 작업용도가 아니라면 비추천합니다.
(6) 요번에 새로 출시된 5080(4080 ti super)은 엔비디아 최초로 전작의 90시리즈 발끝에도 못 미치는 쓰레기가 나와버렸고, 5090(4090 ti) 는 사실상 4090 ti라 불러도 될 정도로 깡성능 향상폭이 절망적입니다. 근데 가격은 오지게 또 비싸게 나왔습니다. 솔직히 이게 살 가치가 있는지도 잘 모르겠지만, 어쩌겠습니까 4K 모니터로 게임하고 싶으면 사야하지 않겠습니까. 라데온이 하이엔드 시장을 포기하니 바로 엔비디아가 미쳐날뛰고 있습니다. 독점이 이렇게 무서운 겁니다.
(7) 로아는 발적화 게임이라 9800x3d에 4090을 박아놔도 144프레임 방어가 불가능한 게임입니다. 제 견적은 말그대로 로아를 하는 데 "쾌적"한 기준입니다. 왜 수 백을 들였는데 144 프레임 방어가 안돼요! 이러시면 곤란합니다.
(8) 반박시 님들 말이 다 맞습니다. 
(9) 

2025.02.26 추가) 라데온이나 라이젠 해당 cpu/그래픽카드 구매 시 몬헌 와일즈 증정이벤트 시작했습니다.
https://quasarzone.com/bbs/qn_hardware/views/1802380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1) FHD 가성비(에서 성을 빼버린): 5600 + 4060(엔비디아) or rx 7600(라데온)  3050 or rx 6600


구구세대의 영광, AM4 기반의 견적입니다. 구세대인 AM4 기반이기 때문에, 성능이 기깔나지도, 추후에 업그레이드도 불가합니다(해봤자 5700X3D), 

차라리 5600+ 4060 구성만은 완본체로 구매하는 게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전력을 많이 잡아먹는 것도 아니고, 업그레이드도 불가능할 뿐더러, 오래 쓰지도 못할 컴퓨터인데 굳이 좋은 부품을 쓸 이유도 없구요.


(2) FHD 가성비 (추천): 7500F + 4060(엔비디아) OR RX7600(라데온)

(5060 존버용 반본체, 7500F는 내장그래픽이 없으므로 반드시 기존에 사용하던 그래픽카드를 장착하여 사용하셔야합니다)

(라데온 rx7600)


(엔비디아 4060)
참고1) 4060 가격이 너무 올랐습니다. 라데온이 상관없고 가성비를 챙기신다면 rx7600도 생각해보셔요. (그래픽카드 선택팁 참고)
참고2) 4060과 4060 ti시리즈도 조만간 4070s와 4070 tis의 길을 걸어 구하고싶어도 못구하는 사태가 일어날 것입니다. 단종으로 인해 가격이 장난아니게 비싸지만 지금이라도 구매하실 분들은 구매하시고, 아니면 5060 출시 후 가격안정화까지 숨참으시거나, 라데온 rx7600으로 가셔야합니다.

메인보드: 
(1) PCIE 4.0 지원 메인보드(rtx 50시리즈 장착시 성능저하(메인보드 선택 팁 참고)
Asrock A620M HDV/M.2 or HDV/M.2 + (딱코): 7500F 사용하는 데는 문제가 없으나, 추후 CPU 업그레이드는 많이 곤란할 겁니다. VGA pcie 4.0기반이라 RTX50시리즈를 장착할 경우 성능저하가 있습니다(메인보드 선택팁 참고)
GIGABYTE B650M K(200A), ASUS PRIME B650M-A II(200A), Asrock B650M PG lightning(300A) 
그 나물의 그 국밥 3종 세트, 하급 사운드칩, 추후 업그레이드는 쪼끔 곤란하지만(안되는 건 아닌데...정도의 느낌) 7500F 쓰기엔 아주 좋은 튼튼한 보드입니다. 긱바 K는 저 가격에 rgb에 c타입에 있을 게 다 있는 보드여서 한동안 왕좌에 앉아있었으나, 하단의 msi pro b650m-a에 잡아먹혀버린 비운의 보드입니다. PG lightning은 전원부의 용량이 조금 더 높지만 방열판이 소형입니다. (방열판 빠돌이로서 으으으!!!!)
ASUS TUF B650M-E(480A), MSI PRO B650M-A(440A), Asrock B650M HDV/M.2(400A), Asrock B650M Pro RS(400A)(화이?트 보드, 사진보세요) 
추후 cpu를 업그레이드를 할 지 안할지 모르겠다는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하급 사운드칩, 업그레이드 안하고 그냥 쓰기에도 좋습니다. A620 칩셋보다 고작 3-4만원 차이나는데 보드가 매우 튼튼해집니다. MSI pro B650M-A는 두께가 57mm 이상인 그래픽카드는 장착하지 못합니다. 와이파이 블루투스 필요하시면 MSI pro B650M-A WIFI 가시면 됩니다. Asrock B650M HDV/M.2는 램슬롯이 2개 뿐이고(원래 2개밖에 안쓰긴 합니다.), RGB 포트를 장착하지 못하는 대신 가격이 쌉니다.
Asrock B650M PG Riptide(600A): 하급 사운드칩, 위 메인보드 3종보다 전원부가 조금 더 튼튼하므로 CPU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가격도 쌉니다. 다만 USB3.0 포트가 하나뿐인게 치명적인 단점.
GIGABYTE B650M Aorus Elite AX ICE(660A): cpu 업그레이드 가능, 하급 사운드칩, 예쁜 화이트보드.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위의 보드들보다 전원부가 조금 더 튼튼합니다. 근데 이 가격이면 밑에 박격포를 살 수 있습니다. 화이트보드 생각하시는 분들은 가시면 됩니다. 예쁘긴 진짜 예뻐요.
MSI B650M 박격포 WIFI(960A):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but 두께가 55mm 이상인 그래픽카드는 장착하지 못합니다. VGA pcie 4.0기반이라 RTX50시리즈를 장착할 경우 성능저하가 있습니다(메인보드 선택팁 참고) 7500F따리 쓰기엔 너무 과한 보드이지만, 추후 더 좋은 cpu를 장착하기 위한 존버용으로 추천드립니다.
Asrock B650 PG Lightning(840A): 풀사이즈보드,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하급 사운드칩, 방열판이 중형으로 조금 작지만 가격으로 모든 것을 해결하는 가성비 보드이나, 박격포라는 가성비 깡패에 탈탈 털려버린 비운의 보드
ASUS TUF GAMING B650-PLUS(720A): 풀사이즈 보드,CPU 업그레이드 가능, 하급 사운드칩, 대형 방열판. 가격이 30만원대였을 때는 전혀 메리트가 없었지만 26만원 정도로 떨어진 지금은 어느 정도 메리트가 생겼습니다. 와이파이 블루투스가 필요하신 분들은 와이파이 모델 가시면 됩니다.
GIGABYTE B650 Aorus ELITE AX ICE(660A): 하급 사운드칩, 그냥 B650MAorus elite AX ICE의 풀사이즈 보드 버전, 가성비도 별로 안좋지만 역시 디자인 하나만큼은 참 좋습니다.
MSI B650 토마호크 WIFI (1120A):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7500F따리 쓰기엔 너무 과한 보드이지만, 추후 더 좋은 cpu를 장착하기 위한 존버용으로 추천드립니다.

(2) pcie 5.0 지원보드 (RTX 50 시리즈 장착 시 성능저하 X, 메인보드 선택팁 참고)
Colorful B650M BATTLE AX(660A): 하급 사운드칩, 전원부가 튼튼해 추후 CPU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RTX50 시리즈를 지원합니다. 가격까지 싸죠. 하지만 추천하지 않습니다. 마이크로닉스 파워와 호환이 되지 않는 건 고사하고, 제조사가 추후 출시되는 cpu에 대한 바이오스 지원을 끊어버린 게 한두번이 아닙니다. 다신 안그런다는데 행적이 모든 걸 증명해주죠. 나는 전혀 업그레이드 생각이 없고 튼튼한 보드가 필요하시면 가셔도 됩니다.
Asrock B850M Pro-A(400~480A 예상), GIGABYTE B850M DS3H(480A): 하급 사운드칩, 추후 CPU를 업그레이드 할 지 안할 지 모르겠다는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여기서 3~4만원 추가하면 B850 최강 가성비ASUS B850M-PLUS이지만, 현재 시점에선 pcie 5.0 지원 보드 중에선 제일 싸네요. 와이파이 블루투스 필요하시면 B850M Pro-A WIFI 가시면 됩니다.
ASUS B850M-PLUS(1120A):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출시돼봐야 알겠지만 pcie 슬롯이 2번 레인에 내려와있으므로 두께가 55mm 이상인 그래픽카드는 장착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7500F따리 쓰기엔 너무 과한 보드이지만, 추후 더 좋은 cpu와 RTX50 그래픽카드를 장착하기 위한 존버용으로 추천드립니다. 듣기로는 MSI 박격포 때려잡으려고 27~28만원 대에 풀어버렸다는 소문이 있습니다. 와이파이 블루투스 필요하시면 B850M-PLUS WIFI 가시면 됩니다. "가성비"로만 봤을 때 pcie 5.0을 지원하는 보드 중에 얘를 이길 놈은 없어보입니다.
GIGABYTE B850M Aorus Elite WIFI6E ICE(720A): CPU 업그레이드 가능한 예쁜 화이트보드,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하급 사운드칩위의 보드들보다 전원부가 조금 더 튼튼합니다. 근데 이 가격이면 밑에 B850M-Plus를 살 수 있습니다. B650M 어엘 아이스의 RTX50시리즈를 장착할 수 있는 버전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Asrock B850 Pro-A(1120A), Asrock B850 Pro RS(1120A): 풀사이즈 보드,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하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필요하시면 Asrock B850 PRO RS wifi 가시면 되나, 이게 이 가격이면 그냥 X870 eagle 갈 것 같습니다. 
GIGABYTE X870 EAGLE wifi(840A): 풀사이즈 보드,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하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썬더볼트 지원
Asrock X870 Pro RS(1120A):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썬더볼트 지원, 와이파이 블루투스 미지원
Asrock B650 스틸레전드 wifi(1120A), ASUS ROG STRIX B650E-F wifi(960A), MSI X670E 토마호크 wifi: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썬더볼트 미지원
(아니 근데 B650스틸레전드는 B650칩셋이면서 왜 pcie 5.0이 되는거지 역시 연구소)

램, SSD, 그래픽카드: 글 초반부에 적어놨습니다. 

파워: ATX 3.1 사세요. 3.0 아닙니다.
딱코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500W 600W Bronze  FSP, 시소닉, 슈플 등 좀 더 좋은 회사 파워 가셔도 됩니다.
추후 QHD 업그레이드 대비(추천, 파워는 넉넉할수록 좋습니다.):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700W Bronze  FSP, 시소닉, 슈플 등 좀 더 좋은 회사 파워 가셔도 됩니다.
추후 QHD 또는 그 이상을 바라보는 업그레이드 대비
시소닉 NEW FOCUS V4 GX-850 GOLD: 비브라늄급 튼튼함, AS 12년
Superflower SF-850 LEADEX VII gold: 비브라?늄급 튼튼함, AS10년, AS 좋음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850w gold: 적당한 가성비 AS10년
NEWZEN skull modular SM850: 좋은 부품을 썼다고 하긴 어려우나 가격이 쌈, AS10년, AS 좋음

(3) FHD 끝판왕, QHD 최소컷: 7500F + 4060ti(엔비디아) or RX7700XT(라데온)

(5060 TI 존버용 반본체, 7500F는 내장그래픽이 없으므로 반드시 기존에 사용하던 그래픽카드를 장착하여 사용하셔야합니다.)

(라데온 7700XT)
(엔비디아 4060ti)
참고1) 4060TI 가격이 70만원을 찍고 있는 지금, 솔직히 가성비로는 정말로 꽝입니다. 라데온도 상관없으시다면 차라리 7700XT를 가는 게 가격이나 성능적으로 괜찮고, 이 가격에서 3만원만 보태면 4070s급인 라데온 7800xt입니다...
참고2) 주의2) 4060과 4060 ti시리즈도 조만간 4070s와 4070 tis의 길을 걸어 구하고싶어도 못구하는 사태가 일어날 것입니다. 단종으로 인해 가격이 장난아니게 비싸지만 지금이라도 구매하실 분들은 구매하시고, 아니면 라데온 7700XT로 가시거나 5060 출시 후 가격안정화까지 숨참으셔야 합니다.

FHD환경에서 aaa게임도 쾌적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QHD 환경에서는 옵션타협이 약간 필요할 수 있습니다.

메인보드: 
(1) PCIE 4.0 지원 메인보드(rtx 50시리즈 장착시 성능저하(메인보드 선택 팁 참고)
Asrock A620M HDV/M.2 or HDV/M.2 + (딱코): 7500F 사용하는 데는 문제가 없으나, 추후 CPU 업그레이드는 많이 곤란할 겁니다. VGA pcie 4.0기반이라 RTX50시리즈를 장착할 경우 성능저하가 있습니다(메인보드 선택팁 참고)
GIGABYTE B650M K(200A), ASUS PRIME B650M-A II(200A), Asrock B650M PG lightning(300A) 
그 나물의 그 국밥 3종 세트, 하급 사운드칩, 추후 업그레이드는 쪼끔 곤란하지만(안되는 건 아닌데...정도의 느낌) 7500F 쓰기엔 아주 좋은 튼튼한 보드입니다. 긱바 K는 저 가격에 rgb에 c타입에 있을 게 다 있는 보드여서 한동안 왕좌에 앉아있었으나, 하단의 msi pro b650m-a에 잡아먹혀버린 비운의 보드입니다. PG lightning은 전원부의 용량이 조금 더 높지만 방열판이 소형입니다. (방열판 빠돌이로서 으으으!!!!)
ASUS TUF B650M-E(480A), MSI PRO B650M-A(440A), Asrock B650M HDV/M.2(400A), Asrock B650M Pro RS(400A)(화이?트 보드, 사진보세요) 
추후 cpu를 업그레이드를 할 지 안할지 모르겠다는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하급 사운드칩, 업그레이드 안하고 그냥 쓰기에도 좋습니다. A620 칩셋보다 고작 3-4만원 차이나는데 보드가 매우 튼튼해집니다. MSI pro B650M-A는 두께가 55mm 이상인 그래픽카드는 장착하지 못합니다. 와이파이 블루투스 필요하시면 MSI pro B650M-A WIFI 가시면 됩니다. Asrock B650M HDV/M.2는 램슬롯이 2개 뿐이고(원래 2개밖에 안쓰긴 합니다.), RGB 포트를 장착하지 못하는 대신 가격이 쌉니다.
Asrock B650M PG Riptide(600A): 하급 사운드칩, 위 메인보드 3종보다 전원부가 조금 더 튼튼하므로 CPU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가격도 쌉니다. 다만 USB3.0 포트가 하나뿐인게 치명적인 단점.
GIGABYTE B650M Aorus Elite AX ICE(660A): cpu 업그레이드 가능, 하급 사운드칩, 예쁜 화이트보드.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위의 보드들보다 전원부가 조금 더 튼튼합니다. 근데 이 가격이면 밑에 박격포를 살 수 있습니다. 화이트보드 생각하시는 분들은 가시면 됩니다. 예쁘긴 진짜 예뻐요.
MSI B650M 박격포 WIFI(960A):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but 두께가 57mm 이상인 그래픽카드는 장착하지 못합니다. VGA pcie 4.0기반이라 RTX50시리즈를 장착할 경우 성능저하가 있습니다(메인보드 선택팁 참고) 7500F따리 쓰기엔 너무 과한 보드이지만, 추후 더 좋은 cpu를 장착하기 위한 존버용으로 추천드립니다.
Asrock B650 PG Lightning(840A): 풀사이즈보드,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하급 사운드칩, 방열판이 중형으로 조금 작지만 가격으로 모든 것을 해결하는 가성비 보드이나, 박격포라는 가성비 깡패에 탈탈 털려버린 비운의 보드
ASUS TUF GAMING B650-PLUS(720A): 풀사이즈 보드,CPU 업그레이드 가능, 하급 사운드칩, 대형 방열판. 가격이 30만원대였을 때는 전혀 메리트가 없었지만 26만원 정도로 떨어진 지금은 어느 정도 메리트가 생겼습니다. 와이파이 블루투스가 필요하신 분들은 와이파이 모델 가시면 됩니다.
GIGABYTE B650 Aorus ELITE AX ICE(660A): 하급 사운드칩, 그냥 B650MAorus elite AX ICE의 풀사이즈 보드 버전, 가성비도 별로 안좋지만 역시 디자인 하나만큼은 참 좋습니다.
MSI B650 토마호크 WIFI (1120A):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7500F따리 쓰기엔 너무 과한 보드이지만, 추후 더 좋은 cpu를 장착하기 위한 존버용으로 추천드립니다.

(2) pcie 5.0 지원보드 (RTX 50 시리즈 장착 시 성능저하 X, 메인보드 선택팁 참고)
Colorful B650M BATTLE AX(660A): 하급 사운드칩, 전원부가 튼튼해 추후 CPU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RTX50 시리즈를 지원합니다. 가격까지 싸죠. 하지만 추천하지 않습니다마이크로닉스 파워와 호환이 되지 않는 건 고사하고, 제조사가 추후 출시되는 cpu에 대한 바이오스 지원을 끊어버린 게 한두번이 아닙니다. 다신 안그런다는데 행적이 모든 걸 증명해주죠. 나는 전혀 업그레이드 생각이 없고 튼튼한 보드가 필요하시면 가셔도 됩니다.
Asrock B850M Pro-A(400~480A 예상), GIGABYTE B850M DS3H(480A): 하급 사운드칩, 추후 CPU를 업그레이드 할 지 안할 지 모르겠다는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여기서 3~4만원 추가하면 B850 최강 가성비ASUS B850M-PLUS이지만, 현재 시점에선 pcie 5.0 지원 보드 중에선 제일 싸네요. 와이파이 블루투스 필요하시면 B850M Pro-A WIFI 가시면 됩니다.
ASUS B850M-PLUS(1120A):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출시돼봐야 알겠지만 pcie 슬롯이 2번 레인에 내려와있으므로 두께가 55mm 이상인 그래픽카드는 장착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7500F따리 쓰기엔 너무 과한 보드이지만, 추후 더 좋은 cpu와 RTX50 그래픽카드를 장착하기 위한 존버용으로 추천드립니다. 듣기로는 MSI 박격포 때려잡으려고 27~28만원 대에 풀어버렸다는 소문이 있습니다. 와이파이 블루투스 필요하시면 B850M-PLUS WIFI 가시면 됩니다. "가성비"로만 봤을 때 pcie 5.0을 지원하는 보드 중에 얘를 이길 놈은 없어보입니다.
GIGABYTE B850M Aorus Elite WIFI6E ICE(720A): CPU 업그레이드 가능한 예쁜 화이트보드,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하급 사운드칩위의 보드들보다 전원부가 조금 더 튼튼합니다. 근데 이 가격이면 밑에 B850M-Plus를 살 수 있습니다. B650M 어엘 아이스의 RTX50시리즈를 장착할 수 있는 버전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Asrock B850 Pro-A(1120A), Asrock B850 Pro RS(1120A): 풀사이즈 보드,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하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필요하시면 Asrock B850 PRO RS wifi 가시면 되나, 이게 이 가격이면 그냥 X870 eagle 갈 것 같습니다. 
GIGABYTE X870 EAGLE wifi(840A): 풀사이즈 보드,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하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썬더볼트 지원
Asrock X870 Pro RS(1120A):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썬더볼트 지원, 와이파이 블루투스 미지원
Asrock B650 스틸레전드 wifi(1120A), ASUS ROG STRIX B650E-F wifi(960A), MSI X670E 토마호크 wifi: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썬더볼트 미지원
(아니 근데 B650스틸레전드는 B650칩셋이면서 왜 pcie 5.0이 되는거지 역시 연구소)

램, SSD, 그래픽카드: 글 초반부에 적어놨습니다. 

파워: ATX 3.1 사세요. 3.0 아닙니다.
딱코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700W Bronze  FSP, 시소닉, 슈플 등 좀 더 좋은 회사 파워 가셔도 됩니다.

추후 업그레이드 대비
시소닉 NEW FOCUS V4 GX-850 GOLD: 비브라늄급 튼튼함, AS 12년
Superflower SF-850 LEADEX VII gold: 비브라?늄급 튼튼함, AS10년, AS 좋음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850w gold: 적당한 가성비 AS10년
NEWZEN skull modular SM850: 좋은 부품이 들어가진 않았으나 가격이 쌈, AS 10년, AS 좋음

(4) QHD 쾌적, 34인치 UWQHD(21:9) 로아용 최소컷(옵션 타협): 7500F +  rx7800XT(라데온) or 4070 super(엔비디아)

(5070, 5070 TI 존버용 견적, 7500F는 내장그래픽이 없으므로 반드시 기존에 사용하던 그래픽카드를 장착하여 사용하셔야합니다.)

(라데온 7800XT)

(엔비디아 4070s)

UWQHD환경 최소컷이라 적어는 놨지만 비슷한 사양으로 실사용 해봤던 입장에선 쾌적하게 돌아갑니다. 하지만 로아 요구사양이 하늘을 뚫고 올라가는 지금 추후 업데이트까지 렉없이 돌아갈 거라고 말씀드리긴 어렵습니다.
4070s의 가격이 너무 비싸서 대체품으로 7800XT를 넣었습니다만, 원래 인기가 오지게 없었던 그래픽카드고(이제 와서 가성비로 다시 떠오르지만) 이 역시 라데온 RX9070과 9070XT의 출시에 앞서 단종되었다는 뉴스가 떴습니다. 차라리 질식사할 때까지 숨을 참아야하나 하는 생각도 듭니다. 지금 당장 컴퓨터를 구매하셔야한다면 현시점에서는 차선책이긴 합니다.
메인보드: 
(1) PCIE 4.0 지원 메인보드(rtx 50시리즈 장착시 성능저하(메인보드 선택 팁 참고)
Asrock A620M HDV/M.2 or HDV/M.2 + (딱코): 7500F 사용하는 데는 문제가 없으나, 추후 CPU 업그레이드는 많이 곤란할 겁니다. VGA pcie 4.0기반이라 RTX50시리즈를 장착할 경우 성능저하가 있습니다(메인보드 선택팁 참고)
GIGABYTE B650M K(200A), ASUS PRIME B650M-A II(200A), Asrock B650M PG lightning(300A) 
그 나물의 그 국밥 3종 세트, 하급 사운드칩, 추후 업그레이드는 쪼끔 곤란하지만(안되는 건 아닌데...정도의 느낌) 7500F 쓰기엔 아주 좋은 튼튼한 보드입니다. 긱바 K는 저 가격에 rgb에 c타입에 있을 게 다 있는 보드여서 한동안 왕좌에 앉아있었으나, 하단의 msi pro b650m-a에 잡아먹혀버린 비운의 보드입니다. PG lightning은 전원부의 용량이 조금 더 높지만 방열판이 소형입니다. (방열판 빠돌이로서 으으으!!!!)
ASUS TUF B650M-E(480A), MSI PRO B650M-A(440A), Asrock B650M HDV/M.2(400A), Asrock B650M Pro RS(400A)(화이?트 보드, 사진보세요) 
추후 cpu를 업그레이드를 할 지 안할지 모르겠다는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하급 사운드칩, 업그레이드 안하고 그냥 쓰기에도 좋습니다. A620 칩셋보다 고작 3-4만원 차이나는데 보드가 매우 튼튼해집니다. MSI pro B650M-A는 두께가 55mm 이상인 그래픽카드는 장착하지 못합니다. 와이파이 블루투스 필요하시면 MSI pro B650M-A WIFI 가시면 됩니다. Asrock B650M HDV/M.2는 램슬롯이 2개 뿐이고(원래 2개밖에 안쓰긴 합니다.), RGB 포트를 장착하지 못하는 대신 가격이 쌉니다.
Asrock B650M PG Riptide(600A): 하급 사운드칩, 위 메인보드 3종보다 전원부가 조금 더 튼튼하므로 CPU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가격도 쌉니다. 다만 USB3.0 포트가 하나뿐인게 치명적인 단점.
GIGABYTE B650M Aorus Elite AX ICE(660A): cpu 업그레이드 가능, 하급 사운드칩, 예쁜 화이트보드.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위의 보드들보다 전원부가 조금 더 튼튼합니다. 근데 이 가격이면 밑에 박격포를 살 수 있습니다. 화이트보드 생각하시는 분들은 가시면 됩니다. 예쁘긴 진짜 예뻐요.
MSI B650M 박격포 WIFI(960A):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but 두께가 57mm 이상인 그래픽카드는 장착하지 못합니다. VGA pcie 4.0기반이라 RTX50시리즈를 장착할 경우 성능저하가 있습니다(메인보드 선택팁 참고) 7500F따리 쓰기엔 너무 과한 보드이지만, 추후 더 좋은 cpu를 장착하기 위한 존버용으로 추천드립니다.
Asrock B650 PG Lightning(840A): 풀사이즈보드,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하급 사운드칩, 방열판이 중형으로 조금 작지만 가격으로 모든 것을 해결하는 가성비 보드이나, 박격포라는 가성비 깡패에 탈탈 털려버린 비운의 보드
ASUS TUF GAMING B650-PLUS(720A): 풀사이즈 보드,CPU 업그레이드 가능, 하급 사운드칩, 대형 방열판. 가격이 30만원대였을 때는 전혀 메리트가 없었지만 26만원 정도로 떨어진 지금은 어느 정도 메리트가 생겼습니다. 와이파이 블루투스가 필요하신 분들은 와이파이 모델 가시면 됩니다.
GIGABYTE B650 Aorus ELITE AX ICE(660A): 하급 사운드칩, 그냥 B650MAorus elite AX ICE의 풀사이즈 보드 버전, 가성비도 별로 안좋지만 역시 디자인 하나만큼은 참 좋습니다.
MSI B650 토마호크 WIFI (1120A):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7500F따리 쓰기엔 너무 과한 보드이지만, 추후 더 좋은 cpu를 장착하기 위한 존버용으로 추천드립니다.

(2) pcie 5.0 지원보드 (RTX 50 시리즈 장착 시 성능저하 X, 메인보드 선택팁 참고)
Colorful B650M BATTLE AX(660A): 하급 사운드칩, 전원부가 튼튼해 추후 CPU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RTX50 시리즈를 지원합니다. 가격까지 싸죠. 하지만 추천하지 않습니다마이크로닉스 파워와 호환이 되지 않는 건 고사하고, 제조사가 추후 출시되는 cpu에 대한 바이오스 지원을 끊어버린 게 한두번이 아닙니다. 다신 안그런다는데 행적이 모든 걸 증명해주죠. 나는 전혀 업그레이드 생각이 없고 튼튼한 보드가 필요하시면 가셔도 됩니다.
Asrock B850M Pro-A(400~480A 예상), GIGABYTE B850M DS3H(480A): 하급 사운드칩, 추후 CPU를 업그레이드 할 지 안할 지 모르겠다는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여기서 3~4만원 추가하면 B850 최강 가성비ASUS B850M-PLUS이지만, 현재 시점에선 pcie 5.0 지원 보드 중에선 제일 싸네요. 와이파이 블루투스 필요하시면 B850M Pro-A WIFI 가시면 됩니다.
ASUS B850M-PLUS(1120A):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출시돼봐야 알겠지만 pcie 슬롯이 2번 레인에 내려와있으므로 두께가 55mm 이상인 그래픽카드는 장착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7500F따리 쓰기엔 너무 과한 보드이지만, 추후 더 좋은 cpu와 RTX50 그래픽카드를 장착하기 위한 존버용으로 추천드립니다. 듣기로는 MSI 박격포 때려잡으려고 27~28만원 대에 풀어버렸다는 소문이 있습니다. 와이파이 블루투스 필요하시면 B850M-PLUS WIFI 가시면 됩니다. "가성비"로만 봤을 때 pcie 5.0을 지원하는 보드 중에 얘를 이길 놈은 없어보입니다.
GIGABYTE B850M Aorus Elite WIFI6E ICE(720A): CPU 업그레이드 가능한 예쁜 화이트보드,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하급 사운드칩위의 보드들보다 전원부가 조금 더 튼튼합니다. 근데 이 가격이면 밑에 B850M-Plus를 살 수 있습니다. B650M 어엘 아이스의 RTX50시리즈를 장착할 수 있는 버전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Asrock B850 Pro-A(1120A), Asrock B850 Pro RS(1120A): 풀사이즈 보드,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하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필요하시면 Asrock B850 PRO RS wifi 가시면 되나, 이게 이 가격이면 그냥 X870 eagle 갈 것 같습니다. 
GIGABYTE X870 EAGLE wifi(840A): 풀사이즈 보드,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하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썬더볼트 지원
Asrock X870 Pro RS(1120A):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썬더볼트 지원, 와이파이 블루투스 미지원
Asrock B650 스틸레전드 wifi(1120A), ASUS ROG STRIX B650E-F wifi(960A), MSI X670E 토마호크 wifi: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썬더볼트 미지원
(아니 근데 B650스틸레전드는 B650칩셋이면서 왜 pcie 5.0이 되는거지 역시 연구소)

램, SSD, 그래픽카드: 글 초반부에 적어놨습니다. 

파워: ATX 3.1 사세요. 3.0 아닙니다.
딱코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700W Bronze  FSP, 시소닉, 슈플 등 좀 더 좋은 회사 파워 가셔도 됩니다.

추후 업그레이드 대비
시소닉 NEW FOCUS V4 GX-850 GOLD: 비브라늄급 튼튼함, AS 12년
Superflower SF-850 LEADEX VII gold: 비브라?늄급 튼튼함, AS10년, AS 좋음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850w gold: 적당한 가성비 AS10년
NEWZEN skull modular SM850: 좋은 부품이 들어가진 않았으나 가격이 쌈, AS 10년, AS 좋음

(5-1) QHD 권장, UWQHD(21:9) 로아 쾌적 ver. 인텔: 14600KF + 7800XT(or 4070super) ~ 7900GRE(or 4070 ti super)

(라데온 7800XT)

(엔비디아 4070s)
9600X가 국내 품귀현상으로 구할 수 없게 된 지금, 차선책으로 게이밍 성능이 소폭(정말 소폭, 사실 엎치락뒤치락 합니다) 떨어지지만 가격은 불량사태에 해당되지 않는 CPU임에도 나락으로 떨어져버린 14600KF입니다(여러분 이새끼 인텔 추천해요!!!). 게임과 작업(3D렌더링 등)을 한 번에 잡겠다는 분들께는 특히나 추천드리는 견적입니다. 영상편집의 경우 프리미어 프로의 경우 14600KF가 아니라 14600K로 가셔야합니다.
rtx5070 5070 ti 존버용으로 구매하신다면 그래픽카드만 빼시면 됩니다.

4070s의 가격이 너무 비싸서 대체품으로 7800XT를 넣었습니다만, 원래 인기가 오지게 없었던 그래픽카드고(이제 와서 가성비로 다시 떠오르지만) 이 역시 라데온 RX9070과 9070XT의 출시에 앞서 단종되었다는 뉴스가 떴습니다. 차라리 질식사할 때까지 숨을 참아야하나 하는 생각도 듭니다. 지금 당장 컴퓨터를 구매하셔야한다면 현시점에서는 차선책이긴 합니다.
쿨러: 
딱코: 써멀라이트 SE 120, RC1200, AG620 등의 뭐 적당한 듀얼타워 공냉, 작업을 하지 않고 게임만 하신다면 이정도도 충분할 겁니다...만.
추천: Z06D, RC 1800, RC1900 등의 대장급 듀얼타워 공냉 
작업을 빡세게 하면서 넉넉하게 예산을 잡고싶다, 오버클럭할 생각이 있다, : 수냉 360mm쿨러(B360, GL360, XY라니 360, NZXT KRAKEN 360 등등)

메인보드:
가성비: MSI B760M 박격포 II
ASUS TUF GAMING B760M-PLUS II
화이트용: GIGABYTE B760M AORUS ELITE AX: 오지게 이쁩니다만 가격이 조금 더 나갑니다.
인텔용 메인보드는 조금 더 찾아보고 나중에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램, SSD, 그래픽카드: 글 초반부에 적어놨습니다. 

파워: ATX 3.1 사세요. 3.0 아닙니다.
딱딱딱딱코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700W Bronze  FSP, 시소닉, 슈플 등 좀 더 좋은 회사 파워 가셔도 됩니다. 인텔 CPU는 AMD에 비해 전력을 많이 퍼먹는 편이기 때문에 좀 더 파워 용량을 올리시는 걸 권장드립니다.

추후 업그레이드 대비(추천)
시소닉 NEW FOCUS V4 GX-850 GOLD: 비브라늄급 튼튼함, AS 12년
Superflower SF-850 LEADEX VII gold: 비브라?늄급 튼튼함, AS10년, AS 좋음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850w gold: 적당한 가성비 AS10년
NEWZEN skull modular SM850: 좋은 부품이 들어가진 않았으나 가격이 쌈, AS 10년AS 좋음

(5-2) QHD 권장, UWQHD(21:9) 로아 쾌적 ver. 인텔: 9600X + 7800XT(or 4070super) ~ 7900GRE(or 4070 ti super)

(5070, 5070 ti 존버용 견적)


(라데온 7800XT)
(엔비디아 4070 super)


9600X의 국내 품귀 현상으로 가격이 너무 높습니다. 9600X는 이 가격을 주고 살 가치가 전혀 없습니다. cpu 가격만 봤을 때 많이 봐줘야 30 후반에 사야지 그나마 살만하다 정도일 뿐입니다. 나는 죽었다 깨어나도 인텔은 안 간다 하시는 분들만 가세요. 9600X가 이가격이면 차라리 7800X3D가 낫지않나 싶습니다. (7800X3D 사용하실 분은 (6) 견적 참고해주세요)
지금까지는 MSI B650M-A를 메인보드로 사용하였으나, 해당 견적의 그래픽카드는 58mm로 MSI M사이즈 보드에 호환되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가격은 2만원 비싸지만 해당 그래픽카드도 장착할 수 있는 pro rs, 또는 RGB 포트(반짝반짝반짝)가 필요 없으신 경우 Asrock B650M HDV/M.2로 가시면 되겠습니다.
4070s의 가격이 너무 비싸서 대체품으로 7800XT를 넣었습니다만, 원래 인기가 오지게 없었던 그래픽카드고(이제 와서 가성비로 다시 떠오르지만) 이 역시 라데온 RX9070과 9070XT의 출시에 앞서 단종되었다는 뉴스가 떴습니다. 차라리 질식사할 때까지 숨을 참아야하나 하는 생각도 듭니다. 지금 당장 컴퓨터를 구매하셔야한다면 현시점에서는 차선책이긴 합니다.

쿨러: 딱코: Paladin 400
추천: 써멀라이트 SE 120, RC1200 등의 뭐 적당한 듀얼타워 공냉
조용한 걸 좋아한다, 작업하거나 오버클럭 빡세게 돌릴 생각 있다: Z06D, RC 1800, RC1900 등의 대장급 듀얼타워 공냉 또는 수냉 360mm쿨러(B360, GL360, XY라니 360, NZXT KRAKEN 360 등등)
메인보드: 
(1) PCIE 4.0 지원 메인보드(rtx 50시리즈 장착시 성능저하(메인보드 선택 팁 참고)
GIGABYTE B650M K(200A), ASUS PRIME B650M-A II(200A), Asrock B650M PG lightning(300A) 
딱코의 그 나물의 그 국밥 3종 세트, 하급 사운드칩, 추후 업그레이드는 쪼끔 곤란하고(안되는 건 아닌데...정도의 느낌), 9600X는 딱코로 들어갈 정도입니다. 긱바 K는 저 가격에 rgb에 c타입에 있을 게 다 있는 보드여서 한동안 왕좌에 앉아있었으나, 하단의 msi pro b650m-a에 잡아먹혀버린 비운의 보드입니다. PG lightning은 전원부의 용량이 조금 더 높지만 방열판이 소형입니다. (방열판 빠돌이로서 으으으!!!!)
ASUS TUF B650M-E(480A), MSI PRO B650M-A(440A), Asrock B650M HDV/M.2(400A), Asrock B650M Pro RS(400A)(화이?트 보드, 사진보세요)
추후 cpu를 업그레이드를 할 지 안할지 모르겠다는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하급 사운드칩, 업그레이드 안하고 그냥 쓰기에도 좋습니다. A620 칩셋보다 고작 3-4만원 차이나는데 보드가 매우 튼튼해집니다. MSI pro B650M-A는 두께가 55mm 이상인 그래픽카드는 장착하지 못합니다. 와이파이 블루투스 필요하시면 MSI pro B650M-A WIFI 가시면 됩니다. Asrock B650M HDV/M.2는 램슬롯이 2개 뿐이고(원래 2개밖에 안쓰긴 합니다.), RGB 포트를 장착하지 못하는 대신 가격이 쌉니다.
Asrock B650M PG Riptide(600A): 하급 사운드칩, 위 메인보드 3종보다 전원부가 조금 더 튼튼하므로 CPU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가격도 쌉니다. 다만 USB3.0 포트가 하나뿐인게 치명적인 단점.
GIGABYTE B650M Aorus Elite AX ICE(660A): cpu 업그레이드 가능, 하급 사운드칩, 예쁜 화이트보드.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위의 보드들보다 전원부가 조금 더 튼튼합니다. 근데 이 가격이면 밑에 박격포를 살 수 있습니다. 화이트보드 생각하시는 분들은 가시면 됩니다. 예쁘긴 진짜 예뻐요.
MSI B650M 박격포 WIFI(960A):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but 두께가 57mm 이상인 그래픽카드는 장착하지 못합니다. VGA pcie 4.0기반이라 RTX50시리즈를 장착할 경우 성능저하가 있습니다(메인보드 선택팁 참고) 
Asrock B650 PG Lightning(840A): 풀사이즈보드,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하급 사운드칩, 방열판이 중형으로 조금 작지만 가격으로 모든 것을 해결하는 가성비 보드이나, 박격포라는 가성비 깡패에 탈탈 털려버린 비운의 보드
ASUS TUF GAMING B650-PLUS(720A): 풀사이즈 보드,CPU 업그레이드 가능, 하급 사운드칩, 대형 방열판. 가격이 30만원대였을 때는 전혀 메리트가 없었지만 26만원 정도로 떨어진 지금은 어느 정도 메리트가 생겼습니다. 와이파이 블루투스가 필요하신 분들은 와이파이 모델 가시면 됩니다.
GIGABYTE B650 Aorus ELITE AX ICE(660A): 하급 사운드칩, 그냥 B650MAorus elite AX ICE의 풀사이즈 보드 버전, 가성비도 별로 안좋지만 역시 디자인 하나만큼은 참 좋습니다.
MSI B650 토마호크 WIFI (1120A):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2) pcie 5.0 지원보드 (RTX 50 시리즈 장착 시 성능저하 X, 메인보드 선택팁 참고)
Colorful B650M BATTLE AX(660A): 하급 사운드칩, 전원부가 튼튼해 추후 CPU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RTX50 시리즈를 지원합니다. 가격까지 싸죠. 하지만 추천하지 않습니다마이크로닉스 파워와 호환이 되지 않는 건 고사하고, 제조사가 추후 출시되는 cpu에 대한 바이오스 지원을 끊어버린 게 한두번이 아닙니다. 다신 안그런다는데 행적이 모든 걸 증명해주죠. 나는 전혀 업그레이드 생각이 없고 튼튼한 보드가 필요하시면 가셔도 됩니다.
Asrock B850M Pro-A(400~480A 예상), GIGABYTE B850M DS3H(480A):
하급 사운드칩, 추후 CPU를 업그레이드 할 지 안할 지 모르겠다는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여기서 3~4만원 추가하면 B850 최강 가성비ASUS B850M-PLUS이지만, 현재 시점에선 pcie 5.0 지원 보드 중에선 제일 싸네요. 와이파이 블루투스 필요하시면 Asrock B850M Pro-A WIFI 가시면 됩니다.
ASUS B850M-PLUS(1120A): (중상급 보드 가성비로 강력 추천)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출시돼봐야 알겠지만 pcie 슬롯이 2번 레인에 내려와있으므로 두께가 55mm 이상인 그래픽카드는 장착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냥 쓰기에도 좋고, 추후 더 좋은 cpu와 RTX50 그래픽카드를 장착하기 위한 존버용으로도 추천드립니다. 듣기로는 MSI 박격포 때려잡으려고 27~28만원 대에 풀어버렸다는 소문이 있습니다. 와이파이 블루투스 필요하시면 B850M-PLUS WIFI 가시면 됩니다. "가성비"로만 봤을 때 pcie 5.0을 지원하는 보드 중에 얘를 이길 놈은 없어보입니다.
GIGABYTE B850M Aorus Elite WIFI6E ICE(720A): CPU 업그레이드 가능한 예쁜 화이트보드,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하급 사운드칩위의 보드들보다 전원부가 조금 더 튼튼합니다. 근데 이 가격이면 밑에 B850M-Plus를 살 수 있습니다. B650M 어엘 아이스의 RTX50시리즈를 장착할 수 있는 버전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Asrock B850 Pro-A(1120A), Asrock B850 Pro RS(1120A): 풀사이즈 보드,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하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필요하시면 Asrock B850 PRO RS wifi 가시면 되나, 이게 이 가격이면 그냥 X870 eagle 갈 것 같습니다. 
GIGABYTE X870 EAGLE wifi(840A): 풀사이즈 보드,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하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썬더볼트 지원
Asrock X870 Pro RS(1120A):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썬더볼트 지원, 와이파이 블루투스 미지원
Asrock B650 스틸레전드 wifi(1120A), ASUS ROG STRIX B650E-F wifi(960A), MSI X670E 토마호크 wifi: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썬더볼트 미지원
(아니 근데 B650스틸레전드는 B650칩셋이면서 왜 pcie 5.0이 되는거지 역시 연구소)

램, SSD:  글 초반부에 적어놨습니다. 9000번대 cpu에서 하이닉스 칩을 사용하는 램(에센코어, 팀그룹, 패트리어트 등)은 낮은 확률로 바이오스 이슈로 5600램을 사용해도 4800으로 인식되는 이슈가 있기 때문에 튜닝램으로 클럭을 5600~6000고정시킬 수 있으면서 가격차이도 순정램과 크게 차이나지 않는 마이크론 튜닝램을 사용하였습니다. 순정램 가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파워: ATX 3.1 사세요. 3.0 아닙니다.
딱코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700W Bronze  FSP, 시소닉, 슈플 등 좀 더 좋은 회사 파워 가셔도 됩니다.

추후 업그레이드 대비
시소닉 NEW FOCUS V4 GX-850 GOLD: 비브라늄급 튼튼함, AS 12년
Superflower SF-850 LEADEX VII gold: 비브라?늄급 튼튼함, AS10년, AS 좋음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850w gold: 적당한 가성비 AS10년
NEWZEN skull modular SM850: 좋은 부품이 들어가진 않았으나 가격이 쌈, AS 10년AS 좋음

(6) QHD 하이엔드 끝끝끝끝끝끝끝판왕, 34인치 UWQHD(21:9) 로아 끝끝끝끝끝끝판왕: 9800X3D(or 7800X3D) + 7800XT(or 4070super) ~ 7900GRE(or 4070 ti super)

(5070, 5070 ti 존버용 반본체)

(라데온 7800XT)

(엔비디아 4070s)

솔직히 현시점에서 9800X3D 구매하신다면 이 구성에서 그래픽카드를 빼고 반본체로 숨 참다가 5070, 5070 ti를 구매하시는 게 낫지 않나 싶습니다. 정말로 7800XT or 4070s를 구매하실 분들은 메인보드를 MSI B650M 박격포(55mm 이하 두께의 그래픽카드를 장착할 경우) or MSI B650 토마호크(55mm 이상 두께의 그래픽카드를 장착할 경우)로 가시면 됩니다.

2025.02.25 추가) 현재까지 출시된 RTX 50 시리즈 전부 ROP 가 낮게 측정되는, 소위 말하는 "불량" 글카들이 여기저기 섞여있습니다. 물론 AS가 되니 걱정할 필욘 없겠지만, 참고는 하십쇼. 

쿨러: 
추천: Z06D, RC 1800, RC1900 등의 대장급 듀얼타워 공냉
넉넉하게 가고싶다, 작업(이걸로?)하거나 오버클럭 빡세게 돌릴 생각 있다:  수냉 360mm쿨러(B360, GL360, XY라니 360, NZXT KRAKEN 360 등등)
메인보드: 
(1) PCIE 4.0 지원 메인보드(rtx 50시리즈 장착시 성능저하(메인보드 선택 팁 참고)
GIGABYTE B650M K(200A), ASUS PRIME B650M-A II(200A), Asrock B650M PG lightning(300A) 
딱딱딱딱딱딱딱코입니다. 기왕 9800X3D 가는데 조금 더 투자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ASUS TUF B650M-E(480A), MSI PRO B650M-A(440A), Asrock B650M HDV/M.2(400A), Asrock B650M Pro RS(400A)(화이?트 보드, 사진보세요)
딱코에서 아주 조금 여유가 있는 정도입니다. 기왕 9800X3D 가는데 조금 더 투자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하급 사운드칩, MSI pro B650M-A는 두께가 57mm 이상인 그래픽카드는 장착하지 못합니다. 와이파이 블루투스 필요하시면 MSI pro B650M-A WIFI 가시면 됩니다. Asrock B650M HDV/M.2는 램슬롯이 2개 뿐이고(원래 2개밖에 안쓰긴 합니다.), RGB 포트를 장착하지 못하는 대신 가격이 쌉니다.
Asrock B650M PG Riptide(600A): 하급 사운드칩, 위 메인보드 3종보다 전원부가 조금 더 튼튼하므로 CPU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가격도 쌉니다. 다만 USB3.0 포트가 하나뿐인게 치명적인 단점.
GIGABYTE B650M Aorus Elite AX ICE(660A): cpu 업그레이드 가능, 하급 사운드칩, 예쁜 화이트보드.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위의 보드들보다 전원부가 조금 더 튼튼합니다. 근데 이 가격이면 밑에 박격포를 살 수 있습니다. 화이트보드 생각하시는 분들은 가시면 됩니다. 예쁘긴 진짜 예뻐요.
MSI B650M 박격포 WIFI(960A):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but 두께가 57mm 이상인 그래픽카드는 장착하지 못합니다. VGA pcie 4.0기반이라 RTX50시리즈를 장착할 경우 성능저하가 있습니다(메인보드 선택팁 참고) 
Asrock B650 PG Lightning(840A): 풀사이즈보드,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하급 사운드칩, 방열판이 중형으로 조금 작지만 가격으로 모든 것을 해결하는 가성비 보드이나, 박격포라는 가성비 깡패에 탈탈 털려버린 비운의 보드
ASUS TUF GAMING B650-PLUS(720A): 풀사이즈 보드,CPU 업그레이드 가능, 하급 사운드칩, 대형 방열판. 가격이 30만원대였을 때는 전혀 메리트가 없었지만 26만원 정도로 떨어진 지금은 어느 정도 메리트가 생겼습니다. 와이파이 블루투스가 필요하신 분들은 와이파이 모델 가시면 됩니다.
GIGABYTE B650 Aorus ELITE AX ICE(660A): 하급 사운드칩, 그냥 B650MAorus elite AX ICE의 풀사이즈 보드 버전, 가성비도 별로 안좋지만 역시 디자인 하나만큼은 참 좋습니다.
MSI B650 토마호크 WIFI (1120A):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2) pcie 5.0 지원보드 (RTX 50 시리즈 장착 시 성능저하 X, 메인보드 선택팁 참고)
Colorful B650M BATTLE AX(660A): 하급 사운드칩, 전원부가 튼튼해 추후 CPU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RTX50 시리즈를 지원합니다. 가격까지 싸죠. 하지만 추천하지 않습니다마이크로닉스 파워와 호환이 되지 않는 건 고사하고, 제조사가 추후 출시되는 cpu에 대한 바이오스 지원을 끊어버린 게 한두번이 아닙니다. 다신 안그런다는데 행적이 모든 걸 증명해주죠. 나는 전혀 업그레이드 생각이 없고 튼튼한 보드가 필요하시면 가셔도 됩니다.
Asrock B850M Pro-A(400~480A 예상), GIGABYTE B850M DS3H(480A):
딱코에서 아주 조금 여유가 있는 정도입니다. 기왕 9800X3D 가는데 조금 더 투자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하급 사운드칩, 여기서 3~4만원 추가하면 B850 최강 가성비 ASUS B850M-PLUS이지만, 현재 시점에선 pcie 5.0 지원 보드 중에선 제일 싸네요. 와이파이 블루투스 필요하시면 Asrock B850M Pro-A WIFI 가시면 됩니다.
ASUS B850M-PLUS(1120A): (중상급 보드 가성비로 강력 추천, but.....)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출시돼봐야 알겠지만 pcie 슬롯이 2번 레인에 내려와있으므로 두께가 55mm 이상인 그래픽카드는 장착 불가능합니다. 듣기로는 MSI 박격포 때려잡으려고 27~28만원 대에 풀어버렸다는 소문이 있습니다. 와이파이 블루투스 필요하시면 B850M-PLUS WIFI 가시면 됩니다. "가성비"로만 봤을 때 pcie 5.0을 지원하는 보드 중에 얘를 이길 놈은 없어보입니다.
GIGABYTE B850M Aorus Elite WIFI6E ICE(720A): CPU 업그레이드 가능한 예쁜 화이트보드,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하급 사운드칩위의 보드들보다 전원부가 조금 더 튼튼합니다. 근데 이 가격이면 밑에 B850M-Plus를 살 수 있습니다. B650M 어엘 아이스의 RTX50시리즈를 장착할 수 있는 버전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Asrock B850 Pro-A(1120A), Asrock B850 Pro RS(1120A): 풀사이즈 보드,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하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필요하시면 Asrock B850 PRO RS wifi 가시면 되나, 이게 이 가격이면 그냥 X870 eagle 갈 것 같습니다. 
GIGABYTE X870 EAGLE wifi(840A): 풀사이즈 보드,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하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썬더볼트 지원
Asrock X870 Pro RS(1120A):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썬더볼트 지원, 와이파이 블루투스 미지원
Asrock B650 스틸레전드 wifi(1120A), ASUS ROG STRIX B650E-F wifi(960A), MSI X670E 토마호크 wifi: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썬더볼트 미지원
(아니 근데 B650스틸레전드는 B650칩셋이면서 왜 pcie 5.0이 되는거지 역시 연구소)

램, SSD:  글 초반부에 적어놨습니다. 9000번대 cpu에서 하이닉스 칩을 사용하는 램(에센코어, 팀그룹, 패트리어트 등)은 낮은 확률로 바이오스 이슈로 5600램을 사용해도 4800으로 인식되는 이슈가 있기 때문에 튜닝램으로 클럭을 5600~6000고정시킬 수 있으면서 가격차이도 순정램과 크게 차이나지 않는 마이크론 튜닝램을 사용하였습니다. 순정램 가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파워: ATX 3.1 사세요. 3.0 아닙니다.
딱코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700W Bronze  FSP, 시소닉, 슈플 등 좀 더 좋은 회사 파워 가셔도 됩니다.

추후 업그레이드 대비
시소닉 NEW FOCUS V4 GX-850 GOLD: 비브라늄급 튼튼함, AS 12년
Superflower SF-850 LEADEX VII gold: 비브라?늄급 튼튼함, AS10년, AS 좋음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850w gold: 적당한 가성비 AS10년
NEWZEN skull modular SM850: 좋은 부품이 들어가진 않았으나 가격이 쌈, AS 10년AS 좋음

(7) 34인치 UWQHD(21:9) 스팀겜용 / 38인치 UWQHD(21:9), 4K 스팀겜용 최소컷: 9600X(or 7800X3D or 9800X3D) + 5080

9600X을 국내품귀현상으로 구할 수 없는 지금, 9600X는 이 가격을 주고 살 가치가 전혀 없습니다. cpu 가격만 봤을 때 많이 봐줘야 30 후반에 사야지 그나마 살만하다 정도일 뿐입니다. 해당 견적에 9800X3D나 7800X3D를 가셔도 됩니다.
요번에 새로 출시된 4080 ti super 아 아니 5080입니다. 시리즈 최초로 전작의 90시리즈 발끝에도 못 미치는 쓰레기가 탄생했군요! 근데 가격은 오지게 또 비쌉니다! 솔직히 이게 살 가치가 있는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근데 어쩌겠어요 4K 모니에서 게임하려면 사야지. 라데온이 하이엔드 시장을 포기하니 바로 엔비디아가 미쳐날뛰고 있습니다. 독점이 이렇게 무서운겁니다.

2025.02.16 추가) 현재 5080은 드라이버 이슈, 전원 커넥터 멜팅 이슈 등으로 여러모로 시끄러운 상태입니다. 사태가 안정화된 후 구매하셔도 늦지 않을 것 같습니다. 
2025.02.25 추가) 현재까지 출시된 RTX 50 시리즈 전부 ROP 가 낮게 측정되는, 소위 말하는 "불량" 글카들이 여기저기 섞여있습니다. 물론 AS가 되니 걱정할 필욘 없겠지만, 참고는 하십쇼. 

쿨러:
(9600X기준)
 딱코: Paladin 400
추천: 써멀라이트 SE 120, RC1200 등의 뭐 적당한 듀얼타워 공냉
조용한 걸 좋아한다, 작업하거나 오버클럭 빡세게 돌릴 생각 있다: Z06D, RC 1800, RC1900 등의 대장급 듀얼타워 공냉 또는 수냉 360mm쿨러(B360, GL360, XY라니 360, NZXT KRAKEN 360 등등)

(9800X3D 기준)
추천: Z06D, RC 1800, RC1900 등의 대장급 듀얼타워 공냉
넉넉하게 가고싶다, 작업(이걸로?)하거나 오버클럭 빡세게 돌릴 생각 있다:  수냉 360mm쿨러(B360, GL360, XY라니 360, NZXT KRAKEN 360 등등)

메인보드: 
(1) PCIE 4.0 지원 메인보드(rtx 50시리즈 장착시 성능저하(메인보드 선택 팁 참고)
GIGABYTE B650M K(200A), ASUS PRIME B650M-A II(200A), Asrock B650M PG lightning(300A) 
딱딱딱딱딱딱딱코입니다. 기왕 9800X3D 가는데 조금 더 투자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ASUS TUF B650M-E(480A), MSI PRO B650M-A(440A), Asrock B650M HDV/M.2(400A), Asrock B650M Pro RS(400A)(화이?트 보드, 사진보세요)
딱코에서 아주 조금 여유가 있는 정도입니다. 기왕 9800X3D 가는데 조금 더 투자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하급 사운드칩, MSI pro B650M-A는 두께가 55mm 이상인 그래픽카드는 장착하지 못합니다. 와이파이 블루투스 필요하시면 MSI pro B650M-A WIFI 가시면 됩니다. Asrock B650M HDV/M.2는 램슬롯이 2개 뿐이고(원래 2개밖에 안쓰긴 합니다.), RGB 포트를 장착하지 못하는 대신 가격이 쌉니다.
Asrock B650M PG Riptide(600A): 하급 사운드칩, 위 메인보드 3종보다 전원부가 조금 더 튼튼하므로 CPU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가격도 쌉니다. 다만 USB3.0 포트가 하나뿐인게 치명적인 단점.
GIGABYTE B650M Aorus Elite AX ICE(660A): cpu 업그레이드 가능, 하급 사운드칩, 예쁜 화이트보드.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위의 보드들보다 전원부가 조금 더 튼튼합니다. 근데 이 가격이면 밑에 박격포를 살 수 있습니다. 화이트보드 생각하시는 분들은 가시면 됩니다. 예쁘긴 진짜 예뻐요.
MSI B650M 박격포 WIFI(960A):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but 두께가 57mm 이상인 그래픽카드는 장착하지 못합니다. VGA pcie 4.0기반이라 RTX50시리즈를 장착할 경우 성능저하가 있습니다(메인보드 선택팁 참고) 5080은 기본적으로 두께가 두꺼우므로 해당 보드에 장착이 불가능할 겁니다.
MSI B650 토마호크 WIFI (1120A):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2) pcie 5.0 지원보드 (RTX 50 시리즈 장착 시 성능저하 X, 메인보드 선택팁 참고)
Colorful B650M BATTLE AX(660A): 하급 사운드칩, 전원부가 튼튼해 추후 CPU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RTX50 시리즈를 지원합니다. 가격까지 싸죠. 하지만 추천하지 않습니다마이크로닉스 파워와 호환이 되지 않는 건 고사하고, 제조사가 추후 출시되는 cpu에 대한 바이오스 지원을 끊어버린 게 한두번이 아닙니다. 다신 안그런다는데 행적이 모든 걸 증명해주죠. 나는 전혀 업그레이드 생각이 없고 튼튼한 보드가 필요하시면 가셔도 됩니다.
Asrock B850M Pro-A(400~480A 예상), GIGABYTE B850M DS3H(480A): (추천)
딱코에서 아주 조금 여유가 있는 정도입니다. 기왕 9800X3D 가는데 조금 더 투자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하급 사운드칩, 여기서 3~4만원 추가하면 B850 최강 가성비 ASUS B850M-PLUS이지만, 현재 시점에선 pcie 5.0 지원 보드 중에선 제일 싸네요. 와이파이 블루투스 필요하시면 Asrock B850M Pro-A WIFI 가시면 됩니다.
ASUS B850M-PLUS(1120A): (중상급 보드 가성비로 강력 추천, but.....)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출시돼봐야 알겠지만 pcie 슬롯이 2번 레인에 내려와있으므로 두께가 55mm 이상인 그래픽카드는 장착 불가능합니다. 듣기로는 MSI 박격포 때려잡으려고 27~28만원 대에 풀어버렸다는 소문이 있습니다. 와이파이 블루투스 필요하시면 B850M-PLUS WIFI 가시면 됩니다. "가성비"로만 봤을 때 pcie 5.0을 지원하는 보드 중에 얘를 이길 놈은 없어보입니다. 5080은 기본적으로 두께가 두꺼워 사실상 이 보드에 장착이 불가능합니다.
GIGABYTE B850M Aorus Elite WIFI6E ICE(720A): CPU 업그레이드 가능한 예쁜 화이트보드,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하급 사운드칩위의 보드들보다 전원부가 조금 더 튼튼합니다. 근데 이 가격이면 밑에 B850M-Plus를 살 수 있습니다. B650M 어엘 아이스의 RTX50시리즈를 장착할 수 있는 버전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Asrock B850 Pro-A(1120A), Asrock B850 Pro RS(1120A): 풀사이즈 보드,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하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필요하시면 Asrock B850 PRO RS wifi 가시면 되나, 이게 이 가격이면 그냥 X870 eagle 갈 것 같습니다. 
GIGABYTE X870 EAGLE wifi(840A): 풀사이즈 보드,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하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썬더볼트 지원
Asrock X870 Pro RS(1120A):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썬더볼트 지원, 와이파이 블루투스 미지원
Asrock B650 스틸레전드 wifi(1120A), ASUS ROG STRIX B650E-F wifi(960A), MSI X670E 토마호크 wifi: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썬더볼트 미지원
(아니 근데 B650스틸레전드는 B650칩셋이면서 왜 pcie 5.0이 되는거지 역시 연구소)

파워: 초반에 글 참고해주세요
딱코: 850w: 안되는 건 아닌데, 조금만 더 투자하시는 걸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추천: 1000w


(8) 4K 스팀겜 끝판왕: 9800X3D + 5090

무려 5090을 가시는데 설마 돈을 아끼려는 분은 없을 거라 생각됩니다. 때문에 최고의 부품으로만 구성하였습니다. (사실 더 심하게 할 수 있는데 참았어요. Asrock Nova라던가, ASUS 크헤라던가, MSI 카본이라던가...)
5090 혼자서 600w를 처먹는 덕분에 그래픽카드에서 올라오는 발열이 엄청나서, cpu의 발열해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독립적인 냉각시스템, 즉 수냉쿨러를 가셔야합니다. 공냉으로 시스템을 구성할 시 그래픽카드에서 올라오는 발열이 cpu 쿨러로 유입되어 냉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또한, 5090의 두께도 어마무시해서 이젠 pcie 슬롯이 1번 슬롯에 있는 m사이즈 보드마저 장착이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풀사이즈 보드를 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2025.02.16 추가) 현재 5090은 드라이버 이슈, 전원 커넥터 멜팅 이슈 등으로 여러모로 시끄러운 상태입니다. 사태가 안정화된 후 구매하셔도 늦지 않을 것 같습니다.
2025.02.25 추가) 현재까지 출시된 RTX 50 시리즈 전부 ROP 가 낮게 측정되는, 소위 말하는 "불량" 글카들이 여기저기 섞여있습니다. 물론 AS가 되니 걱정할 필욘 없겠지만, 참고는 하십쇼. 


쿨러:
추천: 360mm 수냉들(B360, GL360, XY라니 360 등등)
뇌절(?): NZXT KRAKEN ELITE V2 360 RGB (수냉계의 명품이라 생각해주세요)

메인보드: 
(1) PCIE 4.0 지원 메인보드(rtx 50시리즈 장착시 성능저하(메인보드 선택 팁 참고)
Asrock B650 PG Lightning(840A): 풀사이즈보드,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하급 사운드칩, 방열판이 중형으로 조금 작지만 가격으로 모든 것을 해결하는 가성비 보드이나, 박격포라는 가성비 깡패에 탈탈 털려버린 비운의 보드
ASUS TUF GAMING B650-PLUS(720A): 풀사이즈 보드,CPU 업그레이드 가능, 하급 사운드칩, 대형 방열판. 가격이 30만원대였을 때는 전혀 메리트가 없었지만 26만원 정도로 떨어진 지금은 어느 정도 메리트가 생겼습니다. 와이파이 블루투스가 필요하신 분들은 와이파이 모델 가시면 됩니다.
GIGABYTE B650 Aorus ELITE AX ICE(660A): 하급 사운드칩, 그냥 B650M Aorus elite AX ICE의 풀사이즈 보드 버전, 가성비도 별로 안좋지만 역시 디자인 하나만큼은 참 좋습니다.
MSI B650 토마호크 WIFI (1120A):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2) pcie 5.0 지원보드 (RTX 50 시리즈 장착 시 성능저하 X, 메인보드 선택팁 참고)
Asrock B850 Pro-A(1120A), Asrock B850 Pro RS(1120A): 풀사이즈 보드,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하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필요하시면 Asrock B850 PRO RS wifi 가시면 되나, 이게 이 가격이면 그냥 X870 eagle 갈 것 같습니다. 
GIGABYTE X870 EAGLE wifi(840A): 풀사이즈 보드,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하급 사운드칩,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원, 썬더볼트 지원
Asrock X870 Pro RS(1120A):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썬더볼트 지원, 와이파이 블루투스 미지원
Asrock B650 스틸레전드 wifi(1120A), ASUS ROG STRIX B650E-F wifi(960A), MSI X670E 토마호크 wifi: CPU 업그레이드 쌉가능, 최상급 사운드칩, 썬더볼트 미지원
(아니 근데 B650스틸레전드는 B650칩셋이면서 왜 pcie 5.0이 되는거지 역시 연구소)

파워: 반드시 ATX 3.1로 구매하셔야합니다. ATX3.0 중에 ATX3.1로 리뉴얼되었으나 제품명만 그대로인 경우가 있으니 잘 확인하셔요. 그런 경우는 구매하셔도 됩니다. 초반에 글 참고해주세요
딱코: 1000w;안되는 건 아닌데, 조금 더 투자하는 걸 권장드리고 싶습니다. 5090 혼자서 600w를 처먹습니다.
추천: 1200w 1티어 파워들(슈플, FSP, 시소닉, 커세어 등등)





질문은 자유롭게 남겨주시면 됩니다만, 위 글을 읽지 않으시고 물어보시는 글은 무시하고 비추가 날라갈겁니다.
질문을 남겨주실 때는 사용하시는 모니터, 사용 목적(어떤 게임, 작업 목적 여부)는 최소한 남겨주셔야합니다.
완, 반본체 추천 안해드립니다. 봐드리지도 않습니다. 다만 제 완본체글을 읽어보고 이런 점이 궁금하다 이런건 봐드릴 수 있습니다. 완본체에 있는 견적 컴퓨존에 그대로 입력해서 봐달라고 하신 분 계신데, 그게 완본체인 걸 제가 모를 거 같아요? 다 보입니다.
완본체 물어볼거면 https://www.inven.co.kr/board/lostark/4821/102390 읽어보세요
오타 지적, 다른 제품 추천 환영합니다. 
본문에 적혀있는 쪽지 사유 단 한가지 외의 다른 쪽지는 답변해드리지 않습니다. 너무 많은 내용이 몰아쳐서;
글 마지막에 다시 한 번 남깁니다. 초반부의 서론이 길지만, 한 번 쯤 읽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작업용도의 컴퓨터는 컴퓨터업체의 상담을 한 번 받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사용하는 프로그램에 따라 최적화된 시스템이 달라지기 때문에....

FAQ1) 뭐 이러는데 렉걸린다, 저러는데 렉걸려서 질문하시는 분들, 답답한 마음은 이해하지만 포멧부터 해보시고 질문 부탁드립니다"포멧은 훌륭한 대화수단입니다." 대부분의 문제는 소프트웨어 충돌, 드라이버 충돌로 인해 발생합니다. 포멧하고 드라이버를 다시 잡아도 문제가 반복될 경우 질문하셔도 됩니다만, 제가 무슨 컴퓨터 수리업자도 아니고 부품 교체하면서 테스트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증상만으로는 답변드리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또한 윈도우 버전이 window 11 24H2일 경우, 23H2로 다운그레이드 하십쇼. 만악의 근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