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태 워로드 4관문 & 더 퍼스트 2관문

별을 제패한 자 카멘 (4-2관문(5관문)) 210줄 무력전용 급타세팅 가이드




제가 쓰고 있는 방법이며, 트라이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되고자 정리합니다. 

크게 세 가지 파트로 나누어서 설명하겠습니다.

1. 무력 세팅
2. 210줄 무력 설계
3. 무력 패턴 순서에 따른 운 및 성능평가

--------------------------------------------------------



1. 무력 세팅

1-1. 각인 세팅 및 세부 설명
 
무력을 위해 딜 고점 세팅에서 어떠한 변화를 준다면, 당연하게 무력과 딜을 교환하는 형태가 됩니다.

제가 세팅할 때 고려한 두 가지 사항은 딜을 지나치게 포기하지 않으며, 저렴한 급타세팅입니다.   

이미 세팅하신 분들은 알겠지만 그냥 [딜각인 1개] -> [급타] 교체입니다.

헬 처럼 신숙 기반의 딜을 아예 포기한 세팅은 하지 않습니다.

가장 간단하게는 각인서로 만드는 +12 각인 둘 중 하나를 교체하는 것입니다.

저는 각인서에 [바리케이드], [원한] 을 썼기 때문에 [바리케이드] -> [급타] 로 교체하였습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간단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에서 [바리케이드]를 [급타]로 교체하고, ⓑ 에서 [전태6 + 바리3]을 [전태6 + 급타3]으로 교체하였습니다.

만약 원한을 바꿨다면 [예둔5 + 원한3]을 [예둔5+급타3]으로 바꿨을 것입니다.

워낙 기본적인 내용이라 큰 도움이 안되는 내용이지만 준비하는 입장에서 생각할 내용을 줄이는 것도 좋겠다싶어서 정리하였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저처럼 바리, 원한 각인서로 세팅한 사람은 악세하나만 스위칭하려고 바리를 버리는 선택을 했지만 사실 저받을 버릴 수 있다면 베스트입니다. 급타세팅에 저받까지 빼면서 딜 고점본다고 악세 대공사 할 필요까지 있겠습니까 ㅎㅎ.....

또한, 위 그림의 ⓒ와 같이 저는 팔찌까지 무력 전용으로 스위칭을 합니다. 당연하게도 필수는 아니며, 딜과 무력을 교환하는 비율이 괜찮아서 제가 선택한 것입니다.

고특 + 고숙 팔찌에 부여 3줄은 그렇게 비싸지 않기 때문에 조금 돌려볼 수 있는데, 저는 특옵으로 강타 상옵을 씁니다. 치명타 발동 시 4초간 숙련이 100이 증가하는데 거의 상시 지속이라 볼 수 있어서 특화 111, 숙련 219 팔찌나 다름없습니다.    

이 경우, 숙련을 통한 무력증가량은 아래와 같습니다.

- 보통 숙련이 없는 캐릭터 : 무력화 피해량 1%대 중후반(내실 차이)
- 제 워로드 세팅(강타 발동 기준) : 무력화 피해량 8.15% 

숙련 무력화 피해량이 곱적용으로 계산되는지 모르겠지만 적지 않게 오르게 됩니다.

최종적으로 저의 딜과 무력 교환은 아래와 같이 됩니다.

- 딜 : 바리케이드 3단계(16%) + 팔찌 신속 100대 + 팔찌 우월 상옵 = 대략 20% 초반 감소  
- 무력 : 숙련 무력화 피해 증가 1.88% -> 8.15%, 급타 3단계 무력 36%

딜 통나무 무게 증가량을 대략적으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전원생존 기준).

- 6인딜러가 각각 100씩 균등하게 넣을 경우 : 총합 딜 600
- 6인딜러에 급타로드로 인한 딜 감소가 포함될 경우 : 총합 딜 500+83 (딜감소 20%가정)
 
파티 총합딜은 워로드 딜로 인해 2.8%정도 감소하게 되며, 이 통나무 무게를 예시로 들면 아래와 같습니다.

- 별을 제패한자 카멘 210무력진입까지 넣어야 되는 딜 : 120줄 (공카단 20줄 가정) 
- 위의 딜통나무 때문에 넣어야 되는 딜 : 123.4줄

제 세팅 기준 210줄 무력에 진입하는데 3.4줄 추가로 까는 정도의 통나무가 됩니다.  

몰론 팔찌 스위칭이 없다면 통나무는 조금 가벼워집니다. ㅎ


1-2. 스킬 세팅

스킬은 대충 감이 오시겠지만 많은 스킬들에 압도 룬을 넣어줍니다.

각인세팅 설명처럼 생각할 내용을 줄어들이기 위해 정리하였습니다.

아래는 더퍼스트에서 쓴 제 스킬 세팅입니다. 
 

특별히 룬을 교체한 것은 ⓓ, ⓔ, ⓕ 만 있습니다. 

데어파 포함 압도가 4개인데, 하드 4관문에서는 스킬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더퍼스트에만 쓰게됩니다.  

그리고 스킬 5개만 나타내었는데, 실제로 210줄 무력에 사용하는 스킬들만 모았습니다.

패턴을 피하면서 넣어야하는 만큼 리프어택, 방돌, 증함, 넬라 or 카스는 빌드에 포함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배제하였습니다(카스 잘 쓰면 무력량 의미 있음). 

참고로 위 사진의 무력화 수치는 급타 36%와 압도30%가 곱적용으로 반영된 수치입니다.

예를들어 방밀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무력화 수치 213 = 121(추가타격) * 1.36(급타) * 1.3(전설압도) 





제 기준 무력 세팅에 대해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무력세팅을 위한 작업 : 귀걸이 1개 + 팔찌 1개 교체, 각인서 1개 교체, 스킬 프리셋 변경
- 무력세팅을 위해 포기한 딜 : 보스피 약 2.85% 증가 효과  



2. 210줄 무력 설계

본격적인 210줄 설계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보통 "무력을 깎는다"는 기존의 고생하신 분들의 영상을 많이 참고하게 되는데, 카멘 4관 도전하시는 수준인 만큼 대부분 영상보고 무력 빌드에 대한 이해는 될 것입니다.

그래도 글로써 근거와 함께 풀어쓰는 게 "왜 이렇게 해야하지"에 대한 납득이 될 것 같아서 자세한 내용을 쓰기로 했습니다.

아래와 같은 210줄의 가장 기본적인 내용은 안다고 가정하고 설명하겠습니다. 

- 210줄 시작할 때 빨간똥과 파란색 감금장판을 여러번 피해야 함.
- 무력 시간은 약 21초임.
- 빨간 장판으로 나오는 손아귀 패턴은 4종류이고 랜덤 순서에 따라 한번씩 등장함.

본 글에서는 손아귀 4가지 패턴을 큰와플, 작은와플, 시계회전, 삼손으로 정의하겠습니다. 이렇게 정의해도 대충 뭔지 아실겁니다.

일단 전태로드와 210줄 무력 구조에 대해 간단하게 생각해봅시다.

- 근접 무력을 해야함.
- 스킬 후딜이 김.
- 낙사할 위험은 없지만 무지성으로 하면 손아귀 피격 5스택 즉사할 것 같음.
- 손아귀 패턴 4가지 중 2가지(시계회전, 삼손)에는 근접무력이 어려울 것 같음.

이정도는 쉽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그렇기도 하고 설계할 때 신경써야 하는 부분입니다.

급타워로드는 특히 딜 통나무를 던져주는 대신 무력 통나무를 크게 들어주기 위해 왔기 때문에, 무력 넣는 과정에 조금 정교할 필요가 있습니다.


2-1. 무력 시작 부분 각성기 사용

워로드 1각은 워로드 아덴 게이지 관리, 회수 1개 정도의 무력, 파티원 10초간 피면 장판의 큰 이점이 있기 때문에 210줄 무력 기믹에 좋습니다.

다른 스킬에 비해 단위 시간당 무력은 약하기 때문에 무력화 게이지가 뜨는 시점에 1각 데미지가 들어가도록 하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아래는 그 시점에 대한 gif 입니다.



gif의 시작 부분은 210줄 무력 진입 후, 첫 빨간똥과 감금 장판 이후 줌 아웃이 되고 다시 줌인 되면서 뜨는 빨간장판 생성시점입니다. 

1각 타이밍을 아주 간단하게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이 내용만 숙지하시면 됩니다.

- 화면 줌인 후 첫 감금장판은 회피
- 보스 헤드로 이동
- 두번째 감금장판에 피격되기 직전에 1각 사용

1각을 사용함으로써 감금장판과 무관하게 헤드 포지션을 잡고 헤드추가무력 10%를 넣을 수 있습니다. 

또한, 파티원에게 미리 1각 쓸 것을 말해주고 첫번째 손아귀 패턴 전체에서 프리딜을 할 수 있다는 걸 알려주면 좋습니다. 

위 gif는 큰 와플패턴을 사용했는데, 시계회전이나 삼손에서 본체 붙거나 와플에서 금밟는 케이스 말고는 프리딜이 가능합니다(피증 스택 따로 관리하시는 분들은 신경써야함). 제가 바드로 할 때 1각이 있으면 사쇽 + 사홀을 무지성 풀로 당기고 시작합니다. 

마지막으로 1각 이후 첫번째 무력스킬은 무조건 방밀로 고정합니다.

방밀은 완전히 보스에 붙게 되는 전진형스킬이라 위험성이 있는데 무력수치가 상당히 높고 쿨도 짧습니다. 

무력게이지가 생성되고 어떤 패턴이든 첫번째 손아귀가 도달하기까지 약간의 시간이 주어지게 됩니다. 

이 시간에 방밀을 사용하는 것이고, 고기로드의 경우에는 이 시점에 버캐를 고정하여 버캐 2번을 안정적으로 쓰는 빌드를 씁니다.




2-2. 피증스택 관리 및 4가지 패턴 대응 

워로드는 근접무력인만큼 와플 패턴에 무력을 빡빡하게 해줘야 합니다. 예시는 위 파트의 gif와 같습니다.

전태로드의 느린 무빙과 긴 스킬 후딜 때문에 와플 패턴에서는 피증스택이 쌓이더라도 맞딜해야 좋습니다.

큰 와플, 작은 와플 모두 금을 밟지 않고 제자리에 서 있으면 무조건 2스택이 쌓이게 됩니다(아무 영상을 보면 쉽게 이해되실 것).

아래 그림은 위의 gif 중 일부입니다.




왼쪽 그림은 큰 와플 패턴 중 첫번째로 지나가는 위치이고, 오른쪽은 그 다음 지나가는 위치입니다.

gif와 같이 제자리에 서서 첫번째 긁기에 한번에 2스택 쌓이고 두번째는 맞지 않았습니다.

처음에 안전지대에 있더라도 순서만 다를 뿐 2스택 쌓이게 됩니다.

여기서 금을 밟게 된다면, 겹쳐맞게 되어서 상당히 위험합니다. 예를들어 왼쪽 그림의 노란색 원 위치에 있다면 한번에 4스택이 쌓이게 됩니다. 

따라서, 위의 gif와 같이 방밀 이후 마우스로 선을 밟지않게 위치를 살짝 수정한 다음 배쉬 + 방격 + 가낙을 쓰게 됩니다.

이 로직은 작은와플 때도 동일합니다. 

와플패턴에서 총 4스택을 쌓는 대신 시계회전, 삼손때는 스택을 쌓지 않아야 합니다.
 



먼저 삼손 패턴부터 설명하자면 간단하게 시정을 쓰는 것입니다.

아래 gif는 실패작이지만 대략적으로 이런 느낌이라 보시면 됩니다(적절하게 녹화한 게 없음 ㅜ).



에이징 커브와서 마우스가 삑났지만 ........ 성공적이였다면 헤드무력 방밀넣으면서, 헤드포지션 유지하며 시정을 썼을 겁니다. 옳게된 상황은 대충 감 오리라 믿습니다.

이러면 더퍼스트에서 영전 시정하나 부족하지 않냐!?라고 할 수 있는데, 어차피 정상적인 딜 파티에서는 영전을 총 3번 보게 되고 시정없이 죽는다해도, 영전에 모든 타겟팅에 당할 확률(전원생존 기준 12.5%)이 겹쳐야 하고, 죽더라도 4-3 후반부가 됩니다. 

그리고...풀피 + 풀 아덴이면 제 스펙에선 뎀감 or 추가 쉴드없이 안죽음  ㅎㅎ

 

마지막으로 시계회전 패턴에는 잘 돌면서 피하는 거 말곤 스킬을 크게 넣을 게 없습니다.

와플패턴에 후딜 긴 스킬 넣는 시간이 빡빡한 만큼 시계회전 패턴에서 회수를 던져주도록 합니다.





3. 무력 패턴 순서에 따른 무력차이 및 성능평가

결국 그래서 소개한 급타세팅이면 무력 얼마넣는데?가 핵심일 것입니다.

이건 많이 해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운에 따라 다릅니다.

그리고 "무력을 깎는다"는 것은 이런 여러가지 상황에 대한 유연한 대응도 포함됩니다.


3-1. 무력 패턴 순서의 영향

4가지 패턴에 대한 순열을 생각하면 경우의 수는 24가지입니다.

와플패턴 대응 내용이 같으니 사실상 12가지나 다름없습니다. 


12가지 경우를 간단하게 나누면 아래와 같습니다. 

- 운 최상 : 2가지 경우 (1/6확률) 
 패턴순서 :  와플 - 시계or삼손 - 와플 - 시계or삼손 (※ 이 중에서 두번째 시계가 GOAT)

- 운 최악 : 2가지 경우 (1/6확률)
 패턴순서 :  시계or삼손 - 시계or삼손 - 와플 - 와플
 
(※ 이 중에서 첫번째 삼손이 JOAT. 시계는 패턴에 따라 헤드위치 잡기 어렵게 함)

- 보통 : 8가지 (2/3확률)


운 평가에 대한 근거는 스킬 쿨타임에 있습니다. 

전태로드 무력화에서 중요한 것은 안정적인 배쉬 2번, 방격 2번이 가능한지의 여부입니다.

운이 최상일 때는 첫번째 패턴에 쓴 배쉬, 방격 쿨을 두번째 패턴에서 돌리고 세번째 패턴에서 무난하게 쓸 수 있습니다. 

반대로 최악일 때는 초반 두 패턴에는 시작 방밀과 회수 말고는 원거리 약한 번개줄기 가낙말고는 할 수 있는 게 없습니다. 세번째 패턴 부터 제대로 넣더라도 배쉬, 방격은 1회씩 밖에 안되고 네번째 무력에는 패턴이 끝나기 전 무력 게이지가 사라지기 때문에 다 넣기도 힘듭니다.


3-2. 급타 전태로드 무력성능 평가

모든 케이스에 대해 다 따져서 정리할 필요는 없을 거 같고 실수가 없을 때, 일반적으로 넣는 운 최상 & 최악 케이스만 정리해보겠습니다.

우선 워로드 무력표는 아래와 같습니다(23년 10월 기준).





표의 수치들과 스킬 횟수로 계산한 총합 무력화 수치는 아래와 같이 됩니다.

- 최저점 기준
※ 특성, 각인, 룬 곱적용 기준(숙련 무력 8.15% 기준 - 팔찌, 타격 전설옵), 전부 헤드어택, 데어파 제외

1. 방밀 : 추가타격, 전설압도, 헤드어택, 3회
121 * 1.36 * 1.3  * 1.0815 * 1.1 * 3 = 763

2. 배쉬 : 영웅압도, 헤드어택, 1회
81 * 1.36 * 1.2 * 1.0815 * 1.1 = 157

3. 방격 : 두번째 격동, 전설압도, 헤드어택, 1회
116 * 1.36 * 1.3 * 1.0815 * 1.1 = 244

4. 가낙 : 번개줄기, 1회
87* 1.36 * 1.0815 = 128

5. 회수 : 1회
81 * 1.36 * 1.0815 = 119

6. 1각 : 1회
81 * 1.36 * 1.0815 = 119

총합 1,530


- 최고점 기준 (모든 미세한 디테일 리스크를 다 끌어안은 최상은 아님! 방밀도 4번되고 가낙도 2번 가능은 함!)
※ 특성, 각인, 룬 곱적용 기준(숙련 무력 8.15% 기준 - 팔찌, 타격 전설옵), 전부 헤드어택, 데어파 제외

1. 방밀 : 추가타격, 전설압도, 헤드어택, 3회
121 * 1.36 * 1.3  * 1.0815 * 1.1 * 3 = 763

2. 배쉬 : 영웅압도, 헤드어택, 2회
81 * 1.36 * 1.2 * 1.0815 * 1.1 * 2 = 314

3. 방격 : 두번째 격동, 전설압도, 헤드어택, 2회
116 * 1.36 * 1.3 * 1.0815 * 1.1 * 2 = 488

4. 가낙 : 번개줄기, 1회
87* 1.36 * 1.0815 = 128

5. 회수 : 1회
81 * 1.36 * 1.0815 = 119

6. 1각 : 1회
81 * 1.36 * 1.0815 = 119

총합 1,931


§. 데어파 추가 시
7. 데어파 : 멈추지 않는 포성, 영웅압도, 1회
109 * 1.36 * 1.2 * 1.0815 = 192



최종적으로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이 됩니다.

본 글의 무력빌드로 잘 깎인 제 급타전태 세팅 기준(데어파 제외) 무력화 : 1,530 ~ 1,931 (패턴순서 차이)
+ 팔찌추가 세팅이 없다면 .. : 1,441 ~ 1,819 (딜 3~4% 가량과 바꾼 것. 팔찌가 좋다면 따로 세팅안하는 게 좋을 듯)


전태 워로드 4관문 & 더 퍼스트 2관문 세팅 및 무력 가이드는 여기까지 입니다.

 
---------------------------------------------------------


고기로드에 대해서는 제가 아는 게 버캐 2번 말고 없습니다. ㅎㅎ

전태로만 살아서 제 나름 정리해본 것입니다.

제가 생각하지 못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지적해주시면 검토하고 수정 반영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