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값: 치600 특1500 신300
           원돌질기오아1 달인 / 552 쌍바축 세팅

목적1. 족쇄와 실전성에 관련하여 이상적인 딜사이클과
            트포,보석,룬 조합 연구.

목적2. 인벤 스트라이커 게시판에서 칭찬받기


도와주신분: 베아트리스 , 가마분타 , 소나벨  , 루메루스


---‐-----------------------------------------------------------------------------

돌질 최대효율을 위해 쌍바축 운영으로 진행하되,
사이클내 쿨정렬, 안정적인 버블수급을 목표로 잡았지만,
역시 실전에서는 구간별 로스값이 상당함을 느낌.


딜사이클

운 붕 폭 / 번 뇌 / 나 호 / 붕 풍

폭쇄 스타트로 두번째 사이클의 쿨정렬이 용이해짐.
붕천뒤에 폭쇄 뇌호격이 연달아 들어가고
호왕전에 나선경으로 바축 업타임을 갱신
이후 붕천으로 버블수급+ 바축갱신후 1.9초 풍신완성

단점 : 폭쇄가 사이클의 시작임에 따라
         소중한 백각에서 주력기 뇌호격 호왕의
         쿨밀림 현상이 강제됨.


가장 부드러운 사이클이지만
실전에서 생각보다 딜로스가 굉장히 많은 사이클.
붕천4초안에 폭쇄 > 백포지셔닝>번뇌가 굉장히 빠듯함.

정적인 패턴을 수행하는 레이드나 확정 딜타임용 사이클.
워로드 디트와 시너지 좋음.

패턴이 모 아니면 도 수준의 가르가디스같은 미친새끼에게
딜편차가 굉장히 큼.


+ 첫번째 사이클 이후 운룡각을 이동기가 아닌
  버블용으로 사용 할 경우,
  두번째 사이클의 붕천퇴와 나선경이 비슷하게 돌지만
  바축관리를 위해 1사이클 1나선경을 추천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운 붕 번 뇌 호 폭 / 붕 나 운 풍


기존 정배 사이클로 뇌호 호왕의 쿨밀림 없는
가장 안정적인 사이클이지만,
실전기준 폭쇄가 바축이나 번속업타임에서 제외되는
딜로스가 필연적으로 발생함.

실전기준 쿨압박이 제일 적은 사이클이지만
운룡각을 버블용으로 사용해야 하는 치명적 단점 존재.


+ 두번째 사이클 전에 평타구간이 존재 한다면
붕 번 사이에 나선경이 들어가고
1사이클 2나선으로 고점운영 가능.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운 붕 번 뇌 호 폭 / 붕 나(행버) 풍

나선경에 바축을 빼고 행버를 채용한 사이클.
행버가 터지면 붕천 4초안에 풍신 1.9초가 가능.

1사이클 이후 운룡을 버블기로 사용 할 경우
두번째 사이클 번속 전에만 나선경을 사용(버블 누수)

2사이클
붕 나 번 뇌 호 / (짤평타1~2회) 폭 / 붕나풍 or 붕풍운나


나선경의 바축을 빼더라도 붕천만으로도
돌질의 족쇄는 파훼가 가능함에 착안한 사이클.

행버가 터진 기준으로 1사이클을 폭쇄로 시작하지 않아도
쾌적한 사이클이 완성되고 ,행버가 터지지 않았더라도
운룡각- 풍신연계로 사이클 리스크가 없음.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기존 4오의+격호 , 방천으로 실험결과

사이클은 운붕번뇌호폭 / 붕(격or방)풍으로 진행.

격호각 5렙 딜트포3개 ,
방천격 5렙 딜트포2개 , 1렙 치적트포1개

특화1500 기준 단일 데미지 나선>방천>격호
약100만~200만씩 차이(dps아님)
버프로 인한 차이폭은 벌어짐

방천격은 번속업타임에서 제외됨으로
치적30트포(1렙)로 확정치명
단점인 긴 쿨타임은 실전기준 늘어짐이 거의x

격호각은 치적트포 사용시 데미지 기대값이 매우낮음.
방천격은 트포구성이 우수하고 라제운용이 가능함.


Dps자체는 격호가 우세하나
가토를 제외한 레이드에서는
길어야 두사이클 돌리면 기믹으로 떠나는 경우가 많아
방천격이 생각보다 쓰레기는 아닌듯 싶음.




그리고 이걸 모바일로 쓴 내가 제일 레전드.
가독성 ㅈ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