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클래스 팩이 출시된 이후 많은 분들에게 혜자로 알려졌고 한동안 인기를 끌었습니다.

 

3.30 패치 이후 선수 분류 명칭이 변경되고, 새롭게 케클선수가 출시되면서 구성품이 바뀐

'플래티넘팩'이라는 이름으로 돌아왔습니다.

 

이 플래티넘팩은 어떻게 바꼈는지 한번 조사해보았습니다.

 

 

1. 각각 선수별 확률은 어떻게 달라졌나?

 

 

- 일단 케클선수가 포함되는 만큼 다른 선수들의 확률이 감소해야만 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러나, 케클선수에 넘겨진 확률의 비중을 보면 월레+유레가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월베와 엠버의 확률은 소폭 상승했네요. (칸을 올린 것은 신기합니다)

 

 

2. 시즌별로 확률은 어떻게 바꼈나?

 

 

- 케클이 25%의 확률로 새롭게 들어오면서 엠버를 제외한 나머지 시즌의 전체 확률이 감소하였습니다.

위에서 보셨겠지만, 월베 확률이 증가했지만 합쳐서 감소한 것은 생제선수 3명(드로그바,제라드,램파드)의 확률이 빠졌기 때문입니다.

 

- 역시 눈에 띄는 것은 케클의 대부분 비중을 월레가 가져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월레가 나오는게 눈에 띄게 적어진 것은 이 때문으로 보여집니다.

 

 

3. 그렇다면 가격별 확률은 어떻게 될까?

 

 

- 첫번째 표에 부가적으로 4월 1일 21시 기준 시세를 적어봤습니다.(상,하한의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 가격을 기준으로 가격별 확률을 구해봤습니다. 10억 이상 뜰 확률은 2.95%정도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4. 그렇다면 하이클래스 팩과는?

 

- 하이클래스 팩이 나왔을 당시와 지금은 선수의 구성도 다르고, 시세도 다르기에 절대적으로 비교하는 것 자체가 넌센스지만,

하이팩의 구성으로 현재 시세를 반영했을 때 기대값이 어떻게 되는지 한번 계산해봤습니다.

(케클의 추가와 생제로 인한 감소로 인해 절대적인 비교가 아님을 말씀드립니다)

 

- 하이팩에서 케클과 생제가 빠진 총 95.7%를 감안하고 보더라도, 높은 시세의 확률이 많이 낮아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케클의 모든 선수가 5억 이하라고 해도 나머지 4.3%를 다 더한 80.95%가 플래티넘팩의 86.01%보다 낮기 때문입니다)

 

- 게다가(4.1기준) 케클팩의 선수 중 10억 넘는 선수가 없음을 감안하면 10억 이상의 선수를 먹을 확률이

(하클)9.46% -> (플래)2.95%로 확연히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 결론은?

 

패키지의 가격, 구매제한 개수, 교환권의 개수, 시즌추가, 시세 등등과 같이 현재와 다른 예전 것을 단순 비교하는 것이 맞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냥 재미삼아 참고해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제 스스로는 어떤 것이 더 좋다, 더 나쁘다라고 판단하지는 않겠습니다. 비교 판단은 유저분들에게 돌릴게요!

 

<마지막으로 틀린 것이 있으면 피드백 해주시고, 혹시라도 게시글의 성격이 맞지 않다고 판단되면 지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