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1.1. 개요


바드는 아덴을 활용해서 파티의 안전성을 위해서 구원의 세레나데를 사용할지 파티의 딜 증가를 위해서 용맹의 세레나데를사용할지 선언적 판단하에 둘 중 하나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 생깁니다. 이러한 메커니즘에 의해서 바드가홀리나이트에 비해서 고점이 높다라는 평가를 받습니다.


전문의의 등장으로 홀리나이트의 서포팅 기대값이 비약적으로 상승하고, 기존에힐이 충분하다는 평가를 받던 바드의 경우 전문의의 실전성에 대한 토론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바드가 전문의 3을 채용할 경우, 수호의연주(이하 수연) 쉴드와 윈드 오브 뮤직(이하 윈오뮤) 쉴드가 유의미한 수치증가됨으로써 파티원들의 체력관리에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쉴드와 힐량의 동시 증가로 인한 효율성의 문제가 제기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문의3 절구1을 채용하게 됐습니다.


보편적인 세팅인 절구3은 파티원의 체력관리에 있어서 쉴드의 비중보다구원의 세레나데의 비중이 높아서 아덴(이하 버블)을 유동적으로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하며, 전문의3 절구3의 경우 구원의 세레나데의 힐과 쉴드의 수치가 오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관련 게시글은 댓글에 링크를 달아 두겠습니다.


연구 1번글에서는 오로지 구원의 세레나데에만 포커스가 맞춰져 있으며, 전문의로 증가한 쉴드 때문에 감소한 힐요구치의 고려하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그로인해많은분들이 읽어보시고 힐량이 오버되는 이유에 대한 설득을 못해드리는 일이 발생했고 이에 대한 내용은 추후 서술하겠습니다.

 

2. 본론


2.1. 이론


2.1.1 개요

전문의를 채용함에 따라, 과연 쉴드가 유의미한 수치를 보여줄지에대한 의문이 생겼습니다. 실질적으로 전문의가 정말 효율적인지, 그렇다면그 수치는 어느정도 인지 실험해봤습니다.

 

2.1.1. 쉴드

전문의의 쉴드량 증가 기대값은 약 30%입니다.

쿨타임 감소 공식에 대해서 이미 연구해주신분이 계셔서 그 글을 인용했음을 밝힙니다.

로아 스킬 쿨타임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스킬 기본쿨’ – ‘트포’) * ((1-‘스탯’) + 단심15%)* (1-‘보석’)]

 

윈오뮤는 18초 수연은 30, 윈오뮤 트포로 인한 쿨감 4, 보석을7렙기준 14% 및 신속 1800에의한 쿨감38.65%를 계산하면

 

윈오뮤의 경우 [(18 – 4) * (1-0.3865 단심시 0.5365) * (1-0.14)]

= (14 * 0.6135 * 0.86) = 7.38654 이를7.4초라고 계산하며

단심 적용시 6.45946초가 됩니다. 이를 6.5초라고 계산하겠습니다.

 

수연의 경우 [(30) * (1-0.3865 단심시 0.5365) * (1-0.14)]

= (30 * 0.6135 * 0.86) = 15.8283 이를15.8초라고 계산하며,

단심적용시 13.8417초가 됩니다. 이를 13.8초라고 계산하겠습니다.

 

윈오뮤의 쉴드량은 본인 체력비례 30% 수연은 20%입니다. 이를 계산하면,

단심 미적용시 윈오뮤의 쉴드 기대값은 초당 체력비례 4.05%

수연의 쉴드 기대값은 초당 체력비례 1.265%가 됩니다.

보편적인 바드의 쉴드 기대값은 초당 본인체력비례 5.315%정도로계산되며

 

단심발동시 윈오뮤 4.615% 수연은 1.449%가 됩니다.

즉 단심이 발동한 보편적인 바드의 쉴드 기대값은 초당 본인체력비례 6.064%가됩니다.

 

바드의 생명력을 10만을 기준으로 잡을경우 초당 단심미적용 5315, 단심적용 6064의 쉴드효과를 가집니다. 여기에 전문의를 추가할 경우 단심미적용 6.9095% 단심적용시7.8832%의 기대값을 가집니다.

제 전 글을 인용하면,

 

절구 3렙의 경우) 1버블+ 1

극신 -> 1인 최대 생명력의 64.008%

절구 3렙의 경우) 1버블+ 4

극신 -> 인당 최대 생명력의36.576%

 

절구 1전문의경우) 1버블 + 1

극신 -> 1인 최대 생명력의 59.436%

절구 1전문의경우) 1버블 + 4

극신 -> 인당 최대 생명력의 23.744

 

여기에 단심 미적용시의 전문의3 채용과 미채용 쉴드 차이값인 초당체력비례 (6.9095% -5.315%)= 1.5945%

 

절구 3렙의 경우 1버블1인과 4인의 단순 평균값인

64+36.576 = 100.5%

절구1 전문의 3의경우 1버블 1인과 4인의단순 평균값인

83.18%

 

1버블 절구를 15초마다돌린다고 가정했을 경우엔, 절구1 전문의3이 체력관리에 있어서 6.5975%의 이점을 가지며, 30초마다 돌릴경우30.515% 1분마다 돌릴경우 78.35%의 이점을 가집니다.


- 1버블 절구를 채우고 사용하는 시간이 오래 걸릴수록 전문의3 절구1의 파티원 피관리 효율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며


가장 중요한건 피관리에 있어서 힐 즉 버블에 대한 의존도가 전문의3 절구1이 더 낮기 때문에 버블을 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쉴드를통한 피관리 효율이 증가하기 때문


이는 절구3을 채용하는것보다 절구1 전문의3를 채용하는 이점에 관한 내용입니다.

 

 

---- 일단 내용이 길어질 것 같아서 짤랐습니다. 이번 글은 전문의3 절구1에효용성 관련된 글이며, 절구 3을 채용하는게 낫다는 의견이많아서 그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후에 반응을 보고 더 작성할 생각이며 후술할 내용은 전문의3 절구1 채용으로 인한 바드의 중갑 각인 중요도 및 효율성 감소 

전문의3 절구3의 실질적인 효율 문제, 무한쉴드유지, 전문의3 절구1의실제 효율 및 계산과 이론적인 문제 등을 다룰 계획입니다.

 

3줄 요약

절구3 낄바에 절구1 전문의3채용이 좋다. (버블 의존도에 따른 딜 기대값, 피관리)

절구3 전문의3은 과투자다.

여백이 부족하여 생략하겠다.

오탈자 및 의견공유 환영


추석 잘보내세요.