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응원과 귓말 감사드립니다. 사건을 쉽게 요약해줄 수 있냐는 몇 분의 요청이 타당하다고 생각이 되어서 요약을 해드립니다. 감사합니다.

 

3줄 요약

1. KING7니플 길드 해체니플 길마 영구 추적조건으로, 사사게 게시판에 현상금을 걸었고, 이를 본 디트쪽에서 도와주겠다며 디트 디코에 들어오라고 함

2. 디트쪽은 니플과 같은 편이며, 처음부터 도와줄 생각이 없이 선입금만 받을 생각이었고, 그들로부터 조리돌림 당한 KING7은 그 사실을 대화 마지막 부분에서 깨닫게 됨

3. KING7은 이 사건 핵심 관련자들을 사기미수죄, 명예훼손죄, 모욕죄 등으로 고소할 예정이며, 우선 사기미수죄로 고소하기 위해서 관련자들의 해명을 기다리는 중

 

 

상세요약

1. 돔황챠(KING7 전 길드)와 니플 감정쟁 발생

2. KING7니플 길드 해체니플 길마 영구 추적조건으로, 사사게 게시판에 현상금 5백만원을 걸었고 추후 1천으로 인상함.

3. 디트쪽에서 도와주겠다며 디트 디코에 들어오라고 함

4. 디트쪽은 현상금 5백이 적다며, 1천으로 올려주길 요청했고 KING7은 승낙함

5. 디트쪽은 KING7에게 선입금을 여러 번 요구했고, KING7은 거절함

6. 디트는 선입금을 받을 수 없게 되자, 원래부터 접속해 있던 니플 길원을 불러냄

7. 디트는 KING7의 뒤통수를 치고, KING7은 여러 사람들에게 조리돌림 당함(여성유저도 있었음)

8. KING7은 사업가로, 계약 관련 내용은 녹음하는 습관이 있어서, 디코에 입장하기 전부터 녹음을 하기 시작했고, 관련 녹취와 스샷을 확보한 상태였음

9. 온갖 모욕과 조리돌림당해 빡친 KING7, 도와주겠다며 접근했던 디트 서열 3위에게 왜 그랬는지 이유를 물었으나 그는 아무 말도 하지 않음

10. 이런 상황에서 존*라는 유저가 자신을 PVP길드라고 소개하면서 PVP길드에 가입하라고 했으나, 확인해보니 존*라 유저는 디트 길드소속임.

11. 통수에 통수를 치는 디트에 심하게 빡친 KING7에게, 니플쪽 유저가 귓말을 함

12. 니플쪽 유저의 겸손한 태도와 진실된 설명에 니플 길드와는 감정을 풀기로 하고, 사사게 게시판의 현상금 글을 내리고 후기로 대체함

13. KING7은 지인들이 있는 유니크 길드에 가입해서 조용히 살려고 했음

14. 유니크 가입 후 1-2일만에, 디트는 유니크에 이유없이 쟁을 걸었음(자리 뺏으려고 쟁걸었다네요. 제가 유니크에 들어갔다고 쟁을 걸지는 않았답니다. 디트쪽에서 수정 요구함. ㅋㅋㅋ 팩트가 중요하니 아무튼 수정해줍니다.)

15. 디트에 원한이 있는 KING7은 뚜껑이 열려서, 길마님과 길드원들에게 작별 인사를 하며, 개인적인 이유로 탈퇴하겠다고 말하고 유니크 길드를 탈퇴함

16. KING7은 검사 출신 지인 변호사님에게 상황 설명하고, 관련 자료를 보내서, 사기미수죄, 명예훼손죄, 모욕죄에 대한 법리적인 검토를 요청함

17. 변호사님은 우선 사기미수죄에 대한 법리적인 검토를 마치고, 고소는 당연히 가능하고, 고소 진행 후 KING7이 디트쪽과 합의를 하지 않았을 경우, 디트 사건 핵심 관계자는 사기미수죄로 1-3백 벌금형(사기미수 벌금형은 전과기록에 남게 됨. 현생에서 카오가 된다는 의미임)이 나올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함

18. KING7은 사기미수죄로 고소하기 전에, 관련자들에게 해명할 기회를 주기로 함

19. 디트쪽에서는 아무런 해명도 없으며, 귓으로 은가누가네중 누가 이길 것 같냐는 해명과 상관없는 신박한 드립만 옴. 이 드립은 황당하지만 좀 웃기기는 했음.

20. 아직 고소장을 접수하지는 않았고, 핵심 관련자들의 해명을 기다리고 있는 중(<-----현재 여기까지입니다)

 

P.S 법을 전혀 모르는 사람들이, 돈도 받지 않았는데 이게 어떻게 고소가 가능하냐고 물어보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건 님이 법을 몰라서 그렇게 생각하는 겁니다. 실제로는, 단돈 1만원을, 그것도 미수임에도, 사기미수죄로 인정받아서, 1백만원의 벌금(사기미수죄는 전과기록이 남음)이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안 믿어지시죠? 1만원을 그것도 미수인데, 벌금이 1백이라고? 사실입니다. 중요한 것은 이 사건이 법리적으로 사기미수죄의 구성요건에 해당하느냐는 마느냐의 문제입니다. 돈을 받지 않았기에 죄가 없다고, 고소가 가능하지 않다고 하는 것은 그냥 당신 생각일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