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죽기의 어둠복제로 뺏을 수 있는 스킬중 단일 딜량이 가장 쎈건 법사의 혜성 폭풍이다.
  (죽기의 특화효과 참조)

2. 마법흡수 토템은 상대 고흑의 영혼바꾸기 타이밍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토템만 깨지고 영혼바꾸기 도트는 다 발린다)

3. 복술의 영혼나그네의 은총은 2개의 버프가 걸리는데 하나는 해제되지않는 오숙 효과
  또 하나는 15초동안 이동중에 시전이 가능한 해제가능한 버프가 걸린다.
  이 말인 즉슨, 이동하면서 오숙 중에도 계속 움직이면서 시전을 하는 복술은
  해제를 함으로써 힐 시전을 한번 막을 수 있다.
  (복술의 오숙은 5초인데 3~4초의 메즈를 주면 마지막 시전힐은 끝짤을 보면 짜를 각을 잡을 수 있다.
  ex : 시전바 반쯤(치유파도 1.3초 시전시간을 기준)에서 복술이 오숙을 키면 약 0.6초 인데 0.2초를 남겨놓고
  위 3~4초 짜리 메즈를 준다고 가정하면 남은 복술의 오숙 시간은 1.7초 혹은 0.7초 이다.
  이로 인한 0.7초동안은 오숙효과를 받지만 뒤의 0.6초 동안은 짜를 수 있는 방패효과가 사라진 캐스팅바가 보인다.
  이 때 차단을 주면 짤린다.

4. 신기를 깔때 개인적으로 빛주입 성빛(시전시간 약 0.6초)은 안짜르고 다음 빛섬(시전시간 약 1.2초)를 짜르는게
  더 이득 같다. 이전에는 딜과 해제만 열심히하면서 빛섬 짤만 봐줘도 신기 힐이 꽤 밀린다. 대부분의 신기가 빛주입이
  떴을 때 굉장히 빠른 시전속도를 믿고 한번씩 페이크를 쳐준다.(심지어 까는 딜러들도 짤을 잘주는 편)
  날개를 키지않는이상 신기는 힐 기대값이 그다지 크지 않기 때문에 짜르기 애매한 힐이면 짜르지 말고
  딜을 더 열심히 해보자.

5. 운무는 판다 때 위안의 안개로 기수급이 가능했는데 이 때. 유행하던것이 위안의안개를 꽂자마자 취소하면서
  기 수급을 각을 노리는 동시에 상대 힐짤을 빼는 용도로 많이 사용 되었다. 현재는 이러한 기 수급이 없어진
  상태이거니와, 힐 또한 바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0.1~0.2초 후 부터 체력이 회복되기 시작한다.
  (그러니까 짤은 0.2초 후에 줘도 무방하다는 말)
  또, 운무의 가장 힐이 쎈 타이밍은 포용의 안개가 떴을 때 이다. 힐 짤은 이 때만 봐도 된다.
  개인적으로는 포용의 안개 버프를 보자마자 해제를 해버리고 차단기를 끝까지 들고있는게 운무입장에서 압박이 심하다.

6. 드루의 요정떼를 전사에게 주문반사를 당하면 약 5~6초 동안 재변을 해도 이감이 풀리지가 않는다.
  달래기나 달빛섬광을 이용해서 없애주자.

7. 회드는 시전차단을 당해도 쇄포로 아군의 발을 풀어줄 수가 있다.
  (아군과 가까운 상태라면)

8. 징냥술 vs 도법드의 경우에는 잠행 도적이 징냥한테 비벼보기 그나마 수월하다.
  (주 타겟은 냥꾼 혹은 복술이고 이 때, 꼭 징기는 목졸에 이어지는 회바나 비습에 회바 식으로,
  축복자체를 급장연계를 하지않으면 못주게 만들어서, 도법드의 공 타이밍때 징냥의 쿨을 2~3개 뽑는 식으로 가야함)

9. 회바에 대무해제까지 밀어주는 사제를 보면 회바를 준다음 걸어오는 근처의 사제에게 바로 회바스왑을 해보자.
  (대무는 의외로 사정거리가 짧다)

10. 고술의 정령걸음은 침묵중에는 써진다.
  (목졸이나 암사 침묵 때 또 발이 묶이지 않는이상 드리블 가능)

11. 원소의 부름은 계열짤을 당해도 쓸수있으며 이 때 사용시
  원소의부름으로 리셋 가능한 토템들을 바로 사용할 수 있다.

12. 전죽수 : 현재 재미와 성능이 정확하게 반비례한다.
  (후졌다고, 하지말라고 근데 재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