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02-06 21:36
조회: 8,414
추천: 3
상기팁] 보석 사기유형 및 사기방지보석 사기에는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1. 남이 올린 보석 입찰가 바꾼후 같은 보석으로 바꿔치기 2. 버스기사가 같은 보석 2개로 손님한테 사기치기 1은 매크로 작업장이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2는 말 그대로 버스기사가 직접 사기치는 겁니다. 사기치는 방식은? 1은 보석을 올리자마자 사기꾼이 입찰가를 바꾸는 방식이기에 보통은 입찰가가 낮은 보석이 사기꾼의 표적이 됩니다. 예로 버스비 9,000골인데 입찰가/즉구가 333/9,000 으로 기사가 올리면 사기꾼은 입찰가를 바꾸고 같은 보석을 333/9,000 에 올려버립니다. 사기수법 모를 경우 손님은 사기꾼의 보석을 사게되는거죠 - 이럴때는 기사랑 손님 양측간 서로 누가 잘못했니 따지게 되며 양자 모두 피해자가 될 수 있는 상황입니다. 2는 손님이 보석 사자마자 버스기사가 똑같은 보석 다시 올린후 손님이 보석 안샀다고 우기는 경우입니다. 그럼 사기를 피하는 방법은? 1의 경우엔 버스기사가 입찰가를 높게 올리면 어느정도 방지가 됩니다만 문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상당히 많다는 겁니다. 결국엔 손님이 조심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1. 남은시간이 같은 (1일 또는 3일) 매물 중에 입찰가는 다르지만 즉구가가 같은게 있다면 기사에게 물어보기 혹시 입찰가 바뀌지 않았냐고 기사에게 물어봤는데 기사가 아니라고 하면 문제 발생시 기사책임입니다. 2. 키보드의 PrintScreen 키를 이용해서 구매전 구매후 거래소 스샷을 찍어 남기기 같은 매물이 2개가 아닌한 문제 발생시 기사책임입니다. 구매시점에는 분명 1개여서 구매했는데 문제가 발생했다면 같은 매물을 확인 안하고 늦게 올린(또는 사기친) 기사가 잘못한게 맞습니다. 단, 매물이 1일 또는 3일인 매물에 한해서입니다. (증거용으로 남긴 스샷의 남은시간이 1일 3일 아니면 본인 책임) 저는 보통 이런식으로 스샷을 합니다. 구매전 - 잘 보면 남은 시간도 보임 (23시간 59분, 입찰/구매화면에선 남은시간이 좀더 정확하게 표시) ![]() 구매후 - 구매성공 알림 뿐만 아니라 거래소에서도 보석매물이 없어진거 확인가능 ![]()
|
인벤 공식 앱
댓글 알람 기능 장착! 최신 게임뉴스를 한 눈에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