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일무이하게 보스 몬스터의 공격에 힘으로 맞설 수 있는,

 

사실은 알고 보면 훈훈한 성격인 자이언트 캐릭터, 카록의 스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가이드는 어디서 본 듯한 내용을 조합해서 만든 설명서입니다.

 

설명이 왔다갔다 한다든지 기타 부족한 부분은 댓글로 제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이 스킬 가이드는 프리미어 서버에 중점적으로 맞춰져 있습니다.

 

그리고 그림이나 동영상 하나없는 온리 텍스트입니다.




──────────────────────────────────────────f




카록의 무기는 거대한 기둥형 둔기, 배틀 필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2011년 7월 기준, 아직 2차 무기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명시되어 있지않으므로,

 

본 스킬 설명서에서는 1차 무기인 배틀 필러에 대해서만 설명합니다.

 

 

 

 

 

──────────────────────────────────────────

 

 

 

 

 

 

 

 

 

 

[캐릭터 공통 스킬]

 

 

 

 

 


 

※ 카록은 이비를 제외한 캐릭터들과 공통 스킬이 같기에 별 차이점 없이 서술했습니다.

 

 

 

 

 


 

[컴뱃 마스터리(Combat Mastery)]

(추천 랭크 : D 랭크)

(습득 조건 : 캐릭터 생성 시에 습득되어 있음.)

랭크가 점점 올라가면 올라갈 수록 일정 퍼센트 상승으로 일반 공격의 데미지가 올라갑니다만,

프섭에서는 이게 차이가 거의 없다시피하고,

일반 공격의 비중이 높은 XE서버에서 이 스킬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습니다.

프섭은 스매시의 데미지 비율이 훨씬 높아서 일단은 D 랭크만 찍고 스매시 마스터리를 배우기 위해 찍는 노선입니다.

 

 

 

 

 

 

 

 


 

[스매시 마스터리(Smash Mastery)]

(추천 랭크 : 6 랭크 -마스터-)

(습득 조건 : 레벨 22 이상, 컴뱃 마스터리 D 랭크 이상)

랭크가 올라가면 올라갈 수록 스매시 공격의 데미지와 다운률이 상승.

컴뱃 마스터리가 D 랭크 이상 되어야 찍을 수 있는 패시브 스킬이며,

그리고 이비(낫비 제외) 빼고 전직업 필수 마스터해야하는 스킬이죠.

카록은 평타와 스매시의 데미지 비율도 조금 어정쩡한 편.

 

 

 

 

 

 

 

 

 

 

[디펜스(Defense)]

(추천 랭크 : 9 랭크 -마스터-)

(습득 조건 : 레벨 18 이상)

스킬명 그대로 캐릭터의 자체 방어력을 35~70씩 영구 증가시켜주는 패시브 스킬입니다.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들어오는 데미지를 막기 위한 생존 스킬 중의 하나로써,

실수로 인해 캐릭터가 사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찍 마스터하시는 분들도 많은 편입니다.

슬립대시 하나에 죽고 살고가 갈리는 위험천만 고생길이 훤한 리시타보다,

방패론 어지간해선 다 막는 피오나에 비해 카록은 몸으로 부딪히며 전투하죠.

이 스킬을 배워주면 혹시나 모를 때 들어오는 피격 데미지 차이가 확연히 들어나실 것입니다.

랭크 업에 소모되는 AP가 좀 되는 편이나 천천히 찍으시는 게 좋을 듯 합니다.

 

 

 

 

 

 

 

 

 

 

[크리티컬 히트(Critical Hit)]

(추천 랭크 : 6 랭크 -마스터-)

(습득 조건 : 레벨 18 이상)

랭크가 높아지면 높아질 수록 크리티컬의 발동확률과 데미지가 증가하는 스킬.

이비를 제외한 캐릭터들이 어지간하면 찍는 스킬 중에 하나입니다.

밀리 캐릭터들은 다 찍어줘야겠지요.

 

 

 

 

 

 

 

 

 

 

[메디테이션(Meditation)]

(추천 랭크 : F~A 랭크)

(습득 조건 : '메인 스토리 : 티이의 선물'을 완료)

카록은 무게 견디기 스킬을 찍을 필요가 없기에,

오히려 이쪽을 찍는다고 합니다.

어떻게 랭크 업을 시킬 지는 직접 알아서.

 

 

 

 

 

 

 

 

 

 

[완력 훈련(Strength Training)]

(추천 랭크 : A 랭크)

(습득 조건 : 레벨 14 이상)

랭크가 올라갈 수록 힘을 일정 수치 올려주는 스킬입니다.

무게 견디기 스킬의 선행 스킬로 D 랭크를 필요로 하긴 합니다만,

기본 스탯을 꽤 올려주니 필히 닥마스터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AP 소모량이 조금 되서 그렇지, 찍으면은 절대 후회없는 스킬.

 

 

 

 

 

 

 

 

 

 

[근성 훈련(Will Training)]

(추천 랭크 : A 랭크)

(습득 조건 : 레벨 14 이상)

랭크가 올라갈 수록 의지를 일정 수치 올려주는 스킬입니다.

행동불능 버티기의 선행 스킬로는 D 랭크가 필요.

리시타라면 닥치고 마스터해야할 스킬 중 하나.

서서 버티기, 행동불능 버티기 스킬의 발동확률도 높아지고,

무엇보다 크리티컬 히트의 발동확률이 높아지니 다른 캐릭터들도 배워두면 반드시 유용한 스킬입니다.

 

 

 

 

 

 

 

 

 

 

[민첩 훈련(Dexterity Training)]

(추천 랭크 : A 랭크)

(습득 조건 : 레벨 22 이상)

랭크가 올라갈 수록 민첩을 일정 수치 올려주는 스킬입니다.

민첩이 상승함으로써 적용되는 효과를 말하자면은 대충 이렇습니다.

방어력 상승, 스태미너 회복력 상승 등.

모든 스탯 훈련 스킬이 그렇듯이 일단 찍어놓으면은 후회는 하지 않습니다.

단지 TRANSFORM 패치로 A 랭크에서 9 랭크로 가는 AP가 흠좀무.

 

 

 

 

 

 

 

 

 

 

[서서 버티기(Battle Will)]

(추천 랭크 : 9 랭크)

(습득 조건 : 레벨 6 이상일 때, '스킬 스토리 : 서서 버티기'를 완료)

몬스터에게 피격됬을 시에 다운되지 않고 일정 확률로 다운되지 않는 넉백으로 버티게 해주는 스킬.

9 랭크를 찍으면 피격 다운되었을 때 회피키를 누르면 스태미너를 소모해 낙법으로 바로 일어납니다.

넉백 상태에서는 무적판정이 되는데,

리시타를 제외한 캐릭터들은 기상기가 없으니 꼭 필요합니다.

 

 

 

 

 

 

 

 

 

 

[캠프파이어(Camp Fire)]

(추천 랭크 : A 랭크 -마스터-)

(습득 조건 : 레벨 12 이상, '메인 스토리 : 라이벌'을 완료)

(사용 조건 : 퀵슬롯에 캠프파이어 키트를 장착하고 던전 입장 후에 사용 가능)

설치형 액티브 버프 스킬.

평평한 바닥에 캠프파이어를 설치한 후, 주변에 나무 오브젝트를 2개 들어서 캠프파이어로 가지고 오면 활성화.

효과는 체력 회복, 공격력 증가, 방어구 내구도(노란색 → 흰색) 회복, 방어구 임시 수리.

자신이 찍는 것도 좋은, 그래도 무엇보다 누군가 키트를 들고 오기를 바라게 만드는 스킬입니다.

AP 소모량도 아주 착한 편이고, 찍어주시면 좋으니까 손해는 안 봅니다.
 
 
 
 
 
 
 
 
 
 

[행동불능 버티기(The flame of fire)]

(추천 랭크 : 6 랭크 -마스터-)

(습득 조건 : 레벨 22 이상, '스킬 스토리 : 행동불능 버티기'를 완료)

'내가 꽤 발컨이다.' 싶을 때에 필수 마스터해야 할 스킬 중 하나.

적이 캐릭터를 사망하게 할 위력의 데미지를 줬을 때,

일정 확률로 붉은 이펙트가 뜨는 동시에 캐릭터의 체력을 1로 남기고 서서 버티기의 모션이 나옵니다.

일단 찍었다하면 캐릭터가 본격 '좀비화'되는 스킬이라서 체력이 1만 아니더라도 발동 조건 성립.

근성 훈련 스킬을 마스터하거나 의지 스탯이 붙어있는 장비를 착용하면 서서 버티기와 함께 무시무시한 확률로 발동됩니다.

 

 

 

 

 

 

 

 

 

 

[전투 호흡(Breathing Battle)]

(추천 랭크 : A 랭크)

(습득 조건 : 레벨 26 이상)

비전투 시와 전투 시에 스태미너 회복 속도를 올려주는 스킬.

피오나도 방패 관련 스킬 때문에 스태관리가 필요하죠.

이건 배우고 안 배우고의 차이가 엄청난 지라 필수로 찍는 스킬입니다.

TRANSFORM 업데이트에서 랭크가 풀렸으나 AP 소모량이 살인적이어서 초반은 A 랭크로 만족합시다.

 

 

 

 

 

 

 

 

 

 

[생명력(Life Force)]

(추천 랭크 : 취향대로.(응?))

(습득 조건 : 레벨 30 이상)

최대 생명력이 일정 수치만큼 영구히 증가하는 스킬입니다.

AP 소모량이 심해서 다들 잘 찍질 않습니다만,

일단 6랭크까지 찍으면 230이라는 무시 못 할 생명력이 증가합니다.

캐릭터 육성 초반부에는 다른 스킬을 올리기 때문에 이 스킬은 대부분 후반부에 올리는 게 좋습니다.

 

 

 

 

 

 

 

 

 

 

[스태미너 마스터리(Stamina Mastery)]

(추천 랭크 : D 랭크)

(습득 조건 : 레벨 38 이상, 전투 호흡 D 랭크 이상)

랭크가 올라갈 수록 최대 스태미너가 일정 수치만큼 영구히 증가하는 스킬입니다.

생명력과 함깨 후반부 캐릭터의 기본운용 강화를 위해 찍게되는 스킬이죠.

초반에는 찍을 스킬도 많으니 적당히 D 랭크 정도로 가시다가 나중에 마스터하는 걸 추천합니다.

마스터하면 최대 스테가 18이나 오르는데, 이게 있고 없고의 차이가 상당히 큽니다.

체험해본 사람만이 아는 것.

 

 

 

 

 

 

 

 

 

 

[생명력 포션 숙련(Skilled health potions)]

(추천 랭크 : A 랭크 -마스터-)

(습득 조건 : 레벨 42 이상)

제자리에서 포션을 마실 때에 보너스 효과로 더욱 많은 생명력이 차오르게 하는 스킬입니다.

카록의 경우 퀵슬롯에 장착된 포션 단축키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캐릭터가 포션을 마시고 난 후,

입을 스윽 닦는 모습이 보일 때 포션 단축키에서 손을 떼면 보너스 이펙트라고 뜨면서 생명력이 더 많이 차올라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저렙때는 그저 쳐다보지도 않다가 고렙이 되서 최대 생명력이 늘어나면은 기본 운용 강화를 위해 저절로 눈이 향하게 되는 스킬이죠.

 

 

 

 

 

 

 

 

 

 

[천옷 숙련(Cloth Armor Skilled)]

(추천 랭크 : A 랭크)

(습득 조건 : 레벨 10 이상)

천옷 장비의 방어력과 내구도를 올려주는 스킬.

카록같은 경우는 리인포스 모자 부분이 천옷 E 랭크인 걸 빼면,

천장비는 용병단 & 프리미엄 뉴비 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꾸준한' 인챈만을 바르기 위해 유저들은 A 랭크를 찍지요.

그 외에는 별 볼일 없는 스킬입니다.

 

 

 

 

 

 

 

 

 

 

[경갑 숙련(Light Armor Skilled)]

(추천 랭크 : B 랭크 or 9 랭크)

(습득 조건 : 레벨 10 이상)

경갑 장비의 방어력과 내구도 상승, 그리고 무게를 덜어주는 스킬.

리인포스 몇몇 파츠, 로얄카뎃 베레모, 서던윈터(카록 전용) 같은 장비를 입기 위해 B 랭크.

혹은 에피소드 8-2 장비 아이템인 레이더스 세트를 입기 위해 9 랭크를 찍습니다.

그 외엔 할 말 없습니다.

 

 

 

 

 

 

 

 

 

 

[중갑 숙련(Heavy Armor Skilled)]

(추천 랭크 : 9 랭크)

(습득 조건 : 레벨 10 이상, 케아라에게서 스킬북 구입)

중갑 장비의 방어력과 내구도 상승, 그리고 무게를 덜어주는 스킬.

플레이트를 입기 전까지의 카록 장비의 선행 스킬로써,

레벨 61이 되어서 일부 파츠가 중갑이며 카록 유저들이 많이 선호하는 장비 중 하나인 스위프트와 블랙해머 세트 때문입니다.

 

 

 

 

 

 

 

 

 

 

[플레이트 숙련(Plate Armor Skilled)]

(추천 랭크 : 6 랭크 -마스터-)

(습득 조건 : 레벨 30 이상, 중갑 숙련 D 랭크 이상)

플레이트 장비의 방어력과 내구도 상승, 그리고 무게를 덜어주는 스킬.

56제 전용 장비인 바바리안 세트부터 현재 나온 공용 장비 및 전용 장비를 입기 위해서는 필수.

다만 AP 소모량이 살인적이라서 어떻게 조절해서 찍을 지는 여러분 손에 달렸습니다.

 

 

 

 

 

 

 

 

 

 

[보조무기 숙련(Subweapon Mastery)]

(추천 랭크 : F 랭크)

(습득 조건 : 레벨 30 이상, '스킬 스토리 : 보조무기 숙련'을 완료)

스킬 랭크가 오르면 오를 수록 사용할 수 있는 보조무기가 늘어납니다.

F 랭크는 팔라라의 빛, E 랭크는 상급 창, D 랭크는 상급 소형 폭탄, C 랭크는 점착 폭탄.

다만, C 랭크가 마스터인 주제에 AP 소모량도 가히 살인적이어서 F 랭크면 충분할 정도입니다.

상급 보조무기를 써서 타이틀이나 보너스 목표를 더 쉽게 따실 분들은 올려도 상관없습니다. 

 

 

 

 

 

 

 

 

 

 

[카록 전용 스킬 - 전투]

 

 

 

 

 

 [워 스톰프(War stomp)]

(추천 랭크 : A 랭크 -마스터-)

(습득 조건 : 레벨 42 이상)

(사용 조건 : 0타 스매시 입력 후 한번 더 스매시 입력. 반복 입력 가능. 단, A 랭크부터.)

스매시 북으로 배우고 나서부터 쓸 수 있는 0타 스매시 연계기.

0타 스매시 이후 기둥으로 땅을 냅다 내려찍습니다.

A랭크부터 연속으로 쓸 수 있는데, 연속공격의 위력은 당연스럽게 첫번째 타격보다 약합니다.

피오나의 아마란스 킥이나 리시타의 퓨리 수준으로 카록의 사실상 밥줄이었으나,

패치로 SP 수급율 하락과 첫타 데미지 감소 및 연타 데미지 증가 등 너프를 자꾸 맞고 있네요.

 

 

 

 

 

 

 

 

 

 

[체인 콤보 : 그리즐리 어퍼(Chain combo : Grizzly upper)]

(추천 랭크 : A 랭크 -마스터-)

(습득 조건 : 레벨 30 이상)

(사용 조건 : 1타 스매시 타격 도중 일반 공격 키 입력.)

그리즐리 어퍼(카록의 1타 스매시) 성공 후 연속 공격을 하면,

피오나의 신속한 반격처럼 일반공격 1타를 미리 친 것처럼 취급합니다.

스매시 이후 2타 평타부터 공격을 이어나갈 수 있게 됩니다.

 

 

 

 

 

 

 

 

 

 

[전투 돌진(Combat assault)]

(추천 랭크 : A 랭크 -마스터-)

(습득 조건 : 레벨 15 이상)

(사용 조건 : 달리기 도중 자동 발동.)

카록은 돌격 스매시가 없지만, 대신 달리기 자체가 공격이 됩니다.

달리기 시작한 후 몇 초가 지나면 시작, 스태미너 소모량이 소폭 감소하며 몸 전체에 공격판정이 생기지요.

데미지는 낮은 편이지만 스매시 키를 누르면 드롭 킥으로 연결됩니다.

전투스킬로 쓰려면 정말 의미가 없는 스킬이지만,

귀찮은 맵에서 거미나 디거들을 뚫고 지나가는데에는 그야말로 최적의 성능을 자랑합니다.

후반부에 공격력이 상승하면 오늘의 전투때문에 돌아야 하는 폐허 등지의 던전을 플레이할 때는,

그야말로 달리기만 해도 쉽게 죽는 잡몹들을 볼 수가 있죠.

 

 

 

 

 

 

 

 

 

[드롭 킥(Drop kick)]

(추천 랭크 : A 랭크 -마스터-)

(습득 조건 : 레벨 18, 전투 돌진 C 랭크 이상)

(사용 조건 : 2타 스매시 도중 or 전투 돌진 중 스매시 입력.)

기둥을 세운 후 냅다 드롭킥을 날립니다. 

겉보기에는 강력한 한 방을 날리는 스킬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전신판정의 연타공격으로 최대 3타까지 공격가능.

카록 스킬 중에서도 역경직도 매우 심한 편입니다.

카록이 점프로 최대 고도에 도달할 때까지가 충격 흡수 가능구간이므로,

2타 스매시에서 적절한 타이밍에 연계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충격 흡수(Shock absorbers)]

(추천 랭크 : A 랭크 -마스터-)

(습득 조건 : 레벨 20 이상)

(사용 조건 : 적 공격 타이밍에 맞춰서 일반 공격 or 스매시 입력)
적의 공격에 타이밍을 맞춰 사용하면 슈퍼 아머 판정이 되며 데미지를 입은 후 다시 회복합니다.

방어구도 깨지지 않고 디버프가 부가되는 공격도 충격 흡수에 성공하면 디버프를 받지 않습니다.

랭크를 올릴수록 충격 흡수 사용시 받는 피해를 줄이며 체력 회복 속도가 상승.

다만 체력 회복중에 충격 흡수를 하지 못한 채 공격을 받게 되면 체력 회복이 사라지며,

공격받기 전 체력 이상으로는 회복되지 않습니다.
충흡을 연속적으로 성공할 경우 이 회복가능한 범위가 늘어나게 되는데,

이 경우 한대 제대로 맞으면 회복중이던 체력이 전부 날아가게 되지요.

또한 체력이 회복되는 도중에 포션을 마시면 스킬 효과로 회복될 체력을 포션이 메꾸니까 주의.
 

 

 

 

 

 

 

 

 

[기둥 던지기(Pillar cast)]

(추천 랭크 : A 랭크 -마스터-)

(습득 조건 : 레벨 24 이상)

(사용 조건 : 잡기 키를 1초 이상 입력.)

기둥 던지기 자체도 스킬이 있기 때문에 스킬을 습득해야 던질 수 있습니다.

랭크가 오를수록 기둥이 날아가는 속도가 빨라집니다.

기둥 던지기 또한 한번 사용하면 잠시동안 다시 사용할 수 없는 디버프가 있지요.

기둥을 던진 후엔 맨손 격투 상태로 돌입.

카록에게 유일한 원거리 공격에다 상당히 강한 공격력을 가지고 있어 의외로 쏠쏠하긴 합니다.

몰려있는 잡몹을 한방에 날려버릴때나 멀리있는 보스를 조금이라도 때리고 싶을 때 좋죠.

보스같은 슈퍼 아머 몹에게 던지다보면 간혹 다단 히트가 터질때도 있는데 당연히 데미지도 곱절로 들어갑니다.

 

던진 기둥은 20초마다 카록 머리위에서 리젠되어 떨어지는 괴이한 모습을 보이며 이때 떨어지는 기둥에도 타격 판정이 있습니다.

맨손으로 싸우다 보면 계속해서 머리 위에서 커다란 기둥이 갑자기 '쿵'하고 떨어지는 모습을 보다보면 뭔가 괴랄 그 자체.

 

 

 

 

 

 

 

 

 

 

[보스 잡기(Catching the Boss)]

(추천 랭크 : A 랭크 -마스터-)

(습득 조건 : '메인 스토리 : 마족의 수상한 움직임'의 완료 보상)

(사용 조건 : 보스 몬스터가 그로기 상태일 시에 가까이 가서 잡기 사용.)
보스가 다운되었을 때 잡기 공격을 할 수 있습니다.

멱살을 잡아 박치기를 선사한 후 원투 스트레이트를 날립니다.

보스 딜링과 동시에 홀딩까지 되는 명실상부 카록 최고의 기술이지만 사용 대상이 한정되어 있습니다.

바로 '인간형 소형 보스'에게만 사용 가능하다는 겁니다.

하지만 간혹 소형 보스들 중에도 못 잡는 녀석들도 있긴 하죠.

여기서의 '소형'은 보스몹의 크기를 뜻하는 것이라기보다는,

레이드 보스나 스토리상 최종 보스가 아닌 놈들을 말합니다.

 

 

 

 

 

 

 

 

 

[힘겨루기(Power compete)]

(추천 랭크 : A 랭크 -마스터-)

(습득 조건 : 레벨 12 이상, 보스 잡기 D 랭크 이상)

(사용 조건 : 보스 몬스터가 힘을 겨룰 수 있는 특정 공격 시, 가까이서 잡기 키 입력. 성공 시 연타.)

특정 보스의 특정 패턴에 타이밍을 맞춰 입력하면 보스와 힘겨루기를 할 수 있습니다.

최대 10초 동안 힘을 겨룰 수 있으며 10초가 지나면 자동으로 힘겨루기에서 지게 됩니다.

스태미나가 다 떨어졌을 때도 마찬가지죠.

랭크가 올라가면 힘겨루기에서 졌을 때 카록이 받는 데미지가 줄어들며,

힘겨루기에서 이겼을 때 카록이 보스에게 주는 데미지가 늘어납니다.
 

힘겨루기를 사용했을 경우 '근육 파열'이라는 일정시간 동안 힘겨루기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디버프가 걸립니다.

이 때문에 힘겨루기는 개편 전 스태프 이비의 '회복',

그리고 현재의 '부활' 스킬처럼 쿨타임이 존재합니다.

스킬 랭크를 올리면 이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지요.
 

타이밍, 사용범위, 위험도의 삼박자를 갖추고 있어서 사용하기 굉장히 까다로운 스킬.

일단 특정 패턴만 잡을 수 있는데,

이 패턴이 반드시 자신에게 오는 게 아니기 때문에 사용 위치를 잘 잡아야 합니다.

타이밍도 굉장히 까다로우며 실패할 경우 공격을 그대로 맞게 되기 때문에 위험도 상당.

힘겨루기가 되는 패턴의 경우 데미지가 괴랄한 종류가 많기 때문입니다.

또, 간신히 힘겨루기를 하더라도 키를 난타해서 이겨버리면,

다른 파티원이 안심하고 보스를 공격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게 되는 아이러니가 있습니다.

그러니 힘겨루기 상태에 돌입하면 일단 시간을 끄는 게 좋습니다.


2011/04/26 에 있었던 TRANSFORM 패치에서 디버프 시간이 감소하고 입력타이밍이 길어졌습니다.

또한 힘 겨루기 상태에서 키 몇번만 눌러도 쉽게 이길 수 있게 되었죠.

하지만 파티 플레이에서 힘 겨루기의 의의는 파티원들에게 뎀딜 찬스를 만들어주는 것이기 때문에,

너무 빨리 이겨버리면 정작 파티원들은 딜을 별로할 수 없어서 그저 자랑질 밖에 되질 않습니다.

따라서 파티플레이에서는 결과적으로 힘겨루기에서는 지더라도,

파티원들이 극딜을 할 수 있도록 힘겨루기를 최대한 오래 지속하는게 좋습니다.

 

 

 

 

 

 

 

 

 

 

[맨손 격투(Unarmed combat)]

(추천 랭크 : A 랭크 -마스터-)

(습득 조건 : 레벨 24 이상)

(사용 조건 : '기둥 던지기' 스킬 사용 시에 자동으로 맨손 격투 상태에 돌입.)

맨손 격투일 때에도 '충격 흡수', '보스 잡기', '힘겨루기' '하울링'은 사용 가능.
맨손 격투 상태로 들어가면 특히 잡몹 몬스터를 캐발살내버리는 듯한 카록을 볼 수 있습니다.(...)

롱해머와 마찬가지로 평타 시전시 sp가 약간 차는 특징이 있습니다.
 

 

 

 

 

 

 

 

 

 

[카록 전용 스킬 - SP]

 

 

 

 

 

[SP : 하울링(SP : Howling)]

(추천 랭크 : F~A 랭크)

(습득 조건 : 레벨 30 이상)

(사용 조건 : 디버프 효과를 받는 상태에서 SP 게이지 1칸 소모로 발동.)

지속 피해를 입히는 디버프를 받았을 경우에만 사용가능.

사용하면 함성을 지르는 모션으로 즉시 디버프를 해제하고 5초동안 약간의 생명력을 회복시킵니다.

랭크 업당 초당 회복 생명력이 6씩 상승.

회복되는 생명력은 그리 많지 않지만,

후반으로 갈 수록 디버프의 데미지가 만만치 않다는 걸 감안하면 상당한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후반가면 왠만한 보스는 물론이고 졸개들도 디버프를 걸어대니 쓸 기회는 많지요.

랭크를 올려도 회복되는 생명력이 크게 늘어나는건 아니니 AP가 아깝다면 그냥 배워두기만 해도 됩니다.

 

 

 

 

 

 

 

 

 

[SP : 돌개바람(SP : Tornado)]

(추천 랭크 : A 랭크 -마스터-)

(습득 조건 : 레벨 30 이상)

(사용 조건 : SP 게이지가 2칸 이상 차있을 때 사용가능.)
배틀필러를 잡고 빙글빙글 회전하는 스킬.

무적은 아니고 첫 타가 나갈때 충격흡수 판정이고 이후에는 슈퍼 아머입니다.

기본 4회전에 C랭크, A랭크에서 회전 횟수가 한바퀴씩 늘어납니다.

SP 2칸 짜리 스킬 주제에 타 캐릭터의 레벨 52 SP 스킬에 맞먹을 정도로 공격력이 엄청나고,

다운치도 높아서 유용하지만 무적시간은 쥐뿔도 없고,

충흡판정도 첫타나갈 때밖에는 없으며 은근히 컨트롤이 어렵긴 합니다.

또한 한번씩 공격이 맞을때마다 발생하는 역경직까지 심각한 수준이라 전부 맞추기는 힘들죠.

하지만 전부 다 맞출 수만 있다면 확실한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제대로 때려넣고 싶다면 보스가 그로기되거나 갈고리에 걸렸을 때,

아이스 스피어에 얼었을 때 등 움직이지 못하는 상황에 쓰는 게 좋다고 생각되는군요.

 

 

 

 

 

 

 

 

 

[SP : 어스퀘이크(SP : Earthquake)]

(추천 랭크 : A 랭크 -마스터-)

(습득 조건 : 레벨 52 이상)

(사용 조건 : SP 게이지가 4칸 전부 차있을 때 사용가능.)

기둥을 들어서 땅을 '쾅'찍는데 넓은 범위의 모든 적에게 큰 피해를 줍니다.

데미지를 따지면 돌개바람 2번 쓰는 쪽이 훨씬 더 높지만 대신에 맞추기 쉽고 무적 판정이 있으며,

돌개바람에 비해 시전시간이 훨씬 짧다는 점이 있죠.

부가적 효과로는 적들을 느려지게 하는 효과가 있는데 보스급에는 통하지 않습니다. 

보통 보스에게는 데미지를 많이 주는 쪽이 이득이므로,

보스전에서는 돌개바람보다 사용횟수가 적을 수밖에 없는 스킬.

하지만 안전한 뎀딜이 가능하다는 점과 잡몹을 청소할 때 좋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카록 전용 스킬 - 장비]

 

 

 

 

 

[배틀 필러 마스터리(Battlepillar mastery)]

(추천 랭크 : 9 랭크)

(습득 조건 : 레벨 10 이상)

배틀 필러의 무게를 줄여주며, 더 높은 계열의 배틀 필러를 착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무게를 줄여주는 폭도 그렇게 눈에 심하게 띄는 건 아니니 61제 무기를 장비하기 위해 9 랭크.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Poinsettia 길드 마스터, 라이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