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쿠크세이튼[하드]는 출시 예정이 없으나 업적 달성 목록에는 존재한다(무적의 공격대)

2. 사운드홀릭을 사용하는 바드의 경우 웬만한 딜러보다 무력화가 더 좋다

3. 몬스터의 장판형 공격 중 장판 정중앙이 안전지대인 경우가 종종 있다(악몽의 모르페, 프로켈의 사념체 등)

4. 스킬에 있는 무력화[하, 중, 중상, 상, 최상]의 구분은 적혀있는 대로가 아니라 실제 실험으로 구해야할 정도로 표기의 정확성이 떨어진다 (무력화 부분이 아예 없어도 무력화가 준수한 스킬이 존재)

5. 반격 패턴의 발동 조건은 무력화이다 (미사일폭격이 떨어지고 난 후의 방사능지대에도 반격이 발동함)

6. 교환 횟수가 남아있다는 가정하에 모든 레이드 중 가장 보상이 좋은 레이드는 아브렐슈드 데자뷰이다

7. 캐릭터의 스페이스바(이동기)의 경우 이동 구간의 일부가 '순간이동'으로 판정되는 캐릭터가 몇몇 존재한다(바드, 서머너, 기공사 등)

8. 가장 적은 골드로 캐릭터를 가장 강하게하는 방법은 트라이포드 작업이다

9. 본인의 원정대 캐릭터 중 하나를 친구추가해서 U-우클릭-원정대영지방문 을 이용해 노래를 부르지 않고 바로 본인 영지에 진입할 수 있다

10. 채팅창에 /탈출 을 입력하면 탈출의노래를 부르지 않고도 맵 퇴장이 가능하다

11. 서머너의 소환수나 바드의 하프, 블래스터의 포탑 등은 쉬프트 키를 이용해서 공격대상 우선지정이 가능하다

12. 에아달린 여왕은 500살이 넘었다

13. 보석의 레벨당 증가 수치는 딜보석 3%, 쿨보석 2%이지만, 딜보석의 경우 9레벨과 10레벨은 27%, 30%가 아니라 30%, 40%이며 쿨보석은 그대로 9레벨 18%, 10레벨 20%이다.

14. 몬스터들은 캐릭터의 행동(상태)에 반응하는 패턴을 종종 갖고있다 (벨가누스에게서 일정거리 멀어지면 브레스, 넘어지면 브레스, 프로켈에게서 멀어지면 분신소환, 각성기를 사용하면 잡기 등)

15. 1340장비에서 0~15강화까지의 증가수치와 16이상의 증가수치는 현격하게 다르다

16. 인스턴스 섬과 유령선, 카오스게이트는 원정대 입장 제한을 공유한다. (원정대 내 A캐릭터가 해당 컨텐츠에 입장한 상태라면 B로 다른 컨텐츠 입장 불가)

17. 에스더의 기운을 제외하고 로스트아크에서 가장 비싼 아이템은 '호박마차 선택 상자' 이다

18. 발탄에서 유령 상태일때 잡기 공격은 무작위로 등장하는 것이 아닌 체력비례(40.5, 27, 13)패턴이다

19. 아브렐슈드 데자뷰 난이도에서 게헤나 헬카서스가 42줄부터 시작하는 카운터 기믹은 전멸 기능이 없다(바훈투르가 필요 없음)

20. 서포터 캐릭터가 주로 사용하는 '갈망의 늪' 유물 세트 아이템의 세트 옵션 중 기민함, 민첩 기능은 본인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21. 아이템사전(ALT+D)을 이용해서 본인이 획득한 내실 아이템(스킬 포인트 물약, 특화 증가 물약, 매력 증가 물약 등)의 획득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22. 한밤 중의 서커스 리허설의 쇼타임 공격 시 중앙에서 등장하는 4개의 노란 표적 공격은 시간정지물약으로 파훼가 가능하다 (노말은 불가능)

23. 높은 성향 요구수치를 가진 NPC의 호감도 레벨은 유물이나 전설 호감도 아이템을 한꺼번에 선물하는 것으로 성향 요구를 무시하고 신뢰 수준 달성이 가능하다

24. 보유하고 있는 '블루 크리스탈'은 타인에게 판매할 수 없다. '로열 크리스탈'만 가능하다

25. '실마엘 혈석'과 '해적 주화'는 파괴석, 수호석 등으로 교환이 가능하며 해당 아이템은 귀속이 아니므로 유저에게 판매가 가능하다

26. 유령선 스케쥴과 카오스게이트 스케쥴이 동시에 있을 때, 카오스게이트 앞에 비프로스트를 지정해놓으면 유령선을 정각에 진입해서 토벌한 후, 밖으로 나와 비프로스트를 이용하면 카오스게이트도 진행할 수 있다

27. 발탄 1관문 구슬 기믹의 경우 구슬을 먹을 때 마다 결속을 준비하는 늑대의 HP바 아래 결속 약화 디버프(들어가는 무력화 증가)가 중첩된다 (최대 8중첩)

28. 아브렐슈드 1관문에서 게헤나와 헬카서스를 따로 공략할 때 어느 한 쪽을 먼저 공략하면 다른 쪽의 몬스터에게 '받는 피해 증가' 디버프가 쌓인다 (공대간 화력이 불균형한 경우 1~2줄에서 대기하는 것 보다 계속 눕히는 것이 유리하다)

29. 아이템이나 스킬로 해제가 가능한 디버프는 디버프 표시의 네모칸이 빛나지 않지만, 해제가 불가능한 디버프는 디버프 표시의 네모칸 주위로 선이 빛나며 돌아간다

30. 버서커 클래스가 폭주모드일때, 폭주게이지가 다 소모될 쯤 각성약을 사용하면 폭주상태가 유지되며 폭주 게이지가 최대치가 된다

31. 루나의 가디언 조사 퀘스트는 일일제한이 사라져 하루만에 모든 가디언 조사 퀘스트를 완료할 수도 있다

32. 기약의 섬에 있는 모코코 6개 중 2개는 채광폭탄이 필요한데, 기약의 섬은 인스턴스 섬이라 남이 도와줄 수 없어 본인이 사용할 수 없다면 획득이 불가능하다

33. 아르곤 섬의 얼음기둥 초기화 시간은 매일 0시이다(점검하는 경우도 초기화 된다)

34. 채팅으로 감정표현을 할 수도 있다. (아무런 채팅을 하는 경우 /대화, 'ㅋㅋ, ㅎㅎ'인 경우 /웃음, '하이'인 경우 /인사 등등)

35. 소서리스가 메테오를 소환할 때 내는 음성 일명 '떼바시'는 본래 개발단계에서는 '엘레기안의 손길'에 적용될 음성이었다

36. 반드시 공대원이 모두 생존해있어야 하는 기믹은 로스트아크를 통틀어서 비아키스[하드] 1관문의 검파구슬과 아브렐슈드 5관문의 문양, 쿠크세이튼 2관문의 미로, 3관문의 1, 2마리오 이다. (비아키스 1관문의 5색 구슬은 한 명이 두 개의 어그로 담당이 가능하며 아브렐슈드 4관문의 무력화 기믹들도 반드시 모두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37. 전투스킬이 10레벨에서 11레벨로 상승했을 때의 데미지 상승률은 약 10%에 달하지만 11레벨에서 12레벨인 경우는 약 5%이다

38. 서포터가 솔로잉을 하는 경우 카오스게이트, 유령선, 필드보스 등의 보상을 온전히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39. 위대한 미술품의 획득처 중 [큐브]의 경우 큐브를 클리어하고 받은 상자에서는 위대한 미술품이 등장하지 않고, 큐브 내부에서 일명 '황금방'이라고 하는 스테이지에서만 획득이 가능하다

40. 로스트아크 PC방 이벤트는 코로나로 인해 더이상 진행하지 않지만, PC방 혜택 자체는 아직 진행중이다

41. 일부 클래스의 스킬은 적과의 거리에 따라 성능이 변화하는 스킬이 있다. (기공사의 벽력장, 창술사의 굉열파, 데빌헌터의 샷건연사 등)

42. 군단장 레이드에서 발탄은 체력바가 표시되는 이름이 '마수군단장 발탄', 비아키스는 '욕망군단장 비아키스', 아브렐슈드는 '몽환군단장 아브렐슈드'라고 표기되지만 쿠크세이튼은 '세이튼', '쿠크', '쿠크세이튼', '앵콜을 외친 쿠크세이튼'으로서 '광기군단장'이라는 접두사가 존재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