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교감 각인 너프로 인해 1렙 2렙은 소환수의 지속시간이 감소되어, 
소환수 스킬은 1번씩 덜 사용하게 됬습니다. 
거기에 소환수의 기준피해량과 교감 각인의 소환수 피해량이 같이 너프먹으면서,
곱연산으로 소환수피해를 너프먹음과 동시에 소환수스킬도 1번씩 사용 못하게 됬습니다.
교감서머너의 8개의 스킬칸 중 4개가 소환수 스킬이고, 각성기 또한 켈시온을 사용합니다.
교감서머너 딜지분의 70퍼센트정도가 소환수라고 했을때, 이것은 적지 않은 수치입니다.

서머너의 전체적인 딜량에서 보았을때 20~30%정도 감소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설저녁셋 셋옵버그가 밸패와 함께 픽스되면서, 
전설저녁셋을 입고있던 서머너분들은 체감이 많이 오지 않는다고 하여, 
할만하다는 말이 많이 나왔습니다.

여러분은 스마게의 농간에 속은 것입니다.


밸패전, 서머너는 초반 투자대비 효율이 다른클래스에 비해 사기적이라서 
OP소리를 들었을 뿐입니다.
10만골드만 투자했을 경우 서머너의 효율을 따라올 클래스가 없었습니다만,
50만골드이상 투자해야하는 최종세팅을 놓고 다른 클래스들과 비교해봤을때, 
서머너는 결코 0티어가 아닌 상위티어일 뿐이었습니다.

이번 밸런스 패치로, 소환스킬과 교감각인의 이중 너프로 인해 
곱연산으로 너프를 먹었습니다.
추후에 태양카던이 풀리고, 유물장비가 풀리고, 전설각인이 풀려서
최종각인세팅이 수월하게 되었을 때, 우리 서머너들이 옛 호서인디 시절의 
암흑기로 되돌아가는것은 아닌지하는 노파심에 이 글을 적습니다.


먼저 각인에 대해 얘기해봅시다.
지금 상황에서 제일 베스트 각인은 원한3교감3상소3 정도인데, 상급소환사의 경우
마리린과 아덴스킬 알리마지가 무속성이라서 속성피해증가 효과를 받지 못합니다.
아시다시피 마리린은 교감서머너의 주력스킬중 하나이며, 
알리마지는 딜과 무력화 모두 준수한 스킬입니다.
이 두개의 스킬이 속성피해증가 15퍼의 효과를 못받는것이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원한, 교감을 제외하고 그나마 제일 효율이 좋은것이 상급소환사 밖에 없어서 
채용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다른 서브 각인을 예로 들어볼까요?
지금 제일 핫한 돌격대장의 경우, 벨가의 빛권능을 5개 쌓으면 이속이 15퍼 증가하기때문에,
벨가 한정으로 가장 좋은 각인이지만, 서머너 자체로는 치신+이속슈르디를 해도 이속25~30퍼가 고작일겁니다.
치명을 스텟으로밖에 땡길수가 없기때문에 치명비중을 높여야하니 신속으로 이속을 땡기기가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딜증가 11~13퍼를 땡길 수 있기에 나쁘지는 않지만, 이그렉시온처럼 이속감소 디버프를 거는 레이드나 던전일경우 효율을 보기가 어려운게 현실입니다. 
그래도 그나마 나은게 돌대라서 쓸수밖에 없겠지만요.
약자무시의 경우, 솔플시엔 매우 좋은 각인이지만 4인, 8인, 16인 레이드에서는 
대상 몹의 체력이 30퍼 미만인 시간이 점차 짧아지기 때문에 파티 인원이 많아질수록, 
또 약자무시를 낀 사람이 많을수록 효율이 낮아집니다.
안정된상태나 달인의저력의 경우, 체력을 80퍼 이상이나, 50퍼 미만으로 유지해야 딜증가 효과를 볼 수 있는데, 저같은 보통유저의 경우 채용이 불가능한 각인입니다.
예리한둔기의 경우, 주력스킬인 고창이나 소환수스킬에 치명확률 트포가 없기때문에 효과를 보기 힘들뿐 아니라, 마질이나 윙드에는 치명확률 트포가 있지만, 치명타피해 트포도 
같이 있기 때문에 효율이 안나옵니다.
아시다시피 치명타피해는 합연산이기때문에 높아질수록 효율이 안나옵니다.
저주받은인형의 경우, 원한과 같이 채용시엔 높은 딜상승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 
이미 원한을 사용하고 있기에 같이 쓰기에는 생존이 어렵기때문에 채용하기 힘듭니다.
정기흡수의 경우, 정기흡수 자체는 공격력이나 피해증가 효과가 없으며, 
돌대와 같이 써야하지만, 정흡으로 6.75%의 딜상승을 노리기엔 15포인트가 아까운게 현실입니다.
각성의 경우, 특화에 얼마나 몰빵하느냐에 따라 효율이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가는 각인이지만, 서머너는 주력스킬에 치명트포가 없기때문에 치명스텟에 투자하다보면, 특화는 끽해야 200~400이 최대입니다.
게다가 이번 교감각인의 너프로 인해 각성기이며, 소환수인 켈시온까지 같이 너프를 먹엇습니다.


그럼 이제 다른 클래스들은 최종각인을 어떻게 세팅할지 볼까요?
워로드는 2가지로 나뉩니다.
고기 워로드의 경우, 치신 캐릭이며, 상시방깎과 헤드어택, 빽어택 시너지를 보유하고 머리를 잡는 캐릭입니다.
슈차, 원한, 고기를 메인으로 서브각인 2개는 실드와 안정적인 체력관리를 고려하여 바리, 안상 정도를 쓸수 있습니다.
전태 워로드의 경우, 특, 치, 신 순서로 비중을 둔 캐릭입니다.
원한, 전태, 바리, 안상을 메인으로 서브각인 1개는 취향에 따라 특화를 좀더 올리고 각성을 쓸 수 있습니다.
버서커의 경우, 특화몰빵에 치명을 약간 주는 캐릭이며, 피증 시너지를 보유하고 빽을 잡는 캐릭입니다.
원한, 광비, 각성을 메인으로 서브각인 2개는 일반스킬의 딜증가를 위한 기습과 각성기 딜상승을 위한 슈차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디트의 경우, 치특 캐릭이지만 느리기 때문에 신속을 투자할수도 있으며, 방깎 시너지를 보유하고 머리와 빽을 둘다 잡을 수 있는 캐릭입니다.
원한, 분망, 슈차, 바리를 메인으로 서브각인 1개는 취향에 따라 실드로 인해 체력관리가 쉽다면 안상, 특화를 많이 투자하신 분은 각성 정도 쓸 수 있겠습니다.
배마의 경우, 신치 캐릭이며 치저깎 시너지를 보유하고 빽을 잡는 캐릭입니다.
원한, 기습, 초심을 메인으로 서브각인 2개는 신속과 바속으로 이속이 증가되기에 돌대, 주력스킬에 치피증 트포가 없기에 예둔을 고려해볼 수 있고, 저렴한 번분도 나쁘지 않다고 알고있습니다.
기공의 경우, 특화에 비중을 둔 특치캐릭이며, 공증시너지를 보유하고 빽을 잡는 캐릭입니다.
원한, 각성, 역천을 메인으로 서브각인 2개는 일반스킬 딜증가를 위한 기습, 체력이 30%미만인 적에게 모든 시너지(금강선공, 자벞, 공증시너지, 바드벞, 파티원 시너지, 배템, 각인)를 몰아 곱연산으로 적용받은 후에 각성기를 던지기 위한 약자무시 정도가 되겠네요.
창술사의 경우, 특치 캐릭이며, 치저깎 시너지를 보유하고 빽을 잡는 캐릭입니다.
원한, 절정을 메인으로 서브각인 3개는 집중스탠스시 이속증가를 노리고 돌대를 채용할 수 있고, 주력스킬이 빽어택 스킬이기 때문에 기습도 쓸 수 있으며, 특화를 올리는 캐릭이기 때문에 각성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인파의 경우, 치특 캐릭이며, 상시피증 시너지를 보유하고 빽을 잡는 캐릭입니다.
원한, 충단, 기습을 메인으로 특화를 올리기 때문에 각성을 채용할 수 잇습니다.
호크의 경우, 치특 캐릭이며, 상시피증 시너지를 보유하고 원거리딜러 캐릭입니다.
원한, 죽습을 메인으로 서브각인 2개는 주력기와 각성기가 차지스킬이기 때문에 슈차, 특화캐릭이기 때문에 각성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데헌의 경우, 치특 혹은 치신 캐릭이며, 상시치확 시너지를 보유하고 빽을 잡는 캐릭입니다.
원한, 기습, 강무를 메인으로 서브각인으로 치확이 높고 주력기에 치피증 트포가 없기 때문에 예둔을 끼면 좋습니다.
블래스터의 경우, 특치 캐릭이며, 상시방깎 시너지를 보유하고 원거리딜러 캐릭입니다.
원한, 화강, 예둔을 메인으로 서브각인은 에필이나 포격모드의 실드를 기반으로 바리, 특화 캐릭이기에 각성을 챙길 수 있습니다.
아르카나의 경우, 특치 캐릭이며, 상시치확 시너지를 보유한 근딜 캐릭입니다.
원한, 황제, 황후를 메인으로 주력스킬 트포중 치피증이 있지만 피해증가 트포도 같이 있기때문에 피해증가트포를 채용하면 예둔을 쓸 수 있습니다. 자벞으로 자신에게 받는 치명타 피해증가 효과도 있기 때문에 예둔은 거의 필수입니다.
블레이드의 경우 치특 혹은 치특신 캐릭이며, 상시 헤드&빽어택 시너지를 보유하고 빽을 잡는 캐릭입니다.
원한, 기습, 잔재(이번에 버프를 먹으면서 3활성시 3버블 아츠보다 효율이 좋아졌습니다)를 메인으로 3차징스킬을 채용한다면 슈차, 치확트포 스킬들을 위주로 채용한다면 예둔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데모닉의 경우, 치특위주의 충동데모닉과, 치신위주의 억제데모닉이 있으며, 피증 시너지를 보유한 근딜 캐릭입니다.
원한, 억제or충동을 메인으로 억모닉은 메인스킬의 이속증가트포와 신속스텟을 활용해서 돌대를 채용할 수 있고, 비록 주력기에는 치확트포가 없지만 짤딜기에는 치확트포가 많기 때문에 예둔도 고려해볼 수 있고, 다단히트 스킬이 많이 때문에 번분도 나쁘지 않습니다.
리퍼의 경우 치특 캐릭이며, 상시 받치피증 시너지를 보유하고 빽을 잡는 캐릭입니다.
원한, 기습, 달소or갈증을 메인으로 혼돈상태 혹은 주력기인 급습스킬에 달려있는 치확트포를 기반으로 예둔, 페르소나상태의 이속30% 혹은 혼돈상태의 이속10%+디스토션의 이속30%트포를 기반으로 돌대를 쓸수 있습니다.


패치전, 교감서머너가 다른 클래스에 비해 투자대비 효율이 사기적이라서 초반 OP엿던 것도 맞습니다.
그리고 이번 밸런스 패치로 인해 너프된 부분도 일정부분 납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추후에 유물장비와 전설각인이 풀려서 다른클래스들이 3활성각인 4개, 2활성각인 1개씩 맞출때,
서머너는 네번째, 다섯번째 각인으로 무엇을 맞춰야할까요?

그리고 패치만 하면 늘어나는 버그덩어리 소환수들을 언제까지 방치하실겁니까?
언제까지 소환수의 지속시간이 늘어나면 소환수의 재사용 대기시간도 함께 늘어나야합니까?
허공에 돌진하는 마리린은 또 어떻구요? 밸패후, 소환수 스킬로는 더이상 속행도 터지지도 않습니다.
다른 클래스라면 진작에 드러누웠다고 생각되지 않으십니까? 

우리 서머너 자매님들도 당장 할만하다고 안주할 것이 아니라 위기의식을 가지고 
지속적인 건의와 관심을 보여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하다는 마음을 전하며 이만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