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기전 요약
Q 헤비크러쉬 1트포 순간타격
W점핑스매쉬 3트포 어둠의불꽃 - 빠른준비 - 분쇄
E그라비티포스 3트포 충전강화 - 공포의중력 - 출렁이는중력
R인듀어페인 3트포 중력강화 - 반중력 - 숨겨진고통
A파워숄더 1트포 단단한신체
S어스이터 3트포 붉은파편 - 노력의성과 - 바위폭풍
D어스스매셔 2트포 불안정한타격 - 초인적인능력
F퍼펙트스윙 3트포 마무리일격 - 뇌진탕 - 학살의시간

================================================================

디트를 조금 아시는 분들은 제목에서 부터 음? 먼소리지? 쌍어스가 가능한가? 라는 생각이 드셨을 수도 있습니다
글을 읽다보면 도대체 이게 먼 소리지? 하는 생각도 드실 수 있습니다
이 스킬트리는
1. 현시점 주 메타인 쌍스윙 스킬트리가 아니고
2. 철저한 파티원 불신을 바탕으로 쓰여졌습니다

숙달된 (길드)파티원들과의 크린하고 이상적은 플레이와는 거리가 좀 있습니다.

그래도 나름대로의 이유를 써놓았으니... 잘 봐주세요
비판과 토론은 환영하지만 비난은 좀... ㅠㅠ




저는 한달뒤에 입대를 하는지라... 길드에 가입하지 않고 오로지 공방파티로만 레이드를 도는 사람입니다
그리고 빙레기를 돌면서...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암만 본인이 숙달되고 센스있어도 파티원이 그렇지 못하면 말짱꽝이다

물몸원딜들의 피가 간당간당해지면 센스고 숙련이고 딜로스고 자시고 일단 도망쳐야 한다는 생각이 머리를 지배한다


이전단계 레이드인 미련곰팅이는 아주 편안하게 차지 다 해가며 딜을 넣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빙레기는 다릅니다. 쉴새없이 움직이고 싸돌아댕기고 뛰댕깁니다.
차지와 긴 선후딜로 인한 딜레이는 디트의 생존에도 영향을 주고,
딜링과 무력화에도 큰 영향을 줍니다.

특히 파티원이 숙달되지 않았거나 센스가 부족하면 더욱 그렇습니다.
예를들어 3단점프 어그로 끌리면 
1. 저~~~멀리 도망가서 빙레기가 같이 도망간다던가
2. 저~~~~~멀리 도망가서 빙레기가 같이 도망간다던가
3. 저~~~~~~~~~~~멀리 아주 대륙횡단을 해서 빙레기가 멀리 도망가서 기껏 진입기 써서 들어왔더니 빙레기가 또 돌진을 해서 거리 더 멀어진다던가

센스가 좀 있는 파티원이면 삼각형으로 돌던가 워로드 같은 클래스면 방어기로 버티겠지만
공방 여러번 돌면서 이런 경우는 별로 없었고 다 저 멀리 도망가기 바쁩니다 활잡이랑 총잽이들이 심하던ㄷ 읍읍

빙레기 자체가 워낙 산만함 + 대륙횡단을 하는 파티원 +
이동하기에 바빠 반강제적으로 도는 쿨타임

요런 문제점들을 최소화하기 위한 쌍어스 스킬트리를 구상해보았습니다



Q 헤비크러쉬 1트포 순간타격
디트의 평타이자 주코어수급원 입니다. 선딜을 줄이기 위한 순간타격

W점핑스매쉬 3트포 어둠의불꽃 - 빠른준비 - 분쇄
워낙 빙레기가 산만해서 진입기로 쓸까 생각도 해보았는데
그러기엔 너무나도 강력하고 무력화가 뛰어납니다. 수련장에서 쳐보니 어지간한 해방스킬보다 무력화를 잘깎더군요.
이런이유로 마스터 해줍니다. 구슬동자에서 크리율15프로 나오면 시너지와 딜뽕이 대단합니다.

구슬동자란? - 각인퀘를 하면 얻을 수 있는 각인으로, 몹을 치면 에테르 구슬이 나옵니다(30초 쿨타임)
공격력증가, 치명타율증가, 방어력증가, 이동속도증가, 피회복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근데 빙레기 온 사람들 다 알지않나...읍읍

E그라비티포스 3트포 충전강화 - 공포의중력 - 출렁이는중력
디트의 주력 코어수급기이자 깨알 디버프스킬입니다
다만 빙레기의 특성상 스킬키 연타해서 두번을 연속해서 쓰시기보다는
한번 쓰고 - 빙레기 패턴 보고 or 따라가고 - 두번쓰고
이런식으로 해주시는 편이 코어수급 딜로스가 적습니다

그리고 디버프 사용 깨알 팁
빙레기가 무력화에 걸리면
그라비티 포스 사용 - 백어택 자리로 이동 - 그라비티 포스 사용 - 폭딜
이런식으로 해주시면 디버프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습니다
어차피 그라비티 포스는 딜링도 낮고 백어택도 안나옵니다

R인듀어페인 3트포 중력강화 - 반중력 - 숨겨진고통
디트의 생존기 입니다
숨겨진고통이랑 반중력이랑 같이 쓰는건 트포낭비 아닌가... 라고 생각하는 분들도 계실겁니다
하지만 저 개인적으론 물약제한이 있고 피 하나가 아까운 레이드에선 90프로 덜받아도 까이는 피가 아까웠고
궁극적으로 심리적 안정감이 높아서 저렇게 갔습니다

인듀어 페인의 장점은 본인 딜타임을 만들 수 있다는 겁니다. 이런 방식으로요.

1. 3단점프 착지위치에서 사용해 패턴 씹고 딜
2. 빙레기 그로기 이후 기상기패턴 씹고 딜

물론 생존기니까
3. 재수없게 브레스 맞았을때 or 못피할때 스킬키연타



A파워숄더 1트포 단단한신체
진입기 겸 이탈기입니다. 러닝크래쉬와 비교해보시고 개인 취향에 맞는 스킬을 써주시면 됩니다.

S어스이터 3트포 붉은파편 - 노력의성과 - 바위폭풍
짧은 쿨타임, 강력한 딜링과 무력화. 핵심스킬입니다.
1트포 개인적으로 붉은파편이 딜링이 더 잘나오더군요.
3트포 바위폭풍은 고정입니다.
이제 2트포에서 선택을 해야합니다.
다음은 각 트포의 단점입니다.

강인함 - 빙레기 어그로가 파티원에게 끌려서 도망치면 풀힛넣기가 어렵습니다

노력의성과 - 빙레기 원투펀치에 취약합니다

노력의성과 효과가 범위 증가인데 빙레기 원투펀치에 취약한게 뭔 소리냐면
어스이터 좀 써보신분들은 아시겠지만
스킬 사용시 뒤로 망치를 한번 꽝 내려칩니다.
이게 딜링이 제법 쏠쏠합니다.
때문에 이 망치꽝을 넣을려고 빙레기에 붙어서 스킬을 시전하고,
거리를 벌려 무빙하면서 후속딜을 넣는 방식으로 스킬을 사용합니다.

그런데 망치꽝을 할때 재수없게 어그로가 나한테 끌리고 더 재수없게 빙레기가 원투펀치를 쓴다
그럼 툭 맞고 스킬 캔슬되는 겁니다.
아픈 뎀지와 더러워 지는 기분은 덤.

다만, 원투펀치 맞고 스킬이 캔슬되는 경우보다
빙레기가 다른 파티원에 어그로가 끌려 도망가는 경우가 훨씬 많기에
노력의 성과를 올렸습니다.

요런 이유들로 인듀어 페인으로 패턴을 씹고 어스이터를 사용하면 더욱 좋습니다.
다만 이럴경우에는 망치꽝의 백어택을 포기해야합니다... 개인판단대로!

퍼펙트스윙 3트포 마무리일격 - 뇌진탕 - 학살의시간
어스스매셔보다 먼저 설명하겠습니다.
디트 주력 딜링기이자 무력화스킬 입니다.
다른건 몰라도 퍼펙트스윙 만큼은 백어택을 노리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백어택으로 들어가면 딜링도 좋아지지만 무력화 수치도 더 증가합니다.

어스스매셔 2트포 불안정한타격 - 초인적인능력

솔직히 말해서 요 스킬트리랑 운용은 말이 5집속3해방이지
4집속2해방 이라고 해도 할말없습니다
인듀어페인은 쿨이 60초에다가 생존기 및 딜타임 개시의 성향이 강합니다.

빙레기가 이동하느라 이동하면서 시간 다 잡아먹습니다.
이때 스킬 쿨 돌아가고 
어스이터와 퍼펙트스윙 쿨 금방금방 돌아옵니다
생각보다 어스스매셔 쓸 상황이 안나오더군요.

이때 나머지 하나를 사이즈믹 해머와 어스스매셔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제가 어스스매셔를 선택한 이유는... 어스스매셔가 좋아서라기 보다는 사이즈믹 해머가 너무 별로라서 선택했습니다.

사이즈믹 해머의 단점, 그에 대비되는 어스스매셔의 장점은
1. 스킬 딜레이가 길다 ( 어스스매셔 2트포 효과로 후딜적음)
2. 쿨타임이 길다 (쿨감 트포 찍어봤자 어스스매셔가 더 쿨 짧음)
3. 뇌진탕을 찍어야 무력화수치 최상, 기본 상 (어스스매셔는 기본이 최상임)
4. 딜이 별로임 (물론 어스스매셔도 별로임 ㅎ)
5. 디버프 없음 (어스스매셔는 로또방깎있음)

요런 이유들로 어스스매셔를 선택했습니다.


또, 어스스매셔는 3코어를 다 채워서 사용한다기 보다는
욕심부리지 않고 바로바로 써서 무력화를 주고, 로또방깎을 노리고,
스킬들이 놀아서 생기는 딜로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스포가 부족해요. 이 스킬트리가 스포 대충 270후반 ~ 280 정도 됩니다.
필수스킬 다 올리면 해방기 하나 2트포 까지 밖에 못올려요...
인듀어페인을 디버프목적으로 쓰시거나, 점핑스매쉬를 진입기 용도로만 사용하실 분들은
요 스킬 스포 빼서 해방기에 투자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그리고 풀스윙 안쓰는 이유... 명확합니다
1. 빙레기가 워낙 산만해서 딜탐 잘 안나와요
2. 인듀어페인으로 패턴 씹고 스킬 넣으면 백어택 넣기 굉장히 힘듭니다
3. 인듀어페인 쿨탐 60초입니다
4. 강인함 안가면 캔슬될 일 많습니다. 근데 강인함을 가면 딜이 어스이터보다 낮습니다(수련장에서 실험해봄)

이런 이유로 눈물을 머금고 포기 ㅠ

요 스킬트리가 무력화가 잘 터지냐?
자주 터집니다. 무력화 딜러가 디트 혼자여도 자주 터지고
워로드 - 인파 - 디트 - 딜러(호크던가 데헌이던가) 조합으로 간 적이 있는데 1분에 한번씩 눕더군요
무력화가 안좋았으면 글 쓰지도 않았습니다.




아이덴티티 사용 미세먼지팁
Z 돈까쓰망치 딜 정말 쌔죠. 우르닐이랑 루메같이 딜타임 긴 보스에선 풀힛넣고 딜뽕 오집니다.
하지만 빙레기는 눕고 일어난 뒤에 광역기를 쓰죠. 돈까쓰 망치 사용중엔 인듀어 페인도 못써서 패턴 못씹습니다.
그렇다고 그로기 아닐때 쓴다...? 망치는 예열 된 이후에나 쌔지 예열 안된 첫타에는 공속이 느려서 딜 별로입니다. 
좀 예열된다 싶으면 빙레기 튀거나 뜁니다. 
인듀어페인과 같이 쓴다고 해도 백어택 넣기 까다롭습니다.
무조건 그로기 일때 써야합니다.

저는 이렇게 씁니다.

1. 빙레기 그로기. 그라비티 포스 쓰면서 뒤잡음.
2. 돈까쓰 망치 사용
3. 그로기 사용후 기상기 직전 타이밍에 빠짐
4. 기상기 범위 밖에서 Z로 막타

아이덴티티 사용중 Z스킬(정식명칭 볼텍스 그라비티)의 범위가 기상기 보다 조~금 범위가 넓습니다.
기상기에 안맞는 동시에 볼텍스 그라비티가 들어가는 구간에서 스킬을 써주면
아이덴티티 스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요거는 좀 숙달이 되어야해요. 저도 기상기 많이 맞으면서 거리 익혔습니다.

템렙이 간당간당해서 기상기가 아프거나 피할 자신 없으시면 그냥 튀세요. 
생존이 최우선입니다.
그리고 그로기 사용 이후 빙레기가 무적이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굳이 이렇게 까지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말그대로 미세먼지팁


이상입니다. 길고 부족한 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