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마/블래 유저의 열화와 같은 성원으로 내연/화강을 추가했습니다.

내연/화강의 경우 체방계수 순위는 해당 위치에 들어갈 수 있다는 의미이며, 전체 순위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작성자의 직업은 하프입니다.


-------------------------------------------------------------------

그리고 체방계수를 사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이유인 EHP개념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합니다.


1. EHP에 대한 개념

EHP란 Effective Hit Point 의 약자로, 피해 감소를 고려한 실질 유효 생명력입니다.

예를 들어 생명력이 1만이고, 피해 감소가 50%라고 하면,

1만의 생명력을 소모시키는데에는 2만의 피해가 필요합니다.

여기서 필요한 2만의 피해를 EHP라고 부릅니다.

EHP = (체력) / (1 - 피해 감소) 의 식으로 계산합니다.

이와 같은 몇개의 예시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 로스트아크의 방어력 공식

로스트아크의 방어력에 따른 피해 감소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피해 감소 = (방어력) / (6500 + 방어력) (소수점 아래 다섯번째 자리 버림, 1% = 0.01)

이 식의 형태는 향후 보여드리겠지만 EHP를 선형적으로 증가시키는 점에서

많은 게임에서 차용하고 있습니다. (예시 : 디아블로3, 워크래프트3 등)



< 바드의 방어력에 따른 피해 감소 예시 - 맨 위가 중갑 0, 아래의 3개 사진은 각각 중갑 1 2 3 기준이며, 마지막 사진은 모든 아이템을 장착 해제한 경우의 방어력이다. >


이를 가지고 계산을 해보면 방어력에 따른 피해감소가 다음의 형태로 그려집니다.





이 그래프의 형태만 보고 오해와 착각을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심지어는 130%와 250%를 비교시 피해감소가 5배가 안된다면서 작성자보고 빡대가리라고 한 사람도 있습니다.



3. 방어력을 EHP식에 대입

방어력으로 얻는 피해 감소 식을 EHP 공식에 대입하면 방어력에 따른 EHP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EHP = (생명력) / (1 - 피해 감소) & 피해 감소 = (방어력) / (6500 + 방어력)

EHP = (생명력) / (1 - (방어력 / (6500 + 방어력)) 

위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EHP = (생명력) * ( (6500 + 방어력) / (6500) )

네, EHP는 방어력에 선형으로 비례합니다. 






4. EHP 계산의 실제

그러면 위에 나온 바드의 방어력과 체력으로 EHP를 계산해보겠습니다.



중갑3의 경우 방어력이 2배가 되므로, EHP 증가분도 두배가 됩니다.


5. 동작그만 밑장빼기냐?

네, 바로 나올 반박이 바로 이 문단입니다.

EHP만 보시더라도, 중갑0과 중갑3의 EHP는 두배가 아닌 약 1.74배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방계수는 계속 사용해야 맞습니다.

계산식에 적용되는 오차항은 대략 0.3452 인데,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그 이유로는 첫번째, 장비로 증가하는 방어력과 체력은 모든 클래스가 동일합니다.



기본상태에서 가장 체방이 높은 워로드의 장비와 가장 체방이 낮은 바드의 장비로 증가하는 방어력과 체력은 동일합니다.



둘째로, 장비로 인한 체방증가를 실제로 적용시 체력과 방어력에 체력계수와 방어력계수를 곱해서 적용합니다.

EHP = (생명력) * ( (6500 + 방어력) / (6500) )

이 식을 조금 확장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EHP = (체력 * 체력계수) + ( (6500 + 장비 방어력 * 방어력계수)  / (6500) )

무슨 의미냐면, 장비로 증가하는 이득이 체방계수에 종속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체방계수가 높은 캐릭은 장비로 인한 이득을 체방계수가 낮은 캐릭보다 많이 봐요. 심플하게.



위에서 잠깐 보여드렸던 오차항 0.3452는 

피해 감소 계수 / 방어력 = 피해 감소 계수 / (장비방어력 * 방어력계수) = 6500 / 18828 = 0.3452 로 계산된건데

장비로 증가하는 방어력이 커질수록 ( = 장비가 고강이 될수록)

그리고 방어력 계수가 높을수록 ( = 실린 말고 슈샤 등)

저 오차항 자체가 계속 작아지고, 체방계수와 유사한 수준으로 수렴하게 됩니다.



6. 마무리

어... 뭐라고 마무리하죠?

그냥 체방계수 쓰세요.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