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헌도 투자로 연결된 거점에서는 아이템 드랍률 증가 버프가 적용되는 거점 레벨업 시스템이 업데이트됐다. 연결된 거점은 기본적으로 1레벨의 거점 버프가 주어지며 기운을 소모해 거점의 경험치를 올리는 거점 투자를 이용한다면 거점 레벨이 오르면서 아이템 드랍률이 추가로 증가한다.

거점 투자는 공헌도가 투자된 거점만 시도할 수 있으며 연결이 되지 않은 거점은 시도할 수 없다. 따라서 거점 투자를 하고 싶다면 먼저 공헌도 투자부터 선행해야 한다. 거점 투자에는 1회당 10씩 기운이 소모되며 직접 거점 관리인을 찾아가야 연결이 가능한 거점 연결방식과 달리 거점만 연결돼 있다면 언제 어디서나 월드맵을 열어 기운을 투자할 수 있다.

최초 거점 연결 시 거점 레벨은 1레벨로 거점 투자를 10회 진행하면 2레벨로 오르게 되고, 2레벨에서 20회의 거점 투자를 하면 거점 레벨이 3으로 오르게 된다. 단, 거점 버프와 거점 레벨업으로 증가된 아이템 드랍률 수치는 별도 표기되지 않으며 거점이 활성화된 지역으로 진입하면 게임 화면 좌측 상단의 아이콘을 통해 버프 적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공헌도를 회수하면 거점 레벨이 초기화

거점 투자는 기운만을 소모하고 장소나 횟수의 제한이 없으므로 기운만 충족된다면 어렵지 않게 거점 레벨업을 시킬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이 있으니, 바로 공헌도의 회수다.

만약 기운을 소모하여 거점 투자를 진행했던 지역의 공헌도를 회수했다면, 투자됐던 기운은 모두 물거품이 되고 거점 레벨은 초기화된다. 따라서 거점 투자를 통해 아이템 드랍률 증가 혜택을 누렸던 지역이라면 공헌도를 회수하기 전에 거점 레벨이 초기화를 염두에 둬야 한다.




■ 실제 사냥 지역과 버프 적용 지역이 상이한 경우

대부분 지역은 해당 거점을 중심으로 몬스터가 분포돼있기 때문에 거점명과 거점 버프 상태 창의 지역명이 일치한다. 하지만 입구를 통해 사냥터로 진입하는 던전형 사냥터의 경우 실제 지역과 거점 버프에 사용되는 지역이 다른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칼페온 남서쪽에 위치한 버려진 수도원과 칼페온 신전을 예로 들 수 있다. 버려진 수도원은 루툼족 주둔지 산기슭의 동굴 입구, 엔트 숲의 동굴 입구, 버려진 수도원 거점 내 우물 사다리 등을 통해 진입할 수 있는데, 이때 사냥터에 진입하기 전에는 해당 지역의 거점 버프를 받게 되지만, 사냥터로 진입할 경우 루툼족 감시초소의 거점으로 버프가 적용된다.

칼페온 신전은 엔트 숲에 위치한 신전 입구로 진입할 수 있지만, 실제 몬스터가 등장하는 신전 내부는 만샤 숲의 거점 버프를 적용받는다. 때문에 해당 사냥터에서 오랜 시간 사냥을 계획하고 있다면 버려진 수도원이나 엔트 숲의 거점이 아닌 루툼족 감시초소와 만샤 숲의 거점을 연결해야 아이템 드랍률을 높일 수 있다.

▣ 버려진 수도원 동굴 입구와 내부의 거점 버프 적용 지역

▲ 루툼족 주둔지의 거점 NPC 뒤쪽에 위치한 산기슭 동굴 입구

▲ 버려진 수도원 내부 거점 버프 적용 지역


▣ 칼페온 신전 입구와 내부의 거점 버프 적용 지역

▲ 엔트 숲을 통해 진입하는 칼페온 신전 입구

▲ 칼페온 신전 내부 거점 버프 적용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