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능몸은 GK 제외 모든 포지션에 필수라 굳이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




ST/CF - 능숙한 몸 싸움 + 빠른 템포 공격



GK와 FW 사이에 DF만 없다면 발동되는 특성,

FW는 어찌 되었든 득점이 가장 주가 되는 포지션이고 발동 범위 자체도 생각보다 후한 편입니다.

무엇보다 이 특성의 가장 진 가는 "박스 안 모든 슛"에 적용 된다는 점인데 D, DD, CD, ZD 슛에 적용됩니다.









LW/RW/LM/RM - 능숙한 몸 싸움 + 전력 질주 숙달



모든 포지션 중 스태미너 소모가 가장 큰 윙어에게 필수인 특성

E키를 누르면 발동되며 능숙한 몸 싸움과 더불어 발동되는 체감이 가장 큰 특성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더불어 최근에 있었던 넥스트 필드 업데이트 이후로 스태미너 소모에 따른 영향을 끼치는 능력치가 다양해졌기 때문에

윙어는 다른 건 거들떠보지도 말고 이 특성을 가져가셔야 합니다









CAM/CM/CDM - 능숙한 몸 싸움 + 티키타카 전술 이해



볼 터치 3회 이내로만 패스를 하면 구역의 제한 없이 발동되는 특성

패스 관련 코치 중에는 이 특성을 이길 특성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로빙 쓰루, 침투 쓰루, 쓰루 패스 향상, 중원을 지배하라, 다이렉트 패스 전술 이해와 같은 다양한 패스 특성들이 있지만

모두 티키타카의 하위 호환이라고 보면 됩니다.

더불어 간혹 공미에 "침착하게 골 찬스 만들기" 특성이 좋다고 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비추드리는 것이

침착골 특성 또한 결국에는 범위의 제약이 있으며 역시 중원 지배와 마찬가지로 패스를 주는 선수와

받는 선수 모두 공격 지역 안에 같이 있어야 발동이 됩니다.

더불어 "다이렉트 슛" 한정이라는 치명타가 존재하여 컷백 용도로 밖에 활용이 안된다는 것 또한 아쉬운 부분입니다.

공미 포지션의 경우 티키타카가 좋은 점이 최전방에만 머무르지 않고 필드 전 지역을 돌아다니며 수비 가담도

자주 해주는 편이고 특히 역습 때 논스톱으로 같은 팀 선수들과 빠르게 주고 받으며 치고 올라갈 때 템포를 죽이지 않고

해당 특성이 자주 발동되서 정말 좋습니다.

더불어 중원 지배 같은 경우 중앙선 기준 좌우 잔디 세 칸의 범위 내 패스를 주는 선수와

받는 선수가 동시에 있어야 발동이 되서 상대적으로 정말 까다롭고 많은 제약이 따릅니다.

하지만 티키타카 같은 경우 볼 터치의 제약이 있지만 사실상 큰 문제가 되지 않는 것이 날이 갈수록 경기 중

상대의 압박 강도가 거센 편이라 빠른 타이밍에 논스톱으로 패스를 풀어가야 하는 경우가 50% 이상이라 매우 좋은

특성입니다.

실제로 약발 3짜리 선수에게 달아줄 경우 패스 미스가 눈에 띌 정도로 줄은 것을 체감하였습니다.

패스 같은 경우 로빙 패스를 제외한 S, W, CS, ZS, ZW가 적용됩니다.









LWB/RWB/LB/RB - 좌/우측 수비 강화



우리 팀 GK가 바라 보는 기준 좌/우측 측면에서 발동되는 특성

정확히 어떤 수비 능력이 향상되는지는 미지수지만 개인적으로 재정비보다는 이 특성이 체감이 좀 더 잘됐습니다.

좌우 사이드백에게 달아주시면 좋다고 생각하고 실제로 사용하시는 분들도 대다숩니다.









CB - 스탠딩 태클 향상



센터백 부동의 1티어 특성,

스페이스 바를 누르면 발동되고 굳이 누르지 않아도 상대 FW가 우리 팀 DF 태클 범위 내 들어올 때

자동으로 발을 뻗는 태클을 할 때도 발동이 되서 매우 좋은 특성입니다, 강추









GK - 근거리 슛 방어 or 낮은 슛 방어 + 중거리 슛 방어



사실 GK 부문은 찬반이 많이 갈릴 것 같은데 저 개인적으로는 근방 + 중방도 매우 잘 쓰고 있어서

근방 + 중방도 추천드립니다.

최근에 GM 답변 게이트로 인하여 많은 분들이 혼란을 겪고 있는 상황이고

낮방을 근방보다 좀 더 비중을 두시는 분들이라면 낮방을 쓰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중방은 필수로 가져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