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게임 내 보석 거래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기를 예방하기 위한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서버 간 거래가 이루어질 때 특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과거에 굉장히 성행하던 사기 방법인데, 여전히 존재하고 있어서 예방 가이드를 올려드립니다.



사기 수법 이해하기


1) 제공자(판매자)가 경매장에 보석을 올림 (예: 입찰가 100, 즉시구매가 4000)'

2) 사기꾼이 제공자의 보석에 입찰하여 입찰가를 올림

3) 사기꾼이 동일한 조건(입찰가 100, 즉시구매가 4000)으로 다른 보석을 경매장에 등록

4) 수신자(구매자)가 사기꾼의 보석을 실수로 구매하게 됨



    위 사진 예시처럼 시작 입찰가는 11이지만, 현재 최고가는 500골드로 올라가 있는 경우가 전형적인 사례입니다.



    제공자(판매자)를 위한 핵심 예방법


    ⭐️ 시작 입찰가를 즉시구매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설정하기 (입찰 원천 차단)

    ⭐️ 1레벨 멸화/홍염 같은 아이템 구매 후 경매장에 올릴 때는 보석 변환 진행 (사기꾼의 모니터링 방지)
    -> 사기꾼이 저가 보석을 경매장에 다량 올려놓고 해당 보석 올라오는지 모니터링해서 입찰가 올려 사기치는 정황이 확인 되었습니다.. 진짜 노력이 가상함..

    ⭐️ 올릴 보석을 경매장에 미리 검색하여 즉시구매가가 겹치는 것이 있는지 확인 후 등록 (휴먼에러 방지)



      시작 입찰가가 즉시 구매가와 비슷한 경우, 사기꾼이 입찰가를 올릴 수 없거나 올려도 이득이 남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사기를 당할 가능성이 매우 줄어듭니다.


      동일한 입찰가 / 즉시구매가 보석만 주의해서 구매하면 됩니다.


      수신자(구매자)를 위한 예방법


      ⭐️ 판매자에게 시작 입찰가를 즉시구매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등록해달라고 요청하기

      ⭐️ 판매자에게 동일 보석, 동일 가격의 다른 보석이 없는지 확인하고 등록해달라고 요청하기

      ⭐️ 등록 시간 확인 후 구매하기.


        즉시구매가가 같고 타인이 상회 입찰한 보석이 존재하는 경우 반드시 판매자와 확인 후 구매해야 합니다.


        서버 간 거래는 본질적으로 위험성이 있으므로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상적으로는 게임사에서 경매장 등록자 이름 표시나 서버 간 직접 거래 기능을 제공하면 되겠지만, 사실 가능성은 없습니다.

          안전한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로 확인 절차를 잘 거쳐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