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홈에 썼는데 금칙어때문에 캡쳐로 올린거

원본 여기에 올립니다 ..

..


상급일꾼 및 친밀도 일꾼의 중요성 등에 대해 정보공유가 이루어지고있으나

실제적인 수치는 어느정도 되는지 궁금해서 연구하게되었습니다

 

실험에 사용된 일꾼은

 

 

 

 

 

 

 

해당 4종류의 일꾼입니다

 

 

1. 이동속도와 시간의 상관관계

 

작업속도와 작업량부분이 메인인지라 이부분은 적당히 넘어가겠습니다

 

 

 

 

작업지를 선택해 일꾼을 선택하면

시간이 뜨는데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작업하기전 최초에 뜨는 작업시간은

이동속도와 최소 작업량 1회가 포함된  시간입니다 .

 

밑에 작업량과 작업속도에 대해서 보시면 이해가 되시겠지만

 

엑셀시트는 참조만 하시기바랍니다

 

굳이 덧붙이자면  이동속도4 (400) 의 일꾼이 1초당 2 가는것같다..정도....

 

 

 

 

 

 2. 작업속도와 시간의 상관관계

 

 

 

 

작업지에서 작업을 누르면 화면 우측상단에

완료시각이 표시가됩니다

 

27분 8초라고 했는데..

 

 

왜 시간이 늘어난거야!!?

 

 

 

 

 

역시 또 결론부터 빠르게 말하자면

 

해당 농장(작업지) 의 작업량을 채우기위한

일꾼의 작업속도가

한쿨을 돌리냐(x1) 두쿨을 돌리냐(x2) 차이입니다 (x3..x4..)

밑에 추가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친밀도 일꾼인 봉고레를 작업해보겠습니다

 

 

27분 8초가 나옵니다

그리고 작업시작을 누르면

 

10분이 증가된

37분 8초입니다  (스크린샷 누르는동안 2초가..)

그리고 다른 일꾼인 노비라로 똑같이 작업을 시켜보았습니다 .

 

 

 

29분 30초에서 49분 30초가 되었습니다

 

대충 눈치 채셨나요 ?

농장의 작업량은 100

봉고레의 경우 작업속도가 70으로

100을 채울려면 70으로 1.5번은 돌아야 100이되죠

 

밑의 노비라의 경우 

농장작업량이 100

작업속도가 50입니다

따라서 100을 넘길려면 50 * 2 로

2번을 돌아야합니다

 

이번엔 작업량 600의 고대인의석실을 살펴보겠습니다

 

 

 

 

 

엑셀 시트로 작성하였습니다

 

 

 

노바라와 자이언트의 경우 작업량과 작업시간이 딱 맞게 떨어집니다

 

하지만 봉고레의 경우  9번을 하게되면 630으로 작업량이 오버가 되는데요 .

 

시스템에서 최소작업시간 1회 (10분) 을 보장함으로써

 

작업속도대비 작업량이 딱 맞아 떨어질경우는 따로 계산하지않고

 

봉골레 처럼 차이가 발생할 경우에 그 최소 작업시간을 포함시켜서 시간 산출을 하는듯합니다

 

최소작업시간이 절대적으로 보장받아버리면 노바라나 자이언트일꾼이나 1회분이 증가하게되서 10분씩

 

더 증가해야합니다

 

 

최소 작업시간이 있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작업량 75인 오제 고개벌목의 경우

 

최소 보장시간이 없다면

 

작업속도 30인 자이언트 일꾼은 3번 돌아야 완료가 되기때문에 (2회 60 미달, 3회 90 초과 )

30분이 추가되야합니다

 

하지만 실제 작업시간은 1시간 18분에서 20분 (2쿨분) 만 추가된  1시간 38분입니다

 

작업속도 70인 봉골레도 50인 노바라도 모두 1쿨분 (10분만 증가합니다)

(절대적으로 보장되버리면 70인 봉골레도 작업량에 5가 부족하므로 2쿨.. 노바라도 20이 부족하므로 2쿨,,)

 

 

 

개량재료등으로 하게되는 발굴은 작업량도 많고 시간도 긴편인데

해당 자료 참고하셔서 일꾼 선택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요약

 

1. 농장 및 작업장 클릭시 최초로 보여지는 시간은

    이동시간+최소작업1회분이 포함된 시간이다

 

2. 완료시간은 농장의 작업량을 일꾼의 작업속도로

   몇쿨 돌리는지로 결정된다 .

 

3. 작업속도대비 작업량이 딱 맞아떨어질경우는 그대로 계산하고

   그렇지않을경우 최소작업시간 1회분의 보정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