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적인 경제가 자리 잡은 파푸리온은 월드 거래소의 부재로 10개 서버마다 물가 차이가 심한 편.
파푸리온 서버는 전설 매물을 찾기 어렵고, 일부 희귀 매물은 일정 수준의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대부분의 아이템은 기존 서버보다 파푸리온 서버가 높은 가격 형성. 특히 영웅 등급 장비, 스킬북의 차이가 크다.



▲ 성장 차이를 보이는 파푸리온 서버의 거래소 물가는?




■ 기존 서버와 파푸리온 거래소 물가 비교

기존 서버와 단절되어 있는 파푸리온 월드는 기존 서버와 다르게 게임 초창기 모습과 유사한 업데이트 진행 상황을 보이며, 각 월드 간 서버 이전을 통한 교류도 제한된 특화 서버다. 그로 인해 파푸리온 타이틀의 10개 서버는 독자적인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물가 역시 기존 서버와 큰 차이를 보인다.

기존 서버에 비해 한참 늦게 개설된 파푸리온 서버의 유저들은 성장 속도에 많은 차이를 보이며, 구현되어 있는 시스템과 아이템, 누적된 매물 수량 등 기존 서버와 파푸리온은 많은 면에서 다르기 때문. 특히 기존 서버에서는 활용성이 낮은 아이템이 파푸리온 유저들에게는 아직 유용한 경우가 많으므로 가격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셈이다.

게다가 월드 거래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10개의 파푸리온 서버 각각에서 발생하는 가격 변동도 큰 편! 같은 파푸리온 월드에 속해있어도 서버에 따라 큰 가격 차이가 발생하는 모습을 종종 보이는데, 매물 현황에 따라 물가 변동이 큰 것으로 여겨진다.


▲ 파푸리온(위)과 기존 서버(아래)는 희귀 장비에서부터 가격 차이를 보인다.

▲ 상대적으로 파푸리온 서버의 물가가 높게 측정된다.



장비, 스킬, 소모품 등 다방면의 아이템 일부를 비교했을 시 기존 서버와 파푸리온 서버의 물가 차이를 체감할 수 있다. 특히 파푸리온 서버 기준으로 제작이 가능한 희귀~영웅의 장비, 몬스터에게 얻는 영웅 스킬북, 각종 소모품과 재료 일부의 거래소 가격을 비교하면 기존 서버와의 물가 차이를 엿볼 수 있을 터. 이때 매물이 많은 기존 서버는 현 최저가, 상대적으로 매물이 적은 파푸리온은 10개 서버의 최저 거래단가 위주로 실거래 가격 범위를 측정했다.

무엇보다 희귀, 영웅 아이템의 가격이 크게 비교되는데, 그중에서도 영웅 등급 아이템은 파푸리온이 기존 서버에 비해 2~30배 정도 높은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전설 등급 아이템은 기존 서버에서 종종 매물을 확인할 수 있지만, 파푸리온에서는 매물을 찾기 어렵다. 즉, 파푸리온 유저 상당수가 아직 전설보다는 영웅급 아이템을 많이 활용하고 있는 셈이며, 전설 아이템에 대한 희소성이 굉장히 높다고 볼 수 있다.


◆ 기존 서버와 파푸리온 서버 물가 비교 (2023.04.17 기준)



무기, 방어구, 장신구에 이르기까지 각종 장비 아이템은 기존 서버에 비해 파푸리온 서버가 월등하게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었다. 희귀 장비의 경우 파푸리온 역시 가격이 많이 낮아졌지만, 균일가나 마찬가지로 희귀 장비가 10 다이아로 거래되고 있는 기존 서버에 비하면 아직 높은 수중의 가격대를 보인다.

희귀 장비라도 거인의 무기 같은 컬렉션 완성을 위해 필요한 아이템, 또는 희귀 등급 중 유용한 일부 장비는 아직까지 파푸리온에서 일정 수준의 가격을 유지하는 중! 게다가 영웅 장비는 높은 가격대도 많이 발견된다.

파푸리온은 매물이 거의 없는 전설 장비를 제외하면, 거래소에서 실제로 거래되는 상위 장비는 영웅급인 셈이다. 기존 서버는 지속적인 물가 하락으로 영웅 장비도 300~500 다이아 안팎의 낮은 가격대가 많이 형성된 반면, 파푸리온에서는 그 10배, 30배까지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다.

이는 스킬북에서도 상황이 비슷했는데, 대다수의 유저가 이미 영웅 스킬을 학습한 기존 서버와 다르게 파푸리온에서 영웅 등급 스킬북은 높은 가격대를 유지하는 모습이다. 그로 인해 기존 서버와 파푸리온 사이에서 거래소 전반에 걸쳐서 영웅 등급 아이템의 가격 차이가 가장 크게 벌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월드 거래소를 통해 비교적 쉽게 영웅 아이템을 구할 수 있는 기존 서버와 다르게 파푸리온은 월드 거래소가 없고, 영웅 등급 아이템 매물이 많지 않아서 높은 가격을 유지하는 셈. 파푸리온에서 가격이 높은 영웅 아이템의 경우 기존 서버 저렴한 전설 아이템 가격에 육박하는 모습이다.


▲ 파푸리온(위), 기존 서버(아래)의 영웅 장비 가격 비교.

▲ 같은 영웅 스킬도 파푸리온(위)이 기존 서버(아래)보다 10배 이상 비싸다.



거래소의 주요 품목인 장비, 스킬북을 제외한 소모품, 재료 등의 각종 아이템에서도 가격 차이는 발생하고 있다. 소모품 중 주문서, 생명의 돌, 정령의 돌 같은 강화 소모품은 파푸리온에서도 개당 가격이 저렴하지만, 그럼에도 기존 서버보다 10배 이상 높은 가격대를 보이는 중. 게다가 더욱 뛰어난 효과를 보이는 축복 받은 강화 소모품의 경우 적지 않은 가격에 거래되는 편이다.

그리고 오렌 영지의 부재로 상아탑이 존재하지 않는 파푸리온에느 안타라스의 동굴, 크루마 탑 2개 필드 던전이 존재하고, 해당 던전의 이용 시간 충전석도 자주 거래되고 있다. 기존 서버에서는 리뉴얼 후에도 이제는 찾는 사람이 많지 않은 곳이지만, 파푸리온에서는 아직 활용 유저가 다수 존재하기 때문. 또한, 이후 오렌 영지와 상아탑이 등장한다면 해당 던전의 충전석이 활발하게 거래될 것으로 예상된다.

각종 아이템 제작에 소비되는 재료 역시 파푸리온에서 높은 가격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영웅 장비의 가격대가 높게 형성된 만큼 영웅 등급 재료가 높은 가격으로 측정되며, 축복의 인장도 기존 서버의 몇 배나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특이한 점은 정화의 돌의 경우 기존 서버보다 낮은 가격으로 거래되는 곳도 발견되는데, 상대적으로 파푸리온에서 해당 재료의 공급이 더 원활한 것으로 보인다.


▲ 강화 소모품 역시 파푸리온(위)이 기존 서버(아래)보다 높은 가격을 지닌다.

▲ 정화의 돌은 기존 서버(아래)보다 파푸리온(위)의 가격이 낮은 경우도 찾아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