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을 읽기전 참고 링크(안 읽으셔도 무방합니다)
물물교환에 대해서(수정본)
http://www.inven.co.kr/board/black/3584/44622



1. 점진의 기본 스펙과 이용

 오늘은 중범선으로 할 수 잇는 일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그 중에서도 제가 가지고 있는 점진으로써 물물교환의 기본 동선과, 물물교환시 체크사항을 알려드리려 합니다. 중범선 중 가장 많은 탑승물 가방과, 가장 높은 적재 무게량을 가진 점진은 물물교환에 특화되어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림1 : 출처 : [선박 도감] 200109 중범선 파템 추가 (http://www.inven.co.kr/board/black/3584/43169)

 기본 무게는 16,500LT로 균형 15,000LT, 용맹이나 비상 13,500LT에 비해 1500~3000LT가 높습니다. 중범선 녹템10강 기준으로 점진의 무게는 20,900LT로 상당한 무게를 자랑하죠. 그렇다면 이 무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1) 비과적 운영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많은 선주님이 '순수한' 선원을 씁니다. 이유는 가장 속도가 높기 때문이죠. 이 순수한 선원은 한 명당 200LT이며 5마리를 고용 시 1000LT를 차지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20,900LT에서 쓸 수 있는 공간은 19,900LT가 됩니다. 그렇다면 점진에 적재 가능한 물품의 수를 알아봅시다.

 (1) 5단 교환처 or 티그리스 섬 주변 4단 or 샤샤 섬 주변 4단 : 5단 or 4단 19개 = 19,000LT
 (2) 일리야섬 6시 웨이타 섬 -> 타라무라 섬 주변 3단 : 3단 22개        = 19,800LT
 (3) 벨리아 앞 바다 1단 or 2단 24개 = 19,200 LT

 1단이나 2단은 24개로 각각 4구역을 과적 없이 빠르게 다녀올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우리는 한가지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순수한 선원 한 명을 태우지 않는다면? 점진에 적재 가능한 무게는 20,100LT5단이나 4단을 20개 적재할 수 있습니다. 딱 20,000LT가 아니기에 약간의 잡템이나 선박 장비 무게 때문에 과적이 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이것을 활용한다면 일리야섬 좌측 5단 교환처 5군데, 혹은 일리야 섬 1시 3-4단 각 5개씩 10개를 과적하지 않고 한번에 다녀올 수 있습니다. 1500? 3000? 이나 낮은 다른 중범선으로선 애매한 수치가 점진으론 딱 알맞게 교환할 수 있습니다.


2) 과적 운영에 대하여

 비과적 운영에 대하여 알아봤으니 이제 과적 운영에 대해 알아봅시다. 과적은 선박의 장비를 포함한 최대 적재 가능 무게의 170%까지 가능합니다. 이때 속도는 101% 과적이나 170%과적이나 동일합니다. 녹템 10강 기준 점진의 최대 무게는 20,900 이므로, 최대 과적량은 35,530LT 에 이릅니다. 그러나 과적시 스킬을 사용하지 못하고,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쓰는데 사용처가 한정적입니다. 그럼 어떤 물품이 실리는지 알아봅시다.

 (1) 일리야 3시 티그리스 섬 주변 : 4단 34개 = 34,000LT + 선원 1000LT = 35,000LT
 (2) 일리야 1시 레라오 섬 -> 샤샤 섬 주변 2단 12개 + 4단 24개 = 9600LT + 24,000LT + 선원 1000LT = 34,600LT
 
 풀 과적 운영으로는 위 두 루트를 사용하며, 풀 과적이 아니지만 과적을 하는 경우는 일리야 6시 3단 교환을 하는 경우 정도 입니다. 그런데 (2)루트를 이용할 때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최대 적재량은 저 숫자가 맞으나, 2단 꽉꽉 4단 꽉꽉 적재시, 포르타넨 섬부터 과적이 시작됩니다. '아니 과적운영 한다면서?' 라는 의문이 드실텐데요. (2) 조합에서 4단 교환 1개를 뺀다면, 즉 3단 물품을 하나 뺀다면 (2단 12개 + 3단 11개 + 선원 = 20,500) 으로 포르타넨 섬에서도 과적이 되지 않고 아래 로즈반 섬이나 샤샤 섬 부터 과적이 시작 됩니다. 그래서 1개라도 더 교환 하고 싶으시다면 (1단 4개 3단 12개)를 들고 포르타넨 섬에서 부터 과적을 하시면 되고, 조금이라도 속도를 더 올리고 싶으시다면 (1단 4개 3단 11개)를 적재 하여 로즈반 섬에서부터 과적을 시작 하시면 됩니다. 

 비과적에서 과적으로 넘어갈때 쾌속순항중이라면 과적을 하더라도 먼저 진행되는 쾌속순항은 유지가 됩니다. 아래 움짤을 보시죠.


그림3 : 포르타넨 섬에서 과적을 하는 상황이다.

 분명 최대 무게 경고 문구가 뜨면서 과적으로 넘어가지만, 진행중이던 쾌속은 유지한채 나아가는 모습니다. 과적을 할때는 이 스킬을 최대한 활용하는것이 시간적으로 이득입니다(기분도 짜릿합니다).
 



2. 물물교환 루트에 대하여
 
 이전 글에서도 언급했지만, 루트는 개인적인 것이기에 본인이 효율적이라 여기는 루트가 있다면 그 방법대로 도시면 됩니다. 그리고 이 루트는 중범선(점진), 녹템10강에 맞춰져 있기에 해당 배가 아닌 경우에는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그림2 : 제가 도는 루트를 번호로 매긴 사진 입니다.
 


 1)일리야 - 마고리아 - 에페리아 - 일리야(1시간10분)
 
주의 : 점진 물물교환 1시간 10분짜리 참고용 영상이며 보지 않으셔도 됩니다.
해당 영상은 본인이 직접 물교하는 영상을 찍은것이고, 특별한 팁이 들어있지 않습니다


 어느정도 시간이 있을때 도는 루트 입니다. 루트의 기본적인 순서는 (일리야 -> 오킬루아의 눈 -> 마고리아의 별 -> 해적섬 or 에페리아 -> 일리야섬 -> 주변부) 입니다. 먼저 선착장에서 마고리아 물물교환품을 확인하고 출발합니다. 이후 다음 동선에 대해 파악합니다.

그림3 : 과적량을 계산하고있다. 

 해당 사진은 일리야 복귀후 1시 방향 물물교환을 어떻게 할까 계산하는 사진입니다. 1-2 물품은 1:1에서 1:3까지 뜨기에 항상 무게를 체크하면서 다니고 있습니다. 어느지점에서 과적을 시작할지, 1-2 세군데가 전부 1:3이면 3-4단을 어떻게 조절할지 체크합니다.


그림4 : 윈도우 메모장을 이용하여 물품을 적고있다.

 윈도우 기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미리미리 어떤 물품을 가져갈지 적어둡니다. 머리속으로만 기억하기엔 이제 제 머리가 좋지 않기 때문이죠. 이 프로그램은 (윈도우 검색 - 스티커 메모) 로 찾을 수 있습니다.


그림5 : 에페리아 동선을 체크한 사진이다.

 마고리아를 다 돌면 해적섬 위에 위치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2가지 루트로 나뉘게 됩니다. (1) 해적섬 위쪽을 통과하며 바로 일리야를 가느냐, (2) 에페리아를 들리며 물건을 보급하고 가느냐의 방법입니다. 이것은 마고리아에 천만이 몇개 뜨느냐와 에페리아에 5단이 몇개 있느냐에 따라 다르며 천만이 적게뜨고 5단이 적게뜨면 해적섬을 지나 바로 일리야로 복귀하시면 되고, 만약 천만도 많고 에페리아에 교환할 5단도 많다면 에페리아를 들려 에페리아-일리야 선상의 4-5단 위주로 적재해 교환해가며 일리야로 복귀하시면 됩니다. 위 사진은 일리야에 복귀후 테야말 섬 4단을 시작해서 5단을 최대한 바꿔가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림4를 보시면 맨 윗줄에 '모래시계2 창4 정제수1 단도4 선단4' 라는 문구가 있습니다. 이는 모래시계를 4단으로 바꾸면서 5단을 바꾸고, 정제수를 1:2 교환을 통해 3단 상자2개를, 이 상자2개를 4단 4개로 바뀐뒤 5단으로 바꿔가는 루트가 있기에 채택했습니다. 이렇게 단순히 4-5가 아닌 가는 동선에 위치한 1-5단을 보며 유동적으로 바꿔 교환하시면 좋습니다.

 일리야 복귀후, 바꾸지 못했던 남은 5단과, 주변부 물품을 교환했습니다.

총 소요 시간 : 1시간 10분
수익 : 천만3개 5단 8개 = 은화 2.5억 - 주화 6종 = 2.2억 + 주화 약 800주화
남은 교섭력 : 48,323 만약 하코번 주화가 높았다면 부캐로 다녀올 분량 + 8분




 2) 일리야 주변부 물교(30분)

주의 : 점진 물물교환 참고용 영상이며 보지 않으셔도 됩니다.
해당 영상은 본인이 직접 물교하는 영상을 찍은것이고, 특별한 팁이 들어있지 않습니다.


 시간이 많다면 매번 마고리아 돌고 하코번 돌면서 모든 물물교환을 하면 좋겠지만 사정상 그러지 못한 경우도 있습니다. 여자 친구의 손바닥이라던가 교수님의 과제라는 이름의 독촉장 같은 이유로 인해서 말이죠. 그래서 일리야 주변부 물물교환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합니다.

 (1) 먼저 일리야 왼쪽의 5단을 먼저 돕니다. 이때 5단으로 바꿀 4단을 교환할 3단이 있다면, 혹은 그 하위 물품까지 동선에 존재한다면 그 루트를 이용합니다. 해당 영상에서는 한번 출항에 5단 4종, 빛코발2개, 2-3단 1:3 1종, 0-1단 6개를 교환하였습니다. 딱 봐도 무게가 처음부터 과적이라 불가능해 보이지만 순서는 이렇습니다.
 4-5단 물품 3종 12개, 3-4단 물품1종 3개, 2-3단 1:3 1종 4개 으로 출발하여 먼저 4-5단 3종을 교환한 뒤, 영상 5분경 처럼 레마섬에 들려 5단을 팔아버립니다. 이후 3-4교환을 한 뒤 4-5단 1종 4개와 빛코발을 교환하였고, 2-3 1:3 4개를 교환 했습니다. 이후 남은 무게를 오면서 1단 6개를 넣었습니다. 그래서 최종 복귀 물품은 5단 4개, 3단 12개, 1단 6개 였습니다.
 이렇게 내해 루트는 가능한 무게를 계산하는 센스가 중요합니다. 매번 변수가 있기에 자꾸 해보시며 무게를 조절하시는 센스를 늘리시면 됩니다.

 (2) 이제 1시나 3시를 보며 필요한 물품을 교환하시고 끝내시면 됩니다. 과적을 한다면 위 과적 루트를, 비과적을 한다면 비과적 루트를 참고하여 도시면 됩니다. 해당 영상에서는 6시 3단 물품을 착각하고 4시쪽 5단을 따로 교환하면서 약간의 손실이 발생했는데, 19분 20초 쯤 2-3단을 잘못 가져가며 4-5단을 따로 가져가 교환하고 오는 실수를 했는데, 여기를 가지 않고, 3시 3-4단을 교환하며 복귀했으면 시간대비 교섭력에서 더 이득을 보았을 것입니다.


총 소요 시간 : 30분
수익 : 5단 7종 = 1.4억
남은 교섭력 : 35만 (영상에서 일리야섬 4-5단 교환을 안하여 영상속39만에서 -4만)





 분명 '재고가 있기에 5단만 교환하고 교섭력이 남은거 아니냐! 황납 10분만에 2억같은 소리하네!' 라는 분이 있을것 같으니 계산을 하자면 5단을 7개 교환하기 위해 필요한 교섭력은 총 55만 정도입니다(1:1~1:3 랜덤 비율은 약 1:2.8로 계산하고, 벨류+물물교환 숙련도16% 적용시 0단부터 5단까지 차례대로 교환했을 때의 필요한 교섭력의 총량). 이를 토대로 남은 교섭력이 35만이란는 것은 재고가 부족해지는 것이 아닌 오히려 '재고를 더 쌓으면서 5단을 교환했다.' 라는 것을 말합니다. 


이상으로 어느 점진의 물물교환에 대해서 적어보았습니다. 저는 물물교환을 일정 주화 + 은화 + 시간 3개를 전부 고려하기 때문에, 주화만 우선시 하는 일부 선장님과는 의견이 다를 수 있습니다. 만약 주화를 더 우선시 하신다면 주화만 먼저 다녀오시면 됩니다. 해당 루트는 지극히 개인적인 루트라는 것을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생각보다 많이 길어졌는데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