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오 ㅇ_ㅇ/

'이오'에오...

 

넘나 조아라 하고 기다려왔던 "광전사 상향!!" 소식을 듣고 부리나케 실험을 했어오...

근데 참... 암담해오...

 

 

 

<실험 내용>

 

- 치명타를 온리 후방에서만 타격하여 패시브를 찍지 않은경우, 1레벨 패시브를 찍은 경우, 2레벨 패시브를 찍은 경우

  세 가지 상황에서의 치명타 확률을 비교한다에오. ㅇㅅㅇ...

 

 

 

<실험 대상 캐릭터>

 

- 흔한 부캐 광전사, 릴리스 도끼 / 장갑 2단 맹격 각인 / 라켈 3 + 폭듀 2 치명 악세 세팅 / 노 도핑시 치유발 292.

- 실험 당시 스펙은 아래 첨부.

- 도핑은 온리 비약 + 7일 출석 버프 // 보다 편리한 계산을 위해 정밀 타격은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위에 참고 및 증거 자료를 첨부합니다.

논란의 여지가 있다 하여 캐릭터 스펙만을 공개합니다.

광게에 일부 자료 올려두겠습니다 ㅇ_ㅇ

 

▼광게 자료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143&l=37986

 

 

 

 

<실험 결과>

 

1. 노패시브의 경우

 

 - 총 306회 후방 모아치기 실시 (1회의 측방이 있어 이는 대상에서 제외했습니다.)

   306회 중 188회 치명타 적중 = 약 61.43%의 확률로 치명타.

 

 

 

 

2. 패시브 1단계(56레벨에 습득 가능)를 배운 경우.

 

 - 총 203회 후방 모아치기 실시 (마찬가지로 2회의 전방 / 3회의 측방 횟수는 제외했습니다.)

   203회 중 135회 치명타 적중 = 약 66.5%의 확률로 치명타.

 

 - 노 패시브에 비교하여 총량 약 5%가량 보정 받음.

 

 

 

3. 패시브 2단계를 배운 경우.

 

 - 총 191회의 후방 모아치기 실시 (전방/측방 횟수 제외.)

    191회 중 136회 치명타 적중 = 약 71.22%의 확률로 치명타.

 

 - 노 패시브에 비교하여 총량 약 10%가량의 치명타 확률을 보정 받음.

 

 

 

------------------------------------------------------------------------------------------------

 

모아 치확 보정 패시브 설명이

"치명이 안터졌을 경우 보정해준다." + "중첩 된다."

라는 글이 있음을 확인 했습니다 ㅇ_ㅇ

 

실제로도 중첩이 어떻게(합연산or곱연산) 되는지는 확인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워서

후에 충분히 자료가 모이는대로 실험 해보겠습니다 ;ㅁ ;...

 

 

하여튼, 이번 실험은 치유발이 낮을 경우의 증가되는 패시브 효율에 따른 연구입니다 ㅇ_ㅇ

 

 

<자료 1>

노정밀 / 온리 비약 도핑 / 치유발 271 / 릴리스 도끼

후방 모아치기 기준으로만 계산 / 여명 비늘전사 기준

 

 - 노 패시브

    206회 시도 / 119회 치명타 / 약 57.8%확률

 

 - 1레벨 패시브

    208회 시도 / 131회 치명타 / 약 63.1%확률

 

 - 2레벨 패시브

    357회 시도 / 248회 치명타 / 약 69.5%확률

 

 

★ 자료 1 결과 

 

 -  노 패시브 > 1 패시브 : 5.3% 상승

 -  노 패시브 > 2 패시브 : 11.7% 상승

 

● 치유발이 271인 경우, 이전에 했던 실험(치유발 292)보다 약간 증가한 효율을 보임.

 

 

 

 

<자료 2>

 노정밀 / 온리 비약 도핑 / 치유발 323 / 복수 도끼

후방 모아치기 기준으로만 계산 / 여명 비늘전사 기준

 

 - 노 패시브

    411회 시도 / 266회 치명타 / 약 64.7%확률

 

 - 1레벨 패시브

    192회 시도 / 133회 치명타 / 약 69.2%확률

 

 - 2레벨 패시브

    333회 시도 / 247회 치명타 / 약 74.2% 확률

 

 

★ 자료 2 결과

 

 -  노 패시브 > 1 패시브 : 4.5% 상승

 -  노 패시브 > 2 패시브 : 9.5% 상승

 

● 치유발이 323인 경우, 이전에 했던 실험(치유발 292)보다 약간 떨어지는 효율을 보임.

 

 

 

---------------------------------------------------------------------------------------------------

 

<결론>

 

네, 최종적으로는... +10%언저리입니다.

추가적인 실험으로 나온 데이터를 따져봤을 때, 적은 치유발 수치에서

약간씩의 효율 증가가 있는것으로 확인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