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찢도핑숙련사냥빌드 등 저마다 기준이 다르고 올려치기 내려치기 사실과 거짓을 괜스레 섞어 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 걸 피하고 본인의 눈으로 직접 실측하고 싶은 분들을 위해 약간의 팁을 드립니다.

저로서도 더 정확한 측정팁을 알고 싶어서 집단지성의 도움을 받고자 팁게에 올립니다.
지적해주시면 수정 반영하겠습니다.


1. 개요
가용한 측정방식을 활용하여 현재 사냥터의 이론상의 시간당 수익을 구합니다.
그 후 본인 상황에 맞게 조정하여 수익을 추산합니다.



2. 측정
1) 사냥터의 몬스터 개체수 측정
   - 본인이 측정하고자 하는 사냥터의 모든 몬스터를 빠짐없이 잡으며 한바퀴 돕니다.
   - 이 때 인게임의 발자취(1일기준)를 활용하여 한바퀴의 개체수를 측정합니다.

※단, 시크라이아(심층)처럼 잡템 종류가 2종 이상인 경우 더 정확한 실수익 측정을 위해 서브 잡템을 주는 몬스터 개체수를 제외할 수 있습니다.
※실수 방지를 위해 여러 번 반복하여 측정하는 게 좋을 수 있습니다.


2) 이론상 시간당 잡템수 계산
   - 시간당 잡는 마릿수 = 전체 개체수 * (1+x) * (3600/y)
      - 노줌이면 x=0.5, 일줌이면 x=1, 상줌이면 x=2, 일줌아그면 x=3.5 
      ※잡템 편차는 (min, max)의 평균에 수렴한다고 전제(이 전제가 틀릴 경우 수정 필요)
      ※오캠 가이핀처럼 잡템이 한개가 아닌 여러 개 드랍되는 곳 기준입니다.
      - 이론상 한계치 y=140(초), 빡사냥 기준 y=160(초), 넷플릭스사냥 기준 y=180(초)
      ※몬스터는 2분부터 리젠을 시작하여 2분 20초까지 끝마침


3)본인의 수익 추산
   - 가모스 통계 사이트의 해당 사냥터의 잡템수와 본인의 잡템수를 비교하여 실제 본인 수익을 추산합니다.
   링크: https://garmoth.com/
   - 가령, 본인이 가이핀 시간당 8300개 먹는다면 5.2억 * (8300/7702)이 본인의 장시간 평균 수익입니다.
   ※장시간 통계 기준 수익입니다
   ※가모스 통계는 유저들이 직접 입력한 값으로 집계하며 이 값을 신뢰합니다(때문에 드랍이벤트, 서브잡템의 합산 등 사실과 다른 부분이 어느정도 있음) 





3. 실제 측정 예시(심층 로봇방)
1) 사냥터의 몬스터 개체수 측정
   - 한바퀴에 198~202마리 측정
   ※시크라이아 재창조의 탑 기믹으로 인해 발생한 편차
   - 하지만, 심층은 잡템이 2종인 사냥터로 재창조의 탑, 심해의 눈, 결계 수호자 13마리를 제외한 189마리로 계산


2) 이론상 시간당 잡템수 계산

   - 숙련자 기준 7500개 정도(한바퀴에 3분버프 1회꼴로 사용)
   - 이론상 로봇방 잡템수 한계치는 9800개 정도


3) 본인의 수익 추산

   - 본인 잡템 수가 8500개라 할 때 시간당 수익은 5억 * (8500/6200) = 6.85억
   ※1번방, 짭물방, 로봇방 등 다양한 구역이 합산 되어있고 미숙련 유저의 입력값도 합산되었기에 본인 잡템수와 충분히 다를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