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색할 때 주로 베이스가 되는 검정색을 #000000 대신 #020715 이 코드로 물어물어 많이들 쓰실거예여

네 머다들 들어보셨겠지만 저 hex코드는 마비에서 그 유명한 RGB 2.7.21 멀린 시암 블랙 입니당

용어를 자세하게 이해 안하시더라도 hex니 RGB니 두 형태의 코드 다 보시면 앞의 두칸 R(레드) 가운데의 두칸 G(그린) 거의 0에 가까운 데 뒤의 두칸 B(블루)를 약간 높여

실제 인게임에서 리얼 블랙 hex #000000 (RGB 0.0.0)보다

약간 푸른빛이 도는, 진한 곤색에 가까운 검정, 마치 검정은 검정인데 약간은 보이스카웃색? 느낌에 귀티나는 고급진 그 어떤 색을 나타내서 인기가 많져

물론 리얼 블랙이 가끔 의상의 질감을 묻어버릴 정도로 색을 다 먹어버려 질감을 살리기 위해 0에서 각각을 약간 올린 이유도 있겠지만, 적어도 시암 블랙의 포인트는 B(블루)톤을 약간 더 높였다는 거예여 (B톤을 높인 색이 이쁘다는 말은 아닙니다 R톤업도 무지 이쁨)

그 외에 마비에는 아벨린 블랙이니 카라젝 블랙이니 코즈믹 시암이니 때로는 R톤을 약간 높게, 때로는 B톤을 약간 높게

별 쇼를 하며 색칠하고 놀긴 해요

여하간 알려드리고 싶은 이야기는 머냐면여

로아에서 색칠을 많이 해본 결과, 느끼신 분들도 많겠지만 지역마다의 차이도 있고 무엇보다 #020715 (멀린 시암) 코드는 실제 인게임에서 솔직히 그냥 검정에 가까워 제대로 그 맛이 안난다는 거예여

뭔가 대단한 네임드 코드 같으니까 걍 그걸로 만족하면 된다고 하시면 상관은 없지만

마비에서 저 색 하나를 바르기 위해 요새 시세는 모르겠다만 300숲씩 내고

거래불가 시암블랙을 이벤트때 쟁여두고 1년동안 팔아먹으며 생활비를 하시는 분들이 있는 이유는

먼가 시암 블랙 만의 그만한 이유가 있는 거거던여, 바로 푸른빛이 나는 보이스카웃 느낌의 고급진 곤색 말이져

솔직히 별로 티도 안나는 검정 같으면 왜 그난리를 치겠어여

시암 블랙이라 말하며 열광하는 #020715 이 코드에서 알기 쉽게 말씀드리면

앞의 두칸의 숫자(02)는 레드의 농도구여 중간 두칸(07)은 그린, 뒤에 두칸(15)은 블루의 농도인데여, 우선은 각각 조금씩 올려주는게 좋아여 로아에서는 조금 더 말이져

가령 020715에서 각각 10씩 올린다 치면 121725가 되겠져?

그럼 끝이냐? 하지만 각 톤을 동일하게 10씩만 올리면 코드 합의 부피는 커지는데 격차는 동일해서 약간 옅어지기만 할 뿐 원하는 보이스카웃 맛이 잘 안나겠져

이럴땐 대체로 도미쏠 느낌으로 하는 편이예여 즉 레드는 아주조금(안올려도됨) 그린은 중간정도, 중요한 블루는 조금 더 많이 올리면 좋아여 5, 10, 15씩이라던가 이런 식으로 말이져

전 약간 좀 더 푸른빛이 강하게 해보고 싶어서 레드는 아예 안올리고 그린을 10올리고 블루를 15올려서

#021730 이 코드로 써봤어여 사실 이 색은 시암보다는 다크군청, 다크네이비로 말하는게 더 가깝겠네여

망토에 붉은빛 색깔은 시다레인데(시스템 다크 레드) 뭐 빨간것도 무지 많아여 톨비쉬 리레니 뭐니 암튼 무거운 와인색? 정도로 생각하심 좋아여 B톤 시암이랑 궁합이 좋아여

대충 쿨톤일때 이러이러한 개념이고 웜톤일때는 또 반대로 움직이시면 되여 피부톤에 따라 염색도 톤을 동일하게 잡아주시면 되는데여 이건 또 이야기가 길어지고 복잡해 질테니 담에 또 시간나면 알려드릴게여

결론은여

뭐 제가 한 염색 코드가 이쁘져 이런 글이 아니구여

이런 검정아닌 오묘한 색이 인겜에서 발색되며 고급스러워지는 그어떤 느낌을 좋아해서 마비에서 시암블랙 등등 네임드 코드가 인기인거고

이런 느낌이 실제 오리지널 시암블랙 코드로는 로아에서 솔직히 안살아서

기왕 시암블랙 시암블랙 하는거 그 맛을 살리기 위해서는 G는 아주조금, B는 약간 더 많이 올려주시면

좋다는 글 입니당

스샷이 근데 넘 뿌옇고 어떻게 잘 찍는지를 몰라서 그냥 캐릭터창 사진으로 캡쳐해서 수정해 올렸어여

아래 동그라미가 #021730 위 동그라미가 #020715 차이 아시겠져

오리지널 시암 코드가 뭔가 대단한것 같아 발라 보지만 실제로 로아 게임에서 보면 걍 검정인데 아쉬워서 올리는 글이예여






※ 첨언하자면 코드 숫자에 집착할 필요가 없단 거예여 코드 각각의 포지션이 뭔지 이해를 하고 조절을 직접 하심 대여

쉬운 예를 들면 말이져

아마 위 코디를 하신다 가정할 경우

꼼꼼하신 분이라면 금속 부분을 캐릭터의 헤어 코드와 일치하게 하시는 경우가 있으실 거예여

그럼 캐릭터 외형 변경하는데가서 먼저 헤어 코드를 가져오겠져?

그걸 복사해다 염색하는데 와서 금속 부분에 일치하게 입력을 하시겠져

근데 염색하고 나와 게임에서 보니 만약 머리색과 영 다른거예여 그래서 거슬린다 쳐바여

이게 아무리 같은 코드더라두 질감이나 여러가지에 따라 발색이 다른거 자나여

그럼 거기서 코드를 좀 만져주시면 되는데

가령 인게임에서 보니 코드는 같은데 발색이 먼가 머리색이 금속색보다 약간 더 로즈골드 즉 붉은톤이 더 도는것 같다? 그럼

금속색 염색할 때 코드 앞의 두칸 레드 부분을 미세하게 조금 더 올려주면 되겠져?

00부터 0,1,2,3,4,5,6,7,8,9,a,b,c,d,e,ff까지니까여 가령 따온 색의 R부분이 e1이다 그럼 뭐 e9로 하던 f1로 하던 f4로 하던 하면 조금씩 올려보면 되는거예여

또 전체적으로 좀 더 어두웠으면 좋겠다? 그럼 모든 RGB를 조금씩 낮추면 되겠져

hex 코드에서 부분적으로 디테일하게 조절하는게 어려우실땐 그 코드를 그대로 포토샵이나 변환해주는데로 가져와 RGB 코드로 바꾼 뒤 섬세하게 조절해서 다시 hex코드로 가져오면 편해여


인게임 발색은 대충 이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