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선수 이름 앞에 붙는 수식어들 아시나요?
 
로마의 왕자 '토티'
 
그라운드위의 모짜르트 '로시츠키'
 
그라운드의 마지막 로맨티스트 '바티스투타' 등..
 
그리고 그 어떤 수식어보다 더 유명한
 
<그래도 아직은> 호아킨
 
실제 네이버 국어사전에까지 실려있는 그래도 아직은 호아킨 이라는 유행어입니다.
 
당시 신성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의 등장에 그래도 아직은 호아킨이죠 라는 댓글이 시초가 된걸로 아는데,
 
맞는지 모르겠네요 ㅎㅎ
 
이후 호날두가 세계최고의 선수가 되면서,,
 
약간은 비꼬는듯한 말로 들리긴 하겠지만,
 
윙어하면 그래도 아직은 호아킨이죠^^
 
호아킨하면, 클래식 윙어의 표본, 라이트윙의 본좌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녔습니다.
 
실제 글쓴이가 중3때였던 2002년 월드컵.
 
이을용이며, 대한민국 홍명보 최진철 김태영 쓰리백라인이 호아킨에게 탈탈 털립니다.
 
세계최고의 풀백 카를로스역시 호아킨에게 털린적이 있을 정도로,
 
호아킨의 능력은 대단했습니다.
 
멀리 가지않아도 12/13 레알마드리드나 도르트문트와의 챔스경기에서도,
 
다시 한번 '그래도 아직은 호아킨이죠'가 나왔습니다.
 
그리고,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측면 돌파후 올리는 크로스는
 
현재 로벤과 호날두보다 좋고, 레전드 피구보다도 좋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그리고 오늘 소개드릴 호아킨은
 
최전성기는 아니지만, 좌긱스 우베컴의 뒤를 이으려던,
 
발렌시아의 좌센테 우아킨시절인 07시즌 호아킨 입니다. 
 
후기로 넘어가겠습니다.
 
 
 
팔카오 이후 처음 공식홈에 뜨면서 굉장히 많은 사랑과 관심을 받았던
 
토티후기글에 이어 호아킨 입니다.
 
 
토티 후기글 :
 
역시 만레벨은 아니지만,
 
6명의 윙어와 로테이션을 돌리다보니, 렙업이 상당히 늦은점을 감안한다면,
 
꽤 오래 쓴 호아킨입니다.
 
일단인증.
 
히든스텟:
 Flair : 공을 받은후 공간과 시간이 있으면 자발적 트릭을 사용
 
Specialist Through Ball : 수비벽을 허무는 패스
 
Technical Dribbler : 정교하고 화려한 드리블
 
Wing Player : 윙플레이어
 

===========================================================

컴플리트 미드필더 조건 (+1카드 기준)

 

*필수: 플레이 메이커 (1개)

 

*추가: 드리블러, 엔진, 중거리슈터, 크로서, 프리킥스페셜리스트, 태클링, 크리니컬피니셔 (2개)

 

 

 

*필수: 플레이 메이커: 레벨 17

 

 추가: 드리블러: 레벨 11

        크리니컬 피니셔: 획득불가

        중거리슈터: 획득불가

        프리킥 스페셜리스트:  획득불가

        크로서: 레벨 5

        엔진: 획득불가

        태클링: 획득불가

 

 

* 현재 시장가 : 15~20만원선

 

필수항목 1개 (플레이 메이커) + 추가항목 2개 (드리블러+크로서)를 충족하므로

레벨 17 컴플리트 미드필더 스페셜리티 획득가능합니다.

   ★스피드스타: 레벨9

 

*1카기준 17렙일 경우 클래식윙어로써 필요한 스페셜리티는 모두 획득이 가능합니다.

 

==================================================================

 

 

4카 19렙 호아킨의 후기를 쓰기에 앞서,

 

추가적으로,

 

speedstar-순간속도 보정, 질주시 치고나가는 질주속도와 가속력 보정

 

acrobat- 아크로바틱 걷어내기와 바이서클 킥 가능

 

드리블부분에 대한 스페셜리티를 획득한 상태입니다.

 

- 장점 -

 

1. 스피드:

위 글머리에 호아킨에 대해 잠깐 말했다시피,

호아킨의 최대강점은 측면돌파입니다.

2002 4강진출의 대한민국 쓰리백을 탈탈털고,

내로라하던 전성기시절 최고의 윙백 A.콜, 호베르투 카를로스도

막을 수 없던 그 호아킨의 빠른발이 피파에도 구현이 됫습니다.

1카 1렙기준. 속도85/가속도80

 

1-1. 돌파:

장점 2가 아닌 1-1이라 표기한 부분은,

위 장점1인 스피드와 연관되어 있는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역습상황은 물론이고, 공격전개과정에서도 앞의 선수는 스피드로

찍어 누르며 돌파 할 수가 있습니다.

호아킨의 실제경기모습을 보면 뒤에 2-3명은 달고 다닙니다.

이 돌파를 당한 선수가 호아킨 뒤를 쫓아서 달려오는 모습들을 많이봐서

제 머리속에 잔상이 많이 남아서 호아킨뒤에는 항상 2-3명이 따라다닌다 생각하나봅니다^^

호아킨 스페셜은 한번도 안봤지만,

뒤에 우루루 쫓아오는 이런 장면들도 스페셜에서 볼수 있지않을까 생각되네요.

 

2. 크로스:

위에 말했다시피,
실제 축구에서 돌파후 크로스는,
피구보다도 낫다고 생각한다는 개인적 생각을 썼습니다.
택배크로스하면 베컴이 떠올리시는분들이 훨씬 많겠지만,
그 택배크로스는 호아킨도 빼놓을수 없는 선수임은 분명합니다.
1카 1렙기준 크로스82
 
3. 드리블:
 체감이라고 해야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179cm/75kg이라는 윙어치고는 큰 체격이지만,
 상당히 가벼운 느낌이 드며, 황소드리블의 묵직함보다는,
 드리블링중 방향전환이 부드러워서 상당히 정교하다고 느껴졌습니다.
 
  
 -단점-
 
1. 몸싸움:
의문점이 생기네요.
호아킨은 몸싸움도 상당히 준수한 윙어였다고 생각드는데,
최전성기가 아닌 07시즌이라서 그런가,
게임내 호아킨은 몸싸움이 좋지 않습니다.
 
2. 골결정력:
이건, 호아킨이라는 선수의 특성상 단점이 될 수 없지만,
골결정력이 뛰어나지 않은건 사실입니다.

 

 

 

 

* 총평 *

스피드를 이용한 돌파에 강점을 보이며, 크로스가 일품이다.

몸싸움이 좋지 못하며, 골결정력 또한 부족함이 느껴진다.

 

두줄평을 보고 느끼신점이 있나요?

 

정리하겠습니다.

 

위 스페셜리티부분 보고 실망 많이 하셨나요?

제가 이제껏 선수들을 분석해오며 스페셜리티를 정리해드렸지만,

이번 호아킨의 스페셜리티 부분에서는 저도 적으면서 살짝 당황을 했습니다.

근데, 놓고보면, '클래식 윙어'라는 특수한 포지션상, 전혀 놀랄 부분이 아닙니다.

윙어하면 누가 떠 오르시나요?
호날두? 메시? 로벤? 리베리?

위 선수들은 지금 축구에서 최고로 꼽히는 윙어가 분명합니다만,

이들은 측면에서 공을 받아 중앙쪽으로 돌파하며 골문을 노리는

인포인팅 윙어라고 볼 수 있겠고,

호아킨은 측면에서 쭉 돌파해 나가서 동료에게 패스를 해주거나,

크로스를 올리는 클래식윙어, 약간 직선형윙어라 볼 수 있겠네요,

EPL중계가 잘되니, EPL에서 호아킨과 비슷한 유형의 선수를 찾으라면,

맨시티에서 새로 영입한 '헤수스 나바스'가 이 클래식윙어라고 볼 수 있겠네요.

 

레벨5에 크로스보정 스페셜리티가 생기고 레벨9에 스피드에 대한 보정이 생깁니다.

레벨 9만되어도, 윙어의 본질적인 역할을 수행하는데는 무리가 없습니다만 (RW, RM) = O

 

좋지못한 몸싸움으로 덩치가 큰 센터백과 맞서는데는 무리가 따르고,

골결정력도 다소 떨어지므로 측면에서 돌파를 잘해놓고 중앙으로 파고드는 역할은 무리가 있습니다.

 (LW, LM) = X

 

'골결정력도 안좋은데 크로스만 할거면 클래식윙어를 왜쓰냐?'

맨시티가 약팀과의 경기에서 무승부혹은 패가 많은걸 아시나요?

중앙밀집형 수비진을 인포인팅만으로는 뚫기엔 너무 힘이들기에,

측면을 살리기위해서 클래식윙어를 영입한겁니다.

같은 상황 피파에서 포백에 투볼란치에 압박 낮추고 간격좁혀 놓으면,

제 아무리 돌파좋은 토레스 에투 와도 뚫기가 빡셉니다.

이럴때 올시즌 맨시티의 선택처럼 측면을 열어줄 클래식윙어가 해답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방송을 보면서 느꼇는데 실제 순위경기 상위랭커들은 크로스플레이를 많이 하더군요*

 그분들의 경기방송이나 영상을 보면서, 다소 소외된 감이 있는 클래식윙어의 본좌를

 이번 주제로 삼았네요^^

 

그리고 호아킨의 선수 유형은,

레벨9만되어도 호아킨을 느낄수 있으니, 호아킨은 초기만개형 선수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궁금한점, 댓글주시면 확인하는대로 답해드리겠습니다
 
아참.. 유익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토티후기글에 대한 관심과 사랑 감사드리고,
 20렙 찍은 수비진이 5명이있는데, 다음추천글은 수비진이 좋을까 공격진이 좋을까 의견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