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략에 앞서 편의를 위해 음슴체를 사용하겠음.
점수가 낮으면 신빙성이 떨어지므로, 점수인증




먼저 고대의 의지는 날움,역습으로 대체할수없는 효율 넘사벽 무조건 껴야되는 문장
이걸 안끼고 점수올릴 생각을 했다면 잘못된 생각임
아덴 수급량 자체가 달라짐



일주일 전까진 고대의마력을 사용했지만, 요즘메타에 잘 맞는것은 정령친화라고 생각해서 바꿈
오쉬에만 불이 들어와있는 상태에서 쏜살로 1버블을 수급해주면 바로 피닉스를 날릴 수 있음



이건 머 설명만 읽어봐도 왜끼는지 알 것이라 생각함
딜보충을 위해 낌


★스킬트리 (각성기는 바그론)


쏜살 1트포 축적된기운은 버블수급용이니 당연한거고, 
2트포 마법사의 지혜도 당연한 것임.
그 이유는 옆에서 팀과 적군이 싸우고있는데, 아군이 판정을 져서 넘어지고, 맞기 직전인데 
옆에서 쏜살을 쓰고있다가 도중에 끊고 도와주자니 버블이 아깝고 
쏜살을 끝까지 캐스팅하자니 아군이 맞고 빈사상태가 될 수가 있음
그러므로 쏜살은 최대한 짧게 캐스팅해서 버블을 수급하는게 중요함.



마질은 1트포는 불타는을쓰든 폭풍을 쓰든 알아서 할 것이고 2트포에서 많이 갈리는데,
본인은 무조건 붕괴의 질주를 추천함.
마질을 쓰고나서 소멸될때 약경직 판정의 잔류지대가 남는데 
이걸 간과한 상대방이 밟고서 경직이 걸린상태로 버벅이면 공짜로 캐치를 할 수가있다.
또 두번째 이유로 마질은 딜링기가 아니라, 팀커버용,본인 생존용으로만 써야된다.
아군이 상대를 캐치한 후 패고있는데, 심심하거나,딜을 하고싶어서 거기에 마질을 날리는 행위는 잘못된 행동임
그래서 약포는 필요없음. 
또 쾌속마를 찍는다고해서 적이 멀쩡히 걸어다니고 있는데, 맞출 수 있는스킬이 아니므로 패스함



1트포 교감은 써보면 알게됨 딱히 쿨감 의식하고 있지않아도, 가끔 기상기나 이동기가 쿨이 엄청 짧아진다거나,
대붕 마질쿨이 짧아서 다음쿨을 빨리 돌릴 수 있거나 등등 여러모로 이점이 많다. 



파우루 교감을 사용하면서 조금더 마나소모템포가 빨라지는데, 이를 해결하기위해 1트포 마력조절을 찍음.
모래바람은 적을 다운시키기 위해선 필수



이건 뭐 설명할필요 없을듯 다들 이렇게 찍을테니



냉무



대붕을 화염이냐 동결이냐로 많이 의견이 갈릴텐데, 논할가치도 없이 빙결이라 생각함.
화염을 찍을경우 들어온 적이 피면기로 씹으면서 버텨버리면 생존이 안될뿐더러,
아군이 적에게 맞고있는 상황에 상대가 피면+딜링기를 사용한다면 커버를 해줄 수 없음.
예를들자면 
피니쉬 스트라이크 / 연환파신권 / 아덴을 킨 후 버캐를 쏘는워로드 / 블레이드(얘는 피면떡칠이라 화염으로 커버불가)
/퍼펙트 스윙
등등 여러가지 상황이 있겠지만, 화염으론 커버할 수 없는거를 커버가 가능하단 점에서 무조건 동결을 찍어야한다봄



슈르디 트포도 다 이렇게 찍을테니 넘어감.

★ 특성 (신특 5:5비율 ) 본인은 특화621 신속 727 치명169 사용중
꼭 똑같이 따라할 필요는 없고, 신속 600~700 특화 600~700이면 충분하다 봄
특화를 높게주는 이유는, 무조건 피닉스를 빨리채워서 많이 날리기 위함임




서머너의 색깔이 노란색이고, 파란색은 아군, 빨간색은 적군임
서머너의 위치는 항상 적군을 마주보고 아군의 등뒤여야함.
진형이 바뀌어도 마찬가지임



싸움이 진행됨에 따라 진형이 계속 바뀌더라도, 상대위치와 아군위치를 파악해서,
무조건적으로 상대가 아군을 뚫고들어와야 서머너를 물 수 있는 위치에 자리를 잡아야함.

이런식으로 자리를 잡음에 따라 가져갈 수 있는 이득을 말해주겠음
상대가 아군안쪽에 자리를잡은 서머너를 물기 위해서는 아군 두명을 뚫고 들어와야 가능함
따라서 서머너를 물기위해선 무리를해서 진입기를 사용해 들어오는 것이기 때문에
진입기가 빠진 상대방은 대처하기가 상당히 쉬움
때문에 골드/플레 구간까지는 이것을 간과하고 상대가 서머너만 잡겠다고 들어오다가, 불나방이 되기때문에
서머너가 플레구간까지는 실력에비해 날먹이라는 소리가 나오는것임

하지만 점수대가 올라가고, 다이아 이상부터는 상대가 아군 두명과 먼저 싸우는데,
본인이 플레이를 하면서, 내가 유독 많이물리는데, 아군이 케어를 안해주는거 같다고 느낀다면
아군이 잘못된것이 아니라 본인이 잘못된것임
위 그림과 설명을 참조해서 자신의 포지션이 잘못 됬다는것을 깨달으면 됨

위의 그림처럼 포지션을 잡으면 서머너는 케어받는 입장이 아니라, 아군을 케어해주는 양상을 띄게됨
그 이유는, 서머너를 물기위해선 아군 두명을 뚫고와야 되므로,
앞에있는 아군 두명을 먼저 상대하려 할것임
그럼 자연스럽게 아군 두명이 먼저물려서 적과 싸우고, 
서머너는 뒤에서 아군을 케어해주는 양상이 나옴

이런 구도에서 핵심은 아군이 판정을 이겨서 적을 넘어뜨렸을때, 마질 대붕을 딜용으로 사용하지 말라는것임
마질 대붕을 사용할 타이밍은 무조건적으로 상대가 아군을 넘어트려서 공격하기직전,
상대를 끊어주는 용도로만 사용해야함.
그외에 또 서머너들이 가장 많이하는 실수 중 하나인데,
근접캐릭이 달려올때 스페이스를 쓴 후, 달려오는 방향쪽으로 마질을 날리는 경우가 많은데,
근접딜러는 본인의 진입기를 서머너가 스페이스로 피했을때, 서머너 주위에 누군가 지키고있다면
절대로 추가로 진입하지않음.
여기서 마질을 써도 무빙으로 피해 돌아가므로, 결과적으로 마질만 허공에 날리게 됨

그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느냐? 
근접딜러의 진입을 스페이스로 피한후, 무빙으로 쭉 빼주면서 아꼈다가
상대가 포기하고 아군을 패러갈때, 조심스럽게 따라가서 치고박고 있는상황에 마질을 써주면,
상대가 자연스럽게 다운이 빠지면서 아군과함께 패죽일수 있는 구도가 나옴.

그 외에 쏜살은 쿨마다 사용해서 아덴을 채우고, 아군이 판정을 이기면서 싸우고 있는쪽에는, 
가서 마질 대붕은 아낀채로 엘시드를 박아주고 파우루를 터트려주면 서머너의 역할은 끝이난다 볼수있음.

또한 상대방에 창술이 있는데, 아군을 투다운을 시킨후 딜링을 하지않고, 뒤로빠진다면
적룡포를 꽃기위한 안전거리를 확보하러 가는것이므로 쫄지말고 끝까지 따라가서 적룡포를 끊어주어야하고,

데헌 퀵샷에 경직된 아군이나, 아르카나에게 플라워 1~2타를 맞기시작한 아군을 3~4타의 아픈딜링이 들어오기전에
방출이나 마질로 피격시켜서 케어해주는등 3:3 팀게임인이상 무조건적으로 아군이 나를 케어해주듯이
나도 아군을 케어해줄 능력을 갖춰야함.

그리고 이건 서머너의 승률지분중 절반이상은 먹고가는 팁인데,
사실 위의 내용은 다필요없고 많이죽어도 승률 5할은 나오는 방법이
피닉스를 잘맞추는것임.
아덴은 무조건 오쉬 알리마지 따위에 쓰지말고 'only 피닉스'
이게 핵심임

실제로 1900~2100점대에서 못올라가는 서머너분들 플레이보면 피닉스 잘 안날리고,
오쉬 알리마지로 버티는식으로 플레이하는데,
2300 이상분들은 거의 무조건적으로 피닉스만 날리고, 또 잘맞춤
오쉬와 알리마지로 버텨야되는 상황이 나온다는 것 자체가 
자신이 아군의 등뒤로 포지션을 잡지않고,
상대가 물기좋은 위치에 혼자 동떨어져 있었다는 뜻임.
포지션만 잘잡으면 물리지않으므로 오쉬 알리마지 쓸일이 없음

피닉스 맞추는법은
일단 피닉스를'잘' 맞춰야된다는 전제를 깔고가므로, 
대치상황에서의 '아몰랑' 허공피닉스는 절대 하면 안되는 짓이고

여러가지 상황을 나열해 보겠음

(1) 아군이 경직기로 상대를 묶었을때

호크 - 이베,블레이드스톰
데헌 - 퀵샷
기공사 - 섬열파
아르카나 - 셔플
블레이드 - 어퍼슬래쉬 (공중피격판정이 오래지속됨)
창술 - 반월섬 (공중피격판정이 오래지속됨)
블래스터 - 게틀링건

(2) 투다운이 빠졌을때
이건 뭐 당연한 상황이니까 적이 투다빠졌을때 쓰면됨.
가장 좋은방법은 투다운이 빠진적을 상대가 케어해주러 올것이기때문에,
다운되있는 적을 맞추면서, 케어해주러 오는 적을 맞출 수 있는방향으로 날리면
피닉스 대박이 날 확률이 높다.

(3) 아군이 위험할 때
아군이 투다운이 빠진상태로, 상대가 딜링을 해야되는 상황만 남았는데,
여기서 상대에게 피닉스를 날려주면, 상대입장에서는 둘 중 하나의 선택을 해야만한다.
딜을 넣고 피닉스를 맞을건지
딜을 포기하고 피닉스를 피할건지
선택을 강요하므로, 아군세이브or피닉스확정의 결과를 뽑아낼 수 있으므로,
피닉스를 사용하기에 상당히 좋은 상황에 속함.

(4) 상대 원거리캐릭이 원거리스킬을 사용할 때

기공사 - 섬열파
호크 - 스나,차징
아르카나 - 셔플
데헌 - 라이플
적 서머너 - 대붕 (후딜이김)

상대 원거리캐릭이 자신이 안전하다고 판단되는 위치에서, 위의 나열한 스킬들을 사용하기 마련인데,
그때 뒤에서 저격식으로 피닉스를 날려주면 십중팔구는 맞출 수 있다.
가끔 피하더라도, 상대가 스킬을 끊고 스페이스로 다급하게 피한것이므로,
위의 스킬을 맞을뻔한 아군을 세이브 할 수있음.

피닉스는 맞추기만 하면 딜량도 엄청나므로, 위의 나열한 상황에 사용하면,
아군을 케어하고, 상대의 스킬까지 끊는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무조건 오쉬 알리마지 쓸 아덴을 모아서 '피닉스'만 사용해야함
피닉스만 잘 맞추면 손쉽게 점수에 우위를 가져가면서 게임을 이길 수 있음.

직업별 상대법은 이제 상대하기 힘든직업이 없을정도로, 나름 숙련이 된상태라 적을 순 있지만,
나의 기준에서의 상대법을 똑같이 상대하라고 강요할 수는 없고, 또한 개인의 역량차이라 생각함.
위에 적은 기본적인 틀에서 행동하면서 포지셔닝만 잘잡고, 피닉스만 잘 날려도
기존에 힘들었던 상대가 쉬워지는 것을 경험할 수 있을거라 생각함.

그 외에 직업별 상대법이나, 생존에 관해서는
본인이 자주 죽는다싶으면, 기상기를 넘어지자마자 바로 일어난다던가, 너무 남용하지는 않는가를 잘 생각해보길바람.
기상기는 아낄 수 있을때는, 무조건 아껴야함.
내가 본 1000~2200점 까지의 대다수 서머너가 원거리스킬을 맞고 넘어졌는데도 바로 일어나는등,
너무 남발하다가 정작 필요할 때 쿨이여서 죽는 경우를 너무 많이 보았음.
기상기는 꼭 바로쓰지 않고 아껴도 된다는것을 참고하고, 염두해두면서,
어느상황에 아껴야 될 것인지, 어느상황에는 꼭 써야될 것인지를
생각을 하면서 연습을 하다보면 3데스할거 2데스하고, 2데스할거 1데스 할수있음.
그리고 특정직업이 힘든직업이 있어서 상대법을 꼭 듣고싶은 직업이 있다면, 우편이나 댓글로 질문주면됨
참고로 기공사는 상대법없음. 기공사가 점수가 나보다 높다?
그러면 내팀에 빡고수 인파,창술,배마가 있지 않는이상 포기하면됨
캐릭이 사기임 기공사 상대법으로 질문하지 말아주길 바람.
기공사 상대법은 내가 그기공사보다 점수높고 잘할경우에만 통함.
저도 헬린이님 야몬님 훈서님 유가을님 리세님 바흔투르님 재앙님 등등 만나면 개발리니까 글케 아시면댐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