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스케일링 기능이 업데이트된 497.29 드라이버 기준입니다.


1. 전역 설정에서 이미지 스케일링 & 선명화 켜기
- 로아의 계단 현상 방지(안티에일리어싱)은 텍스쳐의 선명도가 뭉개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고자 추후 계단 현상 방지 '높음' 옵션이 추가 되었지만, 
선명도 하락을 다소 보완하는 대신 GPU 점유율을 상당히 크게 잡아먹는 또 다른 단점이 있습니다.

현재 로아의 선명도 뭉개짐을 보완 하는 방법은 크게 4가지가 있습니다.

1. 더 높은 해상도로 설정하기
2. 계단 현상 방지 '높음'으로 하기
3. NVIDIA 익스피리언스 게임 필터의 선명화 기능 사용하기
4. NVIDIA 제어판의 이미지 스케일링 기능에 포함된 선명화 기능 사용하기

이 네 가지 방법은 위로 갈수록 더 많은 GPU 리소스를 잡아먹습니다.
다시 말해 가장 아래에 있는 이미지 스케일링의 선명화 기능이 가장 적은 리소스를 먹습니다.

선명도는 0~30% 내외로 취향껏 사용하면 되고 설정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미지 스케일링에는 해상도를 낮추는 기능도 포함되어 있지만,
NVIDIA익스피리언스를 설치해서 따로 기능을 켜지 않았다면, 해상도는 건들지 않고 선명화 기능만 쓰실 수 있습니다.





2. 아래 스샷과 같이 설정하기


로아는 쿼터뷰 고정 시점 게임이고, 이런 시점의 게임은 화면 테어링(찢어짐)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서
수직동기화, G싱크, 프리싱크, 패스트싱크 등등 테어링을 잡기 위한 모든 싱크기술이 애초에 필요가 없습니다.

같은 쿼터뷰 시점인 롤같은 경우에는 화면 스크롤이 가능해서 이때 어링이 발생할 수 있으나,
로아는 화면 스크롤 조차도 캐릭터 중심으로 고정되어있어 어링이 발생할 부분이 아예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따라서 위 스샷의 세팅으로 수직 동기 사용으로 인한 일말의 리소스 저하, 인풋렉 증가를 완전히 제거 할 수 있습니다.




3. 프레임 제한 하기

수직동기화를 비활성화 화면 모니터 주사율만큼 프레임 제한 되던게 풀려버립니다.

프레임 제한이 풀려 버리게 되면 그래픽 카드는 한도 없이 일을 하게 되고,
GPU 점유율 99%를 찍어 프레임 저하와 인풋렉 증가라는 부작용을 불러옵니다.

따라서 수직동기화를 풀었다면 직접 적절한 프레임으로 제한을 걸어주어야 합니다.

이때 적절한 프레임이란 본인의 모니터 최대주사율로 제한하라는 말이 절대 아님.

적절한 프레임이란 인게임 플레이시 평균적으로 유지되는 프레임을 말하는데,
본인 모니터의 주사율이 144hz라 하더라도

실제 인게임에서 144프레임을 유지하는 경우는 정말 하이엔트 스펙의 컴퓨터가 아닌 이상
캐릭터 선택창이나 프리시온에 혼자 있을때 빼고는 거의 없을 겁니다.

인게임 플레이시 90~120 프레임 정도 왔다갔다 한다면,
90프레임으로 프레임을 제한하는게 베스트.

이렇게 하면 화면 프레임의 출렁임이 사라져 균일한 인풋 딜레이 값이 유지되고, 
훨씬 쾌적한 조작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4. 마지막으로 인게임 옵션 조절하기
- 인게임 옵션에는 CPU 점유율에 영향을 주는 옵션과 GPU 점유율에 영향을 주는 옵션이 나뉘어 있습니다.

CPU 점유율에 영향을 주는 옵션 순위
1. 후처리 옵션 4종 세트
2. 파티클

GPU 점유율에 영향을 주는 옵션 순위
1. 그림자 (최상>상>>>>>>중>>>>>>>>>>>>>>>>>>>>하)
2. 계단 현상 제거
3. 간접 그림자

각자 컴퓨터 사양이 달라서 하나의 옵션으로 '이게 최선이다' 라고 말할 수 없지만
일단 후처리 4종 세트와 파티클 옵션은 끄거나 최하로 낮추고 시작하는걸 권장.

그 다음으로 그림자는 왠만하면 '중'으로 두는게 유리함.
'상'과 '중'은 그림자 해상도에서 다소 차이가 나지만 그에 비해 프레임 하락도 매우 큼.
본인이 저사양이라면 가장 먼저 낮춰야할 옵션이 바로 그림자 옵션입니다.

계단 현상 제거도 '높음'과 '낮음'의 GPU 점유율 차이가 매우 큰편인데,
'높음'과 '낮음'의 차이는 텍스쳐 선명도 말고는 없습니다.

이 글을 따라한 사람은 이미 NVIDIA 제어판에서 선명화를 0~30% 가량 적용했을 것이므로
'낮음'으로 사용하는걸 권장.




5. 마지막으로 비교 스샷



좌측이 순정상태 / 우측이 본문 내용 적용 상태
우측이 GPU 로드율 대비 최대 프레임이 조금 더 높게 나오는 상황

물론 실제 플레이 시에는 저기에 프레임 제한을 걸어서 GPU 로드율이 저렇게 높게 치솟도록 놔두면 안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