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에서 스택작이라는 개념이 검사에만 있죠.

유템 15개 이상 강화해본(^^ 어느새 이력이 많이 붙었네요) 저도

스택작하다보면 짜증이 나고, 강화실패보다 레플이 15강 붙을 때가 더 화가 나기도 해요.


이게 좋은 시스템이다 아니다는 논외로 하겠습니다.


아래에도 글을 쓴 적 있는 데,


강화를 하다가 어느 시점에서 스택을 keep(혹은 save)할 것인가가 검사 강화의 포인트라고 봅니다.


간단히 제가 스택작하는 요령만 말씀드릴께요


1.20까지 레플로


여기서 18,19,20정도까지만 하고 22까지 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요.

감이긴 한데 18까지 하고 나서 아 겁나서 더 레플로 못하겠다 싶으면 여기까지만 하세요.


20까지 레플로 쌓을때 15강 레플을 3회중 1회만 만들면 성공이라고 봅니다.

저는 최근엔 거의 4회중 1회 실패해요.

물론, 15스택 이전에 레플15강이 되는 것은 예외입니다.

이 경우는 손해가 적어요. 나중에 그 15강 추출해도 손해 안난다는 개념입니다.


2. 20스택에서 장녹방어구를 한번 실패시킵니다.


3. 23스택으로 보스 광트 2회 시도합니다.


여기서가 중요하죠. 한 번만 더 트라이하면 붙을 건데 하는 유혹을 견뎌야 됩니다.

그러다가 에이~ 젠장, 하고 40넘게 막 팡팡팡 가는거죠. 그냥 꾹 참고 2회 트라이로 중지합니다.


이걸 여러번 반복해도 광이 붙지 않는다 싶으면 35까지 2회 추가로 강화를 하고 keep합니다.


4.보스템 광트로 40스택 이상 쌓는 것은... ... 입니다.


5.유스택을 한퀴에 만들겠다 싶을 때도 마찮가지입니다.

광보스템이나 고보스템으로 실패시키지 마시고 광녹템이나 고녹템으로 스택을 쌓는 게 좋습니다.


6.강화를 하다보며 단계라는 것이 생깁니다.


-1.고녹템

-2.고보스 템

-3.유보스템...............이 3가지를 적절히 강화를 하시면


스택이 자동으로 쌓이고 정리되고 합니다.

즉, 보스템을 강화하고 싶으시면 부케로 쓸거든 뭐든 먼저 고녹템을 강화 시도하세요.

유보스템을 만들고 싶으시면 부케든 뭐든 고보스템을 먼저 시도를 하세요.


7.강화는 순전히 개인적인 것이라 그저 의견일 뿐인데

가능하면 운에 기대지 마시고 스스로 적립한 확률에 대한 과학으로 접근하면 더 안정적일 거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