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스커가 하도 재미없어서 배럭들 두루두루 올려주고 있는데
다배럭 굴려 보면서 스커였다면 스커라면 이런생각 많이 하곤 했네요.

오의개편으로 스커인식이 올라왔다? 
사실 개인적인 체감상 그건 아니다 싶고

혐오프레임 중심타선을 굳건히 지키고 있던 와중에
여러직업의 밸패와 더불어 로아온 뇌절등 혼란스러운 시기가 맞물려서

그냥 전체적으로 관심도가 떨어진거라고 봅니다.
스커보다 센놈은 있어서 또 사기반열로 몰아가긴 애매하고
라제관리 및 기믹유기 프레임은 조금 진부해진 밈이 된것도 크구요

사실 두서없이 쓰는 글이라 어디로 샐지 모르겠지만 
다캐릭을 굴려 보면서 느낀 스커를 거르는 이유 몇개만 늘어놔 보려고 합니다.

약코는 할 생각 없습니다. 스커 지금 성능 좋잖아요.
맨날 똑같은 스킬 똑같은 딜구조에 하탑 가르가디스가 좀 불쾌해서 흥미가 떨어지는게 큰거죠.
(하탑 1관문은 진짜 개새끼 맞음)


1. 카운터

아시다시피 백사멸은 결과적으로 숙련도가 올라갈수록 백포지셔닝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지고
사이클의 핵심인 카운터스킬(붕천퇴)가 놀고있을 여유도 없는지라
카운터 수행력으로만 봤을 때 당연히 떨어지는게 당연한 순리라고 생각합니다.

기본적으로 어글탐색 구간에서 본인을 바라본다면 어그로를 그대로 잡아주는 딜러들은 
워디제외 거진 없다고 생각합니다. (본인이 그렇다면 압도적으로 감사합니다)
최소한 딜욕심이 있는 딜러라면요.

닥셀,나메같은 넘어다니는 스킬이 없고 건슬데헌처럼 다수의 이동기를 쓸 수없는 뚜벅이 특성상
스페나 운룡의 유무에 따라,

어글타이밍에 백을잡고 패턴과 패턴끝자락까지 딜스킬을 1개내지 2개이상 털어줘야 dps상 누수가 없으니깐요

타대라면 어글고정까지만 횡이동 이후에 마침 카운터전조를 포착하고 수행하는 경우가 많지만
스커는 백위치에서 머리로 이동하기에는 불가능한 경우가 더 많죠.

쿨짧음, 즉발, 전진성을 가지고 있는 좋은 카운터스킬을 가졌음에도 어쩔수없는 뚜벅이 백사멸이기 때문에
카운터를 대놓고 노리고 있기에는 구조적으로 본인의 dps를 포기해야 하는 딜레마가 있습니다.

이러한 딜구조와 포지션 문제로 스커 카운터의 기대값은 매우 낮을 수 밖에 없는건 사실인듯 합니다.

전조가 확실한 카운터, 확정카운터가 있는 관문들은 꽤나 다행이지 싶습니다.
+나선경은 음....



2. 세우라제 인식

공대장 입장에서 세우라제 스커는 과연 +일까요 -일까요?
저는 글쎄요.. +요인이라고 보진 않습니다.

장기간 이어진 라제관리 프레임이 알박기를 제대로 해놓은 상황이고
세우마르는 백어택 성공시라는 조건부 카드셋입니다.

스커를 조금 알고있는 공대장의 입장에서 
내가받은 스커가 백타율이 박살난 지뢰스커라면 ? 이라는 첫번째 불안함과
라제관리를 할놈인가? 싶은 불안감이 붙어버리죠.

더 나아가서 파티지원 창이 수두룩 빽빽인데
내가 왜 이딴고민을 하지? 싶으면 칼거절 때리는거구요.

서포터가 힘들게 모은 남바30 창달30의 효과를 전혀 받지도 못하니 폿입장에서 떨떠름 한건 덤이겠네요

우리가 순간치적18과 상시10 치적시너지를 고려할때 대부분 상시치적을 고르듯
안정성이 높은 세구30보다 굳이 세우라제 딜러들을 데려갈 이유는 딱히 없어보입니다.



3. 시너지

위에 두개는 제 개인적인 사견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순간치적 시너지는 인식에 악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순간치적 시너지는 신속60부근의 극특세팅을 기준으로도 상시치적과 비슷한 효율을 보입니다.
하지만 상시치적과는 달리 조건의 조건의 조건부가 붙게 되는데요
순간치적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너무 많은 조건이 필요합니다.

1. 스커의 번속 사이클과 비슷한 딜구조의 딜러군
2. 자체치적 82퍼 이하의 딜러군
3. 번속이후 6초간 최소한 딜링을 유지 할수있는 패턴의 억빠요소 
4. 돌아온 번속쿨을 처리 할수있는 상황(패턴)
5. 보장된 확정 딜타임

당장 생각나는 대로 적어도 꽤 많습니다. 
이중에는 스커 파일럿의 능력에 따라 파훼하는 요소들도 있겠지만
불가항력 요소들이 분명히 존재하죠.

자체치적 70언저리의 버스트는 분명히 치적을 달게 받지만 딜사이클 문제로 거의 없는 시너지가 되어버리고

극특 소서의 경우 분명히 치적을 달게 받지만 
근접/백딜러들이 손빨아야 하는 패턴이 중간중간에 끼어 버리는경우
조우 번속은 온전히 받더라도 그 이후 점화 타이밍에 운나쁘게 번속이 꺼져버리는 상황도,

자치적90+에 육박하는 치특분망은 오버치적 그 자체로 시너지 효율이 떨어지겠죠.
(물론 많은 직업들이 치적100이 고점인 경우가 많습니다)

한마디로 편차가 너무 극심하다는 결론입니다.

치적을 달게받는 직업과 아닌직업이 극명하게 나뉘는데
레이드 스타일에 따라 이마저도 효율이 뒤죽박죽입니다.

시너지를 받는 딜러의 입장에서는 머리가 꽤 아프겠지요
나와 딜사이클이 비슷하더라도 쿨타임이 다를테니 
긴 레이드 러닝타임에서 결국 나의 주력기 몇몇은 치적을 온전히 받지 못하는 상황은 이미 예견된 상황이고,
이건 그어떤 양심적인 스커라 할지라도 어찌할 방도가 없다는것두요.

이처럼 스혐의 프레임을 제쳐 두고 보더라도
기브 앤 테이크를 예민하게 여기는 공대조합에서 
딜러 입장에서 당연히 받아야 할 시너지를 두고 생각을 한번 더 해야한다는 불쾌감과
상황에 따라 없는 시너지가 될 수도 있다는 불안감 등

굳이 스커를 데려가야 할 이유는 없어보입니다.
(딜기믹 딜기믹 딜찍에서는 또 얘기가 다릅니다만)

같은 6초짜리 자버프인 레더는 파티원을 기준으로는 훨씬 더 넉넉한 시간의 피증시너지를 넣어줍니다.

Q. 아뉘 뛰발 버서커는 시너지가 없던거고~
   전체적인 지표상 평균5.xx% 준수한 효율이라서 그대로 냅두는 거겠지~

직업마다 딜구조가 제각각인 로아에 과연 이게 맞는 시너지 일까요?
주는사람은 미안하고 받는사람은 불안한 시너지는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결론: 창술 부럽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