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코드 마다 방식이 다름

A 광고 : 대상의 검색 기록에 맞춘 광고를 보여줌 
( 한국은 쿠키가 대부분 자동 yes 라서 사람들이 모름, 북미, 유럽은 광고 띄우려면 쿠키 설정부터 함 )
( 요즘 해외 사이트 들어가보면 쿠키 뜨는게 다 이런 이유가 포함되어 있음 )

예시) 내가 쿠팡에서 운동화를 검색함

이 쿠키에 해당하는 광고 코드는 내가 엣지, 크롬, 앱 등 
어딜가든 운동화 관련 광고를 보여줄 확률이 굉장히 높음
네이버, 다음카카오 관련 사이트를 제외하곤 
대부분 구글 광고를 사용하기 때문에 어딜 가나 똑같이 뜸


B 광고 : 그냥 랜덤으로 보여줌 

이 경우 사이트 or 앱의 광고 게시자가 자동 광고 설정이 가능함

19금 광고 on 해두면 그냥 랜덤으로 뜸
광고 게시자가 off 를 해야 뜨지 않음
(디폴트가 on 임)

C 광고 : a랑 b 섞여 있어서 검색기반과 랜덤을 섞어서 보여줌

D 광고 : 어? 니가 운동화를 검색했어? 

그럼 운동에 관심이 있겠네? 
운동 관련 된거 다 띄움 (운동기구,닭가슴살 등)


아는 분이 딴게임에서 로아와 비슷? 한가.. 아무튼 그런걸 운영하심
그때 호기심에 물어보며 보고 듣고 배운 것

저거 말고도 설정으로 들어가면 다양하게 있다고 했었으니...
광고의 세계도 복잡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