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한 레이드를 처음부터 찍어보고 돌려본건 처음인데 다시 보니 부끄러울 정도로 실수한 부분이 많더라구요. 왜 영상을 다시 보고 피드백을 해야하는지 크게 체감했습니다. 이런걸 올리고 공략을 써도 될까 말까 고민 했는데 그래도 트라이 하시는 분들한테 조금은 도움을 될 수 있겠다 싶어서 적어봅니다.




1. 오프닝
- 만나고 나서 체력의 5퍼정도를 까거나 일정 시간이 지나면 첫 구슬을 소환한다. 앞방향 부채꼴 충격파를 쓰지 않는 구간

- 구슬 소환 전까지의 패턴은
1)제자리 앞발 찍기
2)꼬리 찍고 옆으로 휘두르기
3)전진하며 앞발 찍은 후 제자리 꼬리 찍고 옆으로 휘두르기
4)전진하며 앞발 찍기 두번
5)백스텝 - 어글자가 칼엘 본체에 가깝게 붙으면 발동

오프닝의 딜 타임을 잡는 방법은 두가지
- 가깝게 붙지 않고 3,4 번 패턴에 버프를 몰고 딜한다
- 만나자마자 모두 가깝게 붙어서 백스텝을 한번 빼고 딜한다
- 백스텝을 한번 빼고 딜 하는것이 안전하고 공팟에서 할 경우 확실히 붙어달라고 오더가 필요함
(하지만 공팟은 안되는 경우 많음)

*이후 구슬 소환모션을 시작하며 딱 이 구슬 소환의 경우에만 칼엘 본체에 딜이 박히지 않으므로 구슬 처리를 우선한다.



2. 첫 구슬 소환 이후 ~ 구슬 무력화 패턴
- 앞서 있던 패턴에 돌진, 앞방향 부채꼴 충격파, 어레기 등의 패턴이 추가된다
- 가장 큰 딜 타임은 어레기 패턴이며 반드시 버프 콜을 하고 버프를 몰아서 딜을 한다
- 쿨타임이 맞지 않아 스킬을 돌리고 싶을때는 구슬 소환때 정도가 그다음 큰 딜 타임이다.

- 오프닝 구슬 소환 이후의 구슬 소환 패턴부터는 본체에 딜이 박힌다
- 본체에 가깝게 붙으면 높은 확률로 백스텝을 쓴다. 패턴을 쓰고 있는 중이 아니라면 상황을 봐서 붙어야 한다
- 구슬 소환 타이밍도 딜 타이밍은 맞지만 소환 모션이 끝날때 쯤엔 백스텝 방지를 위해서 본체에서 떨어져야 한다

- 위치에 따라 대략 16분 10초~40초 사이 정도면 무력이 되며 구슬 무력화 패턴이 시작된다. 
- 딜이 좋거나 구슬을 많이 먹은 경우 위의 시간보다 더 빨리 시작할 수도 있다.



3. 구슬 무력화
- 센터를 확실히 비워야 한다. 본체가 떨어지고 나면 바로 붙어서 무력화가 큰 스킬을 본체에 넣어주고 자리를 잡는다.
- 각자 맡을 지역을 확실히 정하고 시계 방향으로 지원을 가는것을 기본이다

- 바드의 경우 노란구슬 처리가 힘드므로 바드의 반시계 방향에 노란구슬 처리가 빠른 사람을 두는 것이 좋다
ex) 바드 - 3시, 노란구슬 처리가 가장 빠른 사람 - 12시. 그 사람이 노란구슬을 처리하자마자 시계 방향에 있는 바드 헬프를 가는 것이 베스트

- 검은 구슬이 몇 개 나오는지 콜을 해주면 좋다. 검은 구슬은 각 위치에서 2개 또는 3개가 나오며 검은 구슬 3개가 나오는곳에서 반드시 노란구슬 2개가 나온다

- 노란 구슬이 생성되는 패턴은 3가지다
1) 2 / 2
2) 1 / 2 / 1
3) 1 / 1/ 1/ 1

- 검은 구슬 3개가 나오는 곳이 두곳이라면 그 두곳에서 노란구슬 2개씩 나온다 (2/2)
- 검은 구슬 3개가 나오는 곳이 한곳이라면 그 곳에서 노란구슬 2개가 나오고 양 옆으로 노란 구슬 1개씩 나온다 (1/2/1)
- 검은 구슬 3개가 나오는 곳이 한곳도 없다면 4방향에서 노란구슬 1개씩 나눠져 나온다. 모두 나눠져서 하나씩 맡아야 한다 (1/1/1/1) (영상에 해당)

- 노란구슬 처리후 잔구슬(검은구슬)이 나올때 무력화가 좋은 직업군은 본체에 계속해서 무력을 박아주고 나머지가 잔구슬을 맡는것이 좋다
- 암폭은 모션이 나올때 약간 미리 던져도 괜찮다. 하지만 버프는 확실히 맞춰서 딜을 해줘야 한다. (영상에선 60퍼 방깎이 있으므로 암폭 사용x)



4. 구슬 무력화 ~ 광폭화
- 더이상 구슬을 소환하지 않는다. 일정 수치 이상의 무력을 쌓아주어야 한다
- 시간이 생각보다 짧으니 집중해서 딜과 무력을 넣어야 한다.



5. 광폭화
- 처음 로브 타이밍은 파티창을 보고 있다가 드리블러가 로브를 쓰는 타이밍에 같이 쓰고 들어간다.
- 처음 황금 뇌운은 대체로 여유가 있으나 상황에 따라 두번째 황금 뇌운은 시간이 촉박한 경우가 생길수 있다
- 시간이 빡빡한 경우 미리 로브를 쓰고 가깝게 대기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 황금뇌운을 맞췄는지는 파티창의 광란효과를 보면 알 수 있다(단 주레 풀연마가 아니면 광란효과가 없음)

- 황금뇌운을 4명이 모두 2번씩 다 맞춰도 부파 기믹이 안 뜨는 경우가 있다
- 누적무력이 부족한 경우이며 추가 무력화를 넣어주면 대체로 부파 기믹이 시작된다 
- 추가 무력화를 넣을때 부위파괴 스킬은 쓰면 안된다

- 누적 무력이 많이 부족한 경우 파티원 중 한명이 급소타격 각인을 하고 오면 대체로 해결된다(영상에서도 무력이 부족해서 한번 실패하고 그 뒤로는 배마님이 급소타격을 끼고 가셨음)



6. 부위파괴
- 부식은 미리 대기하다가 넘어지는걸 보자마자 바로 던져야 한다. (부위파괴 동그라미 표시가 뜨기전에 던져도 적용됌)
- 딜레이가 큰 스킬은 미리 대기하다 원이 뜨는 순간에 맞게 들어가게 하는것도 좋다( ex 쿼드라)
- 폭탄의 부파수치가 매우 높으므로 반드시 원이 뜨고 난 뒤에 정확히 던져야 한다

- 부파를 하는 도중 주위로 노란뇌운이 계속 떨어지므로 피하면서 부파를 해야 한다
- 특히나 음파진동이 깔린곳에 노란뇌운이 떨어지면 구별이 매우 어렵다
- 그렇기 때문에 부파수치를 약간 여유있게 맞춰가는것이 좋다



7. 부위파괴 이후 ~ 도망가기까지
- 바드의 역량에 따라 달라지지만 대체로 3버블을 모으기는 쉽지 않다. 
- 구슬 무력보다는 딜 타임이 매우 짧다. 다만 이후 패턴들이 비교적 단순하므로 무난한 딜 타임이 많이 나온다.

- 랜덤 큰 점프가 나온다(영상 6분 20초)
- 랜덤 큰 점프와 어레기는 주위 뇌운장판이 소환되는 속도를 보면 알 수 있다.
- 랜덤 큰 점프는 주위 뇌운이 매우 빠르게 생성되며 이속이 빠른 경우 걸어서 피해지기도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개인적인 추천각인
- 원한2/부뼈2or분쇄2

스킬트리
- 422 스트림 포카드
- 스킬트리는 본인 입맛에 맞게 가도 상관 없습니다. 다만 포카드를 안 쓰는 경우 조합에 따라 무력이 매우 부족해질수 있음


어레기 타임이 가장 딜하기 좋은데 경우에 따라 어레기가 계속 안나오기도 함. 센스 있는 바드라면 쿨을 보고 상황에 맞춰 구슬 소환 타이밍에 버프를 주겠다고 콜을 하고 주기도 하는데 그때는 바드를 따라가면 되고 그게 아니라면 쿨이 좀 놀더라도 가급적 버프 타이밍에 맞추는게 좋음.

*삼각스트림을 쓰는데 
파티원이 구슬처리를 잘한다 >> 이보크 쓰는 타이밍에 버프+스택 용으로 쓴다
파티원이 구슬처리를 못한다 >> 같은편 구슬 커버용으로 쓴다. 경우에 따라 센스껏 벽에 붙었을때 커버용으로도 좋음

*도태,운수는 필수 키핑 카드고 마땅치 않을때는 심판,부식등도 딜 증가가 쏠쏠하므로 챙겨둔다. 뒤운은 아시다시피 도아니면 모


*부파 넣는 콤보는
넘어지자마자
이보크 - 쿼드라4타 - 폭탄 - 리턴2타 - 포카드 1타 - 스크래치2타 - 이보크 펑 - 엣지 - 시가 - 엣지

쿼드라 4타에 관통이 묻어나가므로 미리 시전해놓으면 원이 생길때 거기에 맞췃 4타를 넣으면 됌
리턴은 2타에 포카드는 1타에 스크래치는 2타에 묻어나가므로 포카드를 미리 3스택을 맞춰놓고 들어가는게 좋음

*드리블은 회피기, 스크래치(이동거리트포 아니어도 됌), 엣지(거리증가는 필수. 이속증가도 있으면 편함. 필수는 아님)
저 3개로 큰 점이 다 피해지므로 쿨타임 보며 적당히 피하면 됌

*드리블 전에 유령이 뽑히면 유령 아껴두고 파란뇌운 맞기전에 쓰면 파란뇌운,황금뇌운 데미지 반으로 줄일수 있음
사이사이 딜 타이밍이 나오면 이보크+포카드로 무력화랑 카드뽑기를 하면 좋음.

*영상에서는 딜욕심을 좀 내서 아드를 들었는데 사실 강화제압 써도 크게는 차이가 안나는듯. 물약 소모 아까우니 그냥 강화제압 드셔도 무방. 



드리블할땐 강제로 21:9를 해서 그런건지 아니면 유튜브에 올라가는 화질이 원래 저런건지 여튼 화질이 안좋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