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마게 생각 추측

스마게 밸패팀에서 내부지표상 광기 딜너프는 해야하는데 비기도 같이 너프되면 안되니까 건들 수 있는 부분이 헬블 필사트포랑 소스 화염트포 그리고 광기각인이였던것 같습니다.

근데 이게 또 헬블 필사는 융해보다 안좋아지면 융해찍으면돼서 의미가 없으니까 내릴 수 있는 만큼 다 내리고 소스도 똑같이 내린것 같고 여기서 또 딜이 아직 덜 내려갔다고 판단됐는지 직각 너프까지 추가한 것 같습니다.

버서커 기존 딜 사이클로 계산해봤을 때 광기3은 5.5%정도 딜이 너프되고 6%의 상시 시너지가 생겼고 광기1은 3.2%정도 딜이 너프되고 6%의 상시 시너지가 생겼습니다. 지금 상태의 딜이 스마게 밸패팀에서 내부지표를 계산해서 결론 낸 버서커 광기의 적정 딜이라고 생각하고 제 생각에는 여기서 딜을 올려주는 추가패치는 없을 것 같습니다.


2. 문제점 발생

2-1 광기3 각인의 효율성

앞서 말했듯이 기존 광기3 유저는 5.5%정도의 딜이 너프가 되었고 광기1 유저는 3.2%정도 딜이 너프되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광기3과 광기1의 상하관계가 역전됐다는 점에 있습니다. 333331 기준으로 기존에는 광기3이 광기1 세팅보다 더 강했다면 테스트 서버에서는 광기1 세팅이 광기3 세팅보다 더 강합니다.

기존에 광기3을 사용하던 분들은 97돌을 깎은 사람이거나 조금이라도 더 강해지려고 광기전각을 읽고 세팅을 한 사람들입니다. 97돌을 쓰던 분들은 직각1이 효율 좋은 다른 직업들도 다 직각3 세팅하면서 맞추는 돌이라 어쩔 수 없이 직각3을 갈 수 밖에 없으니 광기3을 쓸 수 밖에 없습니다. 97돌 333332가 광기1로 맞춘 333331보다 약해서 새로 맞춰야되는 상황이 된 건 아니니까요. 물론 직각3이 안 좋아져서 5.5% 딜 너프를 그대로 안고 가야하니 아니꼬운건 어쩔 수 없죠.

그런데 고대등급 국민세팅인 333331 기준에서 보면 한순간에 광기3으로 세팅한게 광기1로 세팅한것보다 더 약해지면서 조금 더 강해지려고 광기전각 읽었던 골드가 의미가 없어진게 됐습니다. '굳이 세팅 바꿀 필요가 있냐 광기3쓴다고 딜이 어마무시하게 너프된것도 아닌데'라고 하는 사람도 봤었습니다만 애초에 광기3 세팅하는게 돈 더 들더라도 조금 더 쎄지려고 세팅했던 것인데 가성비로 광기1가던 분들의 세팅이 더 강해지게 되니까 반발심이 나오게 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어쨌든 더 강해지려면 세팅을 새로 해야 되니까요.

그리고 현재 광기3의 딜증이 14%로 딜증만 놓고보면 일반적인 공용각인의 딜증인 16%보다 못한 상황이어서 광기1을 넣고 다른 공용각인3을 넣는게 더 강해진 것인데, 현재 스마게 밸패팀에서 테스트 서버상의 광기 딜을 적절하다고 보는 것 같아 광기 각인을 딜증 16%로 아니면 롤백해서 18%로 바꿔주려면 다른 방법을 적용해서 광기 딜을 낮추려고 할 것 같습니다. 광기 각인을 공용각인급 딜량이나 그 이상으로 상향시키면서 동시에 비기쪽 딜량을 건들지않고 광기 딜을 현재 테섭과 동일하게 유지하는 방법이 저는 지금 당장 떠오르는건 없네요.

2-2 회복량 40%로 너프

회복량을 너프한 문제도 계속 거론되고 있습니다. 기존 광기 버서커는 회복효과 효율만큼은 최고였던건 부정할 수 없습니다. 홀나 신보 들어올때마다 체력이 절반씩 차는 느낌이었으니까요. 그래서 이번 밸패노트 코멘트에 적힌 리스크가 생각보다 적었다는 얘기도 어느정도 수긍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문제점은 리스크 강화와 딜량 너프를 한꺼번에 때려버린 겁니다. '낮은 생존력으로 리스크가 높은 대신 우수한 공격력을 가진 각인으로 기획되었다.' 라는 공식 코멘트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회복량만 낮췄다면 리스크를 더 높여서 강한 딜을 주려한다고 생각됐을거고 딜량만 낮췄다면 생존력을 어느정도 보장하면서 딜을 좀 낮추려고 한다고 생각됐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 두 가지를 한꺼번에 적용해버려서 리스크를 높이고 강한 딜도 잃어버렸다는 느낌을 주게 되었습니다. 차라리 둘 중 한 가지만 적용하고 상황을 지켜본 다음에 추후 계속 있을 밸패 때 다른 부분의 적용여부를 검토했다면 좋았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개인적으로 리스크 부분에서 보스들의 최대체력 비례 공격패턴을 좀 고쳐줬으면 좋겠습니다.
최대체력의 70%만큼 데미지를 주는 패턴이 있으면 광기버서커는 뎀감으로 65% 감소된 최대체력의 24.5% 데미지를 입게됩니다. 쉴드없이 0.5%라도 체력이 깎여있으면 이 상황에서 한대라도 맞으면 죽습니다. 이런 부분이 너무 불합리하다고 생각돼서 고쳐줬으면 좋겠네요.

2-3 편의성 개선의 부재

버서커의 편의성 부분은 스웨 4타 맞추기, 헬블&러쉬의 스페이스 캔슬, 카운터 개선, 아드로핀 사용불가가 기존에 많이 거론 됐었던 것 같습니다.
카운터 개선은 마운틴에 카운터가 추가됐지만 광기는 사실상 달라진게 전혀 없으니 위에 거론됐던 것들은 전혀 달라진게 없습니다. 그래서 쾌적해진 부분이 전혀 없으니 회복량 너프와 딜량 너프만 보이고 이 부분이 더 크게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3. 그냥 마무리 멘트

현재 스마게에서 준비한 밸런스 패치의 두번째칸까지 진행한 것 같습니다.
앞으로 계속 밸런스 패치가 준비되어있고 2차 개선에 또 스킬 개선과 트라이포드 개선이 들어있으니 밸패가 테섭에 적용된 대로 나온다고 해도 현재 제 광기3 각인을 광기1로 새로 세팅하진 않을 생각입니다. 그냥 아니꼬운채로 광기3 쓰고 부캐나 키워야겠습니다..
빨리 불합리한 최대체력비례 데미지 패턴들 좀 고쳐주고 공식 오피셜로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캐릭이라고 했으니 이 리스크와 리턴의 밸런스를 어떻게 줘야 합당한지 잘 생각해서 앞으로 수치조정이라든가 해줬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