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작게시판에 얼마전에 올렸는데 조금 다듬어서 팁게에 올립니다.

내용들을 알고계신분들도 있겠지만 정확하게 정리되어있는 글이 검색해봐도 따로 없는거 같아서 직접 써봤습니다.



노드에 일꾼을 보낼때 나오는 작업량의 수치와 '영지자원량' 이란녀석의 상관관계에 대해 설명드릴게요

일단 우리가 공헌도를 노드에 투자후 일꾼을 보내면 나오는 창입니다.


각 노드마다 '작업량' 이 있고 우측에 빨간동그라미처럼 수치가 있는데 이 작업량이 고정수치가 아니며

기본작업량이 '영지자원량' 이란거에 영향을 받아 정해집니다.

이 작업창에나오는 최종작업량은 

작업량 = 기본작업량 x {1+(100%-영지자원량%)}
(기본작업량은 각 노드마다 고정값이 정해져있습니다.)

이렇게 되요. 예를들어 우리가 보편적으로 흔히 알고있는

각종 목재노드 150, 오마르/폐철 아연노드 500, 발굴/통발 1200

이런것들이 원래 작업량이 저렇게 고정되있는게 아니라

기본작업량에서 영지자원량의 상태에따라 계산되서 나온 최종 작업량이에요.



이해하고나면 간단한건데 수학공식으로 써놓으니 제가봐도 복잡해보이는군요ㅠㅠ

백분율이니 계산하기 쉽게 기본작업량이 100이고  많이들 돌린다고 생각하는 석탄노드의 대표주자인

캐플란채굴장! 과 그 옆의 글루토니동굴의 석탄노드를 예시로 스크린샷과 함께 볼게요!



일단 영지자원량이란거 자체를 처음 들어보시는분들도 계실탠데 

영지라는게 우리가 알고있는 발레노스, 세렌디아, 발렌시아 이런 큰 단위가 아니에요

M을 눌러 맵을 열어보시면 우측 위에


요렇게 2번째 버튼에 '영지 자원 정보' 라고 나와있는데 그걸 클릭해보시면


위와 같은 스크린샷처럼 보이는데 흰색 선이 영지 지역구분선이에요.

(스크린샷의 맵상 위치는 예시로 들 케플란이 중심입니다.)

흰테두리 안에 있는 그 공간이 자원량에 영향을 주는 한 '지역'이 되는거죠

영지안에 한 지역마다 그 안에 2~3개에 막대그래프같은게 있는데 여기서 우리가 봐야할건 맨 왼쪽에 녹색기둥!

이게 그 영지지역의 자원량을 나타내는것이에요.

이게 100%이면 자원이 풍부하게 있단거고 0%면 고갈이 되었단 뜻이지요.



영지자원량이란 말 그대로 이 영지. 즉 그지역 안에 있는 자원의 양 입니다.

백분율 %로 차이나기때문에 위에 말씀드렸듯이 이해하기 쉽게 기본작업량이 100인 석탄을 예시로 들어드릴게요.


스크린샷에 보이는거처럼 글루토니 동굴과 캐플란 채굴장 모두 캐플란 근처에 밀집되어있습니다.

글루토니에서 석탄을 캐보신분은 아시겠지만 이친구는 항상 작업량이 100근처입니다

캐플란채굴장이야 많이캐서 아시다시피 200이구요 이게 원래 작업량이 이렇게 정해진게 아닙니다.

원래는 둘다 기본작업량이 100 으로 둘이 같은 수치입니다.


이렇게 영지자원맵을 켜보면면 캐플란 채굴장과 글루토니 동굴의 지역이 다른걸 보실수 있습니다.

지역의 자원량을 확인해보면 캐플란채굴장의 자원량은 0.8% 

글루토니 동굴은 99.6% 입니다.  (확대하면 보이는데 이렇게 보니 숫자가 겹쳐 잘 안보이네요.)

둘다 원래 기본작업량은 100이였으나 자원량의 영향을 받아

캐플란 채굴장의 현재 작업량은 199.2 가 되는거고 

글루토니동굴의 작업량의 현재 작업량은 100.4 가 되는겁니다.



근데 이 자원량이란게 항상 고정되어 있는게 아니라 말그대로 유저들이 자원을 얼마나 캐는가에 따라 달라집니다.

낚시를 해보셨거나 비교적 최근에 이벤트를한 잉어/굴비낚시를 해보신분이면 이해가 빠를탠데

낚시처럼 그 해역에 낚시하는 사람이 많으면 고갈이 뜨는거랑 비슷한거에요.

그렇지만 벨리아앞바다에서 벤자리만 1000마리 낚는다고 벤자리만 고갈이 되서 벤자리만 안낚이는게 아니라

전체 물고기가 같이 고갈되어 낚는 속도가 느려지죠.

노드도 똑같아요. 같은 지역안에 예를들어 호박, 아마, 단풍나무 이렇게 종류가 다른 3가지의 노드가 있다고 칩시다.

유저들이 단풍나무만 왕창 캐가고 다른건 손도 안대다고 가정해볼게요.

상식적으로 생각할때에는 단풍나무를 많이캐가서 고갈이되서

단풍나무는 당연히찾기 어렵겠지만 다른 호박이나 아마는 많아야 정상이죠.

하지만 검은사막 자원량은 그 지역안에 노드가 모두 자원량을 공유해서

단풍나무가 고갈이 되어도 호박, 아마노드도 함께 고갈이됩니다.

이처럼 같은 지역안에 얼마나 많은 노드가 있느냐가 자원량에 영향을 끼칩니다

하지만 노드가 아무리 많아도 쓰잘때기없는 똥노드들만 많으면 아무도 캐지 않기때문에

그중에서도 비교적 공헌도 대비,. 거리대비 꿀노드들이 얼마냐 많냐 등 복잡적인 요소들이 자원량에 영향을 줍니다.

아! 낚시와 마찬가지도 영지자원량도 전서버 공통 공유입니다.


다시 돌아와서 예시로 든 석탄을 보면

글루토니동굴의 경우 추가 공헌도가 6이나 되는 노드이고 영지자원량 맵을 확인보시면 아시겠지만

지역 안에 글루토니 동굴 석탄노드 하나밖에 없어요.

때문에 사람들이 몰린다고 해도 자원고갈이 뜰 일이 거의 없습니다.

자원량이 떨어진다해도 최소 95%이상은 유지하고 이는 장인인간일꾼 작업량을 106정도로 맞춰두면

항상 작업횟수 1회로 가져올수 있습니다.
(근데 여기가 보이는거처럼 캐플란에서 보내도 가깝지 않고 동굴 입구로 돌아가서 거리가 1100정도로 좀 멀어요.)


반면 캐플란채굴장은 광물가공을 안하시는분들도 공헌도소비가 2밖에 안되고 숙소쓸일이 없는 캐플란에서 보내기 때문에

너도나도 돌리는 널리알려진 개꿀노드입니다. 그리고 영지자원맵을 보시면 오제고개!

가공무역에서 가장 많이하시는 칼페온목재상자의 주 원재료인 삼나무를 캐는

오제고개가 바로 캐플란채굴장과 같은 지역입니다. 

때문에 자원고갈이 굉장히 쉽게 발생하여 자원량이 0% 근처에서 놀아서 작업량이 200으로 뻥튀기되는거죠.

이처럼 작업량은 자원량에 따라 영향을 미치고 오마르/폐철의 아연도 원래 기본작업량은 250이나

항시 고갈이라 우리가 원래 500 이라고 알고있을뿐입니다.

대부분의 목재노드의 경우도 원래 75가 기본작업량인데 자원량이 줄어들어서 150 근처에서 왔다갔다 하는거죠.

기본이 75라면 자원량이 0%가 되어도 150을 초과하지 않기때문에 그 이상 높아질 걱정은 없습니다.

대부분의 목재노드가 기본은 75이고 일부 100짜리도 있습니다.



글루토니 동굴과 비슷하게 한 지역안에 노드 하나만 있는

세렌디아 신전, 마리동굴의 소나무도 굉장히 많은유저들이 돌림에도 불구하고

자원량이 유의미한 수치로 떨어지는걸 절대 볼수가 없습니다.

여기서 유의미한 수치란.

장인 인간이나 고블린을 보냈을시 작업횟수 1회를 초과할 정도로 작업량이 변동되지 않는다는 뜻이에요.

(작업량과 거리와 일꾼에 능력치에 따른 작업속도에 관해서는 이 글에서의 주제가 아니기 때문에

다루지 않으며 잘 설명되있는 글이 많으니 모르시는분은 따로 찾아보세요.)


아시는분도 계시겠지만 기본적으로 히든사막이기때문에

영지자원량이 다시 회복되는 사이클같은건 저도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몇분주기로 자원량이 떨어지다가 몇시간주기로 다시 일정량 회복되는거 같은데

종일 노드자원량만 보고있지 못해서 정확시간이나 수치는 확인 못해봤어요.

영지자원량에 관한 글은 알아보려고 찾아봐도 나오지도 않아요ㅠㅠ


이건 제 뇌피셜이긴 하지만 지역의 크기에따라 자원량의 절대값이 큰거같긴 합니다만

제가 모든 유저의 노드상황이나 인원을 알리가 없기때문에 어디까지나 제 추측성 이론입니다.

가끔 노드연결하다보면 '뭐지 이 쓰레기같은 노드가 왜이리 작업량이 클까?' 하는 경우도 있고

세렌디아신전 소나무처럼 작업량도 적고 잘캐오는 노드도 있습니다.

이게 한 지역안에 상대적 꿀노드가 많으면 자원량 고갈이 더 쉽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상대적 꿀노드란 좋은 수급량이나 구하기 어려운것들도 있지만
마을과의 연결공헌도가 적거나 주변 거점 활용노드들이 많은것들을 말합니다.)


기본작업량이 75인데 지금 작업량이 100이라고 대충 장인인간 붙여두시지 마시고 영지자원량 탭 확인해보시고

맞는 일꾼을 보내시면 장기적으로 일꾼이 일할때 작업횟수의 오차가 발생하지 않고 비교적 균일하게 가져올거에요.

(처음 붙일때 103이여서 장인인간을 붙여놨는데 나중에 자원량이 떨어져서 120~150이 되는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웬만한 노드들은 0%근처인 노드들은 항상 0~1%이고

100%근처인 노드들은 항상 98~100%에서 크게 변동이 없습니다.

자원량 회복속도가 더 크면 올라가고 적으면 계속 내려가니 어찌보면 당연한거겠지요.

( 발레노스 세렌디아 칼페온령의 어지간한 노드들은 거의다 자원량이 0%근처입니다.

예외로 지역안에 노드 한개만 독립적으로 있는 글루토니 동굴이나 세렌디아신전같은 경우는 100%근처이구요.

기억나는건 이것정도고 아마 더 있을겁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공헌도 소비가 크고 노드효율이 비교적 나쁜노드가 많은

발렌시아나 카마실비아, 드리간쪽으로 넘어가면 노드를 연결하시는분이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자원량이 굉장히 풍부합니다.

때문에 신규지역의 드리간의 발굴노드의 경우 작업량 600정도로 보통 1200인 발굴노드에 비해 굉장히 적습니다. )



대부분 유저분들은 그냥 작업량 보고 일꾼 붙여놓고 신경을 안쓰시는게 일반적이겠지만

영지자원량을 염두해두고 몇몇 노드들을 가끔 확인해주면 자원량  변동폭이 적어 항상 일정한노드가 있는 반면

변동폭이 큰 노드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긴잎나무숲의 삼나무의의 경우 기본작업량이 75이인데

자원량이 변동폭이 커서 110~150으로 왔다갔다합니다.

때문에 대충 140정도 되는 장인고블린을 붙여놓으면 작업량의 변동에 따라 작업시간이 바뀌어

하루에 가져오는 수량이 들쭉날쭉 변동되게됩니다.


착각하시는분이 있을까봐 추가로 말씀드릴것이

자원량과 가져오는 수량은 전혀 무관합니다.

자원량은 작업량수치에만 영향을 미치며 자원량이 100%라고 일꾼이 가져오는 수량이 늘어나는건 절대 아닙니다.


영지자원량에 관한 정보 자체가 워낙에 없기때문에 제가 틀린부분이 있을수도 있고

관련해서 정보가 있으신분이나 틀린점이 있으시면 댓글달아주시면 지적 감사히 받겠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인벤 메인에 배너만들어주셨는데 착각하시는분들이 계실까하여 다시 강조해여 말씀드립니다!

"같은 노드인데 왜 아이템 수량이 들쭉날쭉할까?" 라고 써두었던데

아이템 수량은 전혀 무관하고 작업량에 차이가 있는거에요.

작업량은 일꾼의 작업속도에 따라 다르지만 총걸리는 시간이 바뀌는것이지 수량은 전혀 차이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