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02-01 06:46
조회: 5,898
추천: 22
라데온 드라이버 이슈 임시 조치 -2- (01/31 이후 현재까지 생존)이전글: https://www.inven.co.kr/board/lostark/4821/91053?name=subject&keyword=%EB%9D%BC%EB%8D%B0%EC%98%A8
요약 : MPO 끄기 결과 : 해결 안됨 실패 요인 : MPO 이슈의 대부분은 대부분 하드웨어 가속 관련 이슈, 현재 크래쉬의 근본적인 원인이 아닌 것으로 보임 평소에 유튜브나 트위치를 보면서 게임을 하느냐 비슷한 이슈인가 했는데, 생각해보니 엔비디아에서 MPO 이슈가 있을 때 노트북(엔비디아 글카)에서 영상이 너무 끊겨서(당시에 몰랐음) 하드웨어 가속을 끄고 본컴도 꺼둔걸 잊고 있었습니다 ㅋㅋ 즉, 하드웨어 가속 이슈는 저에게 해당이 안되는.. 그래도 커뮤니티는 MPO 자체 이슈가 워낙 많아서 그냥 끄라는 분위기인데.. 현재 최신(22.11.2) 버전에선 어느정도 해결이 된건지.. 저는 MPO 때문에 문제는 발생하지 않아 보입니다 MPO를 꺼도 컴퓨터가 멈추는(프리징, 크래시, 블루스크린 등) 현상은 해결되자 않았고 오히려 게임 퍼포먼스(스타터링 등, MPO 자세한 기능은 이전 글 참고)만 떨어져서 그냥 다시 켰습니다 여기서 최신 아드레날린 드라이버 이슈는 DX11 + 일부 게임에서만 발생한다는 해외 커뮤니티 글을 보았는데 마침 제가 최신 드라이버 설치 후 언더볼팅 테스트를 위하여 부하 테스트를 1시간~2시간을 주었는데(DX12), 그 당시에는 이렇게 컴퓨터가 멈추는 증상이 없었습니다 이게 언더볼팅 테스트는 통과했는데 실기 테스트 실패인가? 했었지만 순정으로 사용해도 동일 증상 발현 -> 언더볼팅 문제는 아니고, 테스트를 실시한 환경(DX12)에선 발생하지 않는 건가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22.5.2 업데이트에서 DX11 관련 퍼포먼스 상향 패치가 있었으며 그 이후 드라이버에서 항상 비슷한 이슈가 생겼다는 것이 생각났습니다 일단 DX11 환경에서만 발생하는 문제일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는 추측을 내렸습니다 (DX9는 하는 게임이 없어서 ㅎㅎ) 일단 크래시가 GPU 로드율이 높을 때(=온도가 높을 때) 자주 발생한다는 생각이 되어 자주 크래시가 발생하던 장소에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현재 라데온 드라이버에서 발열 이슈가 있다고 하는데 같이 의심을 해봅시다) 소나벨, 엘가시아 카던(맵) -> 거의 80~90%의 크래시가 여기서 발생했다는 계산이 나와 이 두곳을 중심으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특히 알가시아 카던의 경우 로웬 이후로 로아에 추가된 맵들이 기존 맵보다 그래픽 좋아져 사양을 더 먹나 생각하고 있었는데 얼추 맞나 봅니다 소나벨 맵(데칼 맵) 자체는 이동 시 로드율이 엄청나게 높지는 않지만, 소나벨의 공격이 광원 관련된 효과라 그런지 이펙트가 나올 때 순간 순간 로드율이 높다는 것을 확인 했습니다 =>소나벨 맵의 테스트 방법은 맵에서 제일 로드율이 높은곳에서 소나벨이랑 놀아주기 입니다 엘가시아 카던의 경우 크래쉬가 발생했던 일부 맵을 기억하고 있었고, 그 맵이 걸리면 5분 최대로 테스트를 진행하고, 몬스터를 동시에 촤대한 많이 잡거나 혹은 최대한 많이 화면에 나오게 유도하는 방식으로 테스트 했습니다 MPO OFF 후 테스트 했을 때, 솔로 상태로 소나벨 10분 진행 후 엘가시아 카던 맵 입장 후 바로 크래시가 발생했습니다 본론 일단 개인적인 크래시 원인을 추측을 요약하면 1. DX11 환경에서 발생 2. 로드율(=발열)이 높으면 발생 이렇게 생각하고 있었고, 마침 SAM(Smart Access Memorry) 이라는 기술을 끄면 해결이 된다는 말도 있었는데 SAM이라는 기술을 메모리 관련 병목 현상을 줄여서 성능을 높이는 기술로, 병목이 해결되어 연산이 많아지는지 or 그냥 발열이 높아지는지 단점으로 발열이 높아지는 현상이 있습니다 또한, 그래픽카드의 전력 제한을 -10~15% 등 더 추가로 제한하니 크래쉬가 사라졌다는 말도 있다는 걸 확인했습니다(전기를 조금 먹는다 -> 발열이 적어진다) 그러다 PSA Disable DXNavi : AMDHelp (reddit.com) 이 글을 읽게 되었습니다 제가 추측하던 원인을 속 시원하게 긁어주는 느낌인데.. 요약하면 22.5.2 이후에 DX11 관련 DXNavi 이라 불리는 개선 및 최적화 업데이트가 있었고 그 이후로 쭈욱 해결되지 않았는데, DXNavi가 범인 아닌가 의심하는 내용입니다 해결 방안으로 DXNavi를 사용하는게 아닌, 순정 DX11로 돌리는 방식인거 같습니다 DX11의 DXNavi 가 아드레날린 22.5.2 이후에 추가되었으니 22.5.1 방식으로 돌리는건지.. https://bagelnl.my.id/NzDXSwitch 해당 문서에 수정법이 나와있습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해당 주소 이동 후 D3DVendorName 와 D3DVendorNameWow 의 설정을 바꾸어주면 됩니다 설정을 바꾸기전 D3DVendorName 의 설정값을 보고 갑시다 ![]() 해당 문서에 있는 프리셋 차트를 보시면 좌측부터 DX9 순정 + DX11 순정 DX9 순정 + DX11 DXNAVI DX9 DXNAVI + DX11 순정 DX9 DxNAVI + DX11 DXNAVI 조합인데 상단 2개는 DX9, 하단 두개는 설정인거 같습니다 D3DVendorName 를 확인해봅시다 ![]() 이렇게 상단 2개와 하단 2개가 있는데, 저는 DX11만 순정으로 사용할 생각이라 좌측에서 3번째 프리셋을 사용했습니다(하단 2개만 수정) 마찬가지로 D3DVendorNameWow 도 수정해주면 되는데 값이 다르니 주의하세요! ![]() 재부팅은 필요 없는데(게임은 당연히 끄고 있어야 합니다) 저는 그냥 재부팅 했습니다 ㅋㅋ 현재 레지스트리 수정 후 MPO off 테스트 했을 때 동일한 방법으로 2시간 테스트를 진행했을 때 크래시가 없었습니다만... 현재 서버 점검이라 ㅠ 일단 추가적인 테스트 or 실기 사용 후 추가적인 크래시가 발생하면 다시 오겠습니다 ㅜ 개인적인 느낌인지 몰라도 로아에서 과부하 테스트할 때, 22.11.2 쓰면서 못 느꼈던 쓰롤이 온 거 같았는데 22.11.2에서 쓰롤을 경험하지 못 했다는 제 기억이 맞다면.. 진짜 발열 이슈가 있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DX NAVI(DX11) 에서 뭔가 삐걱거림 -> 발열 제어(쓰롤) 걸어야 하는데 제대로 안걸림 -> 과열로 사망 괜히 의심병만 많아진거겠죠? ㅋㅋ 추가로 이걸 하면서 개조 드라이버에 대해서 알게 되었는데 아드레날린 22.5.1 + 최신 그래픽 드라이버 조합 등.. 이런게 가능하더라구요 amernimezone 어쩌고 하는거 같은데 이걸 관련해서 다루는 국내 글 하나를 찾긴 했습니다(https://quasarzone.com/bbs/qf_vga/views/5055286) 근대 직접적으로 amernimezone 를 설명하진 않고 위의 아드레날린 22.5.1 + 최신 그래픽 드라이버 조합 하는법만 나와 있네요 개조 여러 버전의 드라이버들이 있던데 그 드라이버들이 DX11 해결을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다만, 위의 DX NAVI 수정법이 위의 개조 드라이버 위키에서 설명된 방법이라곤 하네요
EXP
26,108
(95%)
/ 26,201
간지 창시타!!
|
인벤 공식 앱
댓글 알람 기능 장착! 최신 게임뉴스를 한 눈에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